$\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농 잡곡의 몇몇 기능성 물질 비교

Comparison of Functional Materials in Organic Cultivated Minor Cereal Crops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0 no.4, 2012년, pp.619 - 630  

윤성탁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김태호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남중창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김태윤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김혜림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조성훈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이승우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이명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민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성민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잡곡은 웰빙식품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어 앞으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잡곡에 대한 연구가 매우 절실하지만 국내 조, 기장, 수수의 잡곡종자에 대한 기능성물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의 주식작물인 벼와 국내에서 유기농으로 재배 생산된 수종의 잡곡종자에 대한 지방산조성, 총 안토시아닌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여 잡곡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하였다. 1. 총 지방산 함량은 조, 기장, 수수, 벼의 순으로 각각 0.649% > 0.33% > 0.172% > 0.111%이었고, 불포화지방산 함량도 조, 기장, 수수, 벼의 순으로 각각 0.511% > 0.269% > 0.122% > 0.069%로 높았다. 2. 벼, 조, 기장 수수의 안토시아닌의 함량은 벼, 조, 기장에서는 안토시아닌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수수에서는 다량이 검출되었으며, 품종간에는 몽당수수에서 $137.5m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메수수에서 $65.8mg{\cdot}g^{-1}$으로 가장 적었다. 3. 총 페놀 함량은 벼에서는 추청벼가 $13.70{\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안벼가 $10.07{\mu}g{\cdot}g^{-1}$로 가장 적었다. 조에서는 흰차조가 $25.8{\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강화조가 $22.3{\mu}g{\cdot}g^{-1}$으로 많았다. 기장의 경우는 벼룩기장이 $69.4{\mu}g{\cdot}g^{-1}$로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검은기장이 $33.6{\mu}g{\cdot}g^{-1}$으로 가장 적었다. 수수는 찰수수가 $682.2{\mu}g{\cdot}g^{-1}$을 나타내어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가장 적은 품종은 재래찰수수로서 $237.9{\mu}g{\cdot}g^{-1}$을 나타내었다. 작물별 평균 총 페놀 함량을 보면 벼는 $12.25{\mu}g{\cdot}g^{-1}$, 조는 $16.95{\mu}g{\cdot}g^{-1}$, 기장은 $51.01{\mu}g{\cdot}g^{-1}$, 수수의 경우에서는 $447.4{\mu}g{\cdot}g^{-1}$을 나타내어 3작물의 총 페놀 함량은 수수가 평균 $447.4{\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 양은 조의 평균치의 26.3배, 기장의 평균치에 대해서는 8.8배나 많은 함량이었다. 4. 벼, 조, 수수, 기장의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활성효과는 벼에서는 추청벼가 3.6%로 가장 높았다. 조에서는 강화조가 4.78%로 항산화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올황차조가 0.08%로 가장 낮았다. 기장의 경우는 검은 기장이 13.4%로 특히 가장 높았다. 수수는 본 시험에 공시된 7품종의 범위가 88.47~90.11%로 품종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벼 3품종, 조 9품종, 기장 6품종, 수수 7품종의 평균항산화 활성을 보면 수수 > 기장 > 조 > 벼 순으로 각각 1.60% > 2.43% > 6.13% > 89.50%로 나타났다. 수수의 평균 항산화 활성은 조의 37배, 기장의 15배나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scellaneous grain crops has been appeared as a well-being food and the demand of them are increasing recently. It is urgent to study especially about the functional materials of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ion and comparison several functio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의 주식작물인 벼와 국내에서 유기농으로 재배 · 생산된 수종의 잡곡종자에 대한 지방산조성, 총 안토시아닌과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여 잡곡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식작물인 벼와 유기농으로 재배 · 생산된 조, 기장, 수수의 잡곡종자에 대한 지방산조성과 총 안토시아닌 및 총 페놀 함량 그리고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여 벼와 비교하여 유기농 잡곡에 대한 지식정보 및 잡곡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잡곡이란? 잡곡은 식량작물 중 백미와 찹쌀을 제외한 보리, 율무, 콩, 조, 기장, 수수, 옥수수 등을 말하며, 쌀과 비교하여 열등작물로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잡곡에는 비타민, 무기질 및 식이섬유가 쌀의 2~3배 정도 많고 기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건강을 유지시키는 보조식량으로서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Kim and Lee, 2006).
국외에서 잡곡에 대한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국외에서는 잡곡에 대한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로 흑태의 항산화효과(Tsuda et al., 1996), 지방산에 대해서는 불포화지방산이 항당뇨, 동맥경화증의 예방, 항염증에 대한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Houseknecht et al., 1998; Rudel, 1999; Yu et al.
쌀과 비교하여 열등작물로서 여겨져 왔던 잡곡에는 어떤 성분이 들어 있으며, 어떤 역할을 하는가? 잡곡은 식량작물 중 백미와 찹쌀을 제외한 보리, 율무, 콩, 조, 기장, 수수, 옥수수 등을 말하며, 쌀과 비교하여 열등작물로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잡곡에는 비타민, 무기질 및 식이섬유가 쌀의 2~3배 정도 많고 기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건강을 유지시키는 보조식량으로서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Kim and Lee,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hn, D. K. 1998.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herbs.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p. 887. 

  2. Chan Sik Jung, Yong Jim Park, Yil Chan Kwon, and Hyung Soo Suh. 1996. Variation of Anthocyanin Content in Color-Sobean Collections. Korean J. Crop Sci. 41(3): 302-307. 

  3. Dykes, L. and L. W. Rooney. 2006. Sorghum and millet phenols and antioxidants. J Cereal Sci. 44: 236-251. 

  4. Eun-Seob Yi, Yong-Sun Lee, Hee-Dong Kim, Yong-Ho Kim. 2008. Variation of Anthocyanin Contents according to Collection Site and Maturity in Black Soybean. Korean J. Crop Sci. 53(4): 376-381. 

  5. Fang, Y. Z., S. Yang, and G. Wu. 200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nutrition. 

  6. Francis, F. J. 1984. Future trends. In Developments in Food Colors-2. Walford J, ed. Applied Science Publishers, New York, USA. pp. 233-247. 

  7. Houseknecht, K. L., J. P. V. Heuvel, S. Y. Moya-Camarena, C. P. Portocarrero, L. W. Peck, K. P. Nickel, and M. A. Belury. 1998.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normalizes impaired glucose tolerance in zucker diabetic fatty fa/fa rat. Biochem Biophys Res Commun. 244: 678-682. 

  8. Hyun, Y. H. 2000. Food material. Hyungseul publish, Seoul, Korea. pp. 47-56. 

  9. Jea-Jung Lee, Chang-Hoon Cho, Ji-Yeon Kim, Dong-Suk Lee, and Han-Book Kim.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Substances Extracted by Alcohol from Chungkookjang Powder.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3): 177-181. 

  10. Ki-Min Woo, Young-Sang Lee, and Yong-Ho Kim. 2005. Antioxidant Effects of Tocotrienol in Rice Bran. Korean J. Crop Sci. 50(S): 4-7. 

  11. Kim, Y. S. and G. C. Lee, 2006. A survey on the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degree of the cooked rice mixed with multi-grain in Seoul. Kyeonggi and Kangwon area. Korean J Food Culture. 21: 661-669. 

  12. Lee, H. K., K. S. Woo, S. H. Lee, and S. H. Woo.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and Antioxidant Activites of Cereals and Legume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9): 1399-1404. 

  13. Rudel, L. L. 1999. Atherosclerosis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Br J Nutr. 81: 177-179. 

  14. Ryu, S. N., S. J. Han, S. Z. Park, and H. Y. Kim. 2000. Antioxidative and varietal difference of cyanidin-3-glucoside and pelagonidin-3-glucoside contents in pigmented rice. Korean J. Crop Sci. 

  15. Sa Jae-Hoon, Lee Tea-Wook, Kim Tea-Woo, Park Keun-Young, Lee Woan, Shin In-Cheol, Jeong Kyung-Jin, Han Kyu-Seok, Shim Tea-Heum, and Oh Heng-Seok. 2005.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Small Black Soybean (Yak-Kong) Products. Rep. Inst. Health & Environ. 16: 53-62. 

  16. Seon-Mi Ahn, Han-Su Jang, In-Sook Kwun, and Ho-Yong Sohn. 2009.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erial Bulbils of Dioscorea batatas Decne.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3): 266-272. 

  17. Tsuda T., K. Shiga, K. Ohshima, S. Kawakishi, and T. Osawa. 1996.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the active oxygen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anthocyanin pigments isolated from Phaseolus vulgaris L. Biochem Pharmacol. 52: 1033-1039. 

  18. Yu, Y., P. H. Correll, and J. P. Heuvel. 2002. Conjugated linoleic acid decreases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products in macrophages: evidence for a PPAR-dependent mechanism. Biochim Biophys Acta. 1581: 8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