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식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한국인 상용 음식과 식품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common Korean dishes and foods among professionals in related fields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5 no.6, 2012년, pp.562 - 576  

이상은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민지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영희 (국립농업과학원) ,  정효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양윤경 (국립농업과학원) ,  백희영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품, 영양, 조리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007~2009년)의 식사섭취자료에서 추출한 총 512종의 상용 음식 및 식품에 대한 한식 인식률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1)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한 한식 관련 분야 전문가 117명의 한식 인식률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한식 인식률은 512종 항목에 대해 '한식이다'라고 응답한 대상자의 비율을 구해 5개 범주 (25% 미만, 25~50% 미만, 50~75% 미만, 75~90% 미만, 90% 이상)로 분류하였고, 국민건강영양조사의 28개 음식군체계에서 '당류'의 '설탕'과 '유지류'의 마요네즈와 참기름은 조리 시 주로 사용되는 용도를 반영해 '장류, 양념류'로 재분류한 후 '유지류'군은 생략하고 '죽 및 스프류'군을 각각 '죽류'군과 '스프류'군으로 분리시킨 28개 음식군으로 체계화하여 분석하였다. 2)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7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p < 0.0001) 연령은 대부분 40~60세 미만이었다. 전문 분야별 대상자 수는 조리, 영양, 식품 분야 순으로 많았으며, 자신의 전문 분야에 10년 이상 종사한 사람의 비율이 약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거주 기간이 1년 미만인 대상자와 반대로 5년 이상의 장기 해외거주 경험을 가진 대상자들의 비율은 각각 34%, 32%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3) 조사대상자의 90% 이상이 '한식이다'라고 응답한 음식은 28개 음식군에 포함된 총 512종의 항목 중에 266종으로 52%였다. 각 음식군별로 설문에 제시된 항목 중 '밥류' 43%, '면류 및 만두류' 41%, '죽류' 57%, '국 및 탕류' 90%, '찌개 및 전골류' 86%, '찜류' 93%, '구이류' 50%, '전, 적 및 부침류' 82%, '볶음류' 73%, '조림류' 73%, '나물, 숙채류' 100%, '생채, 무침류' 71%, '김치류' 100%, '젓갈류' 100%, '장아찌, 절임류' 58%, '장류, 양념류' 41%, '곡류, 서류 제품' 50%, '과일류' 6%, '채소, 해조류' 17%, '음료 및 차류' 26%, '주류' 20%, '빵 및 과자류' 3%에 해당하는 항목을 대상자의 90% 이상이 '한식이다'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나물류, 김치류, 젓갈류의 음식을 우리나라의 대표적 전통 음식이라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튀김류', '수, 조, 어, 육류', '두류, 견과 및 종실류', '유제품류 및 빙과류', '당류', '스프류'는 한식 인식률이 90% 이상인 항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제품류 및 빙과류', '당류', '스프류' 항목 대부분은 한식 인식률이 25% 미만인 것으로 나타나 이들 음식군에 대해 대상자들이 '한식이다'라고 인식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4) 대상자의 전문 분야에 따라 512종의 항목에 대한 한식 인식률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35종 항목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 < 0.05). 한식 인식률에 전문 분야별 유의적 차이가 있었던 35종 항목 중에 조리 분야 전문가들이 나머지 두 분야 전문가들에 비해 높은 한식 인식률을 보인 항목이 더 많았고, 반대로 식품 분야 전문가들이 두 그룹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한식 인식률을 보인 항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른 한식 인식률을 분석한 결과 해외거주 경험이 한식 인식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을 해외거주 기간에 따라 1년 미만, 1~3년 미만, 3~5년 미만, 5년 이상으로 분류하여 한식 인식률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그룹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p < 0.05) 해외거주 기간이 5년 이상인 전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n-sik is a term in Korean that may indicate any Korean dish or food. At present, there is no general consensus on the definition of Han-sik among scholars or professionals in related fiel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Han-sik by professionals in the fields of food, n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한식의 세계화와 더불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한식의 이미지 구축과 외식산업에서의 위치선점을 위해 한식과 관련된 전반적인 인식 조사도 중요하지만, 한편으로 한식이 세계 시장에 진출할수록 우리나라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상용음식과 식품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한식 인식조사를 다양한 계층에서 실시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식 인식조사를 실시한 선행 연구21)에 이어 한식 관련 전문가들의 한식 인식 실태를 파악하고자 식품, 영양, 조리 분야 전문가들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상용음식과 식품에 대한 한식 인식여부를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식품, 영양, 조리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007~2009년)의 식사섭취자료에서 추출한 총 512종의 상용 음식 및 식품에 대한 한식 인식률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1) Dishes are arranged by descending order of Han-sik perception response rate.
  • 1) Foods are arranged by descending order of Han-sik perception response rat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식으로 인식되는 밥류의 종류는 무엇인가? ‘밥류’의 경우 비빔밥, 잡곡밥류, 콩밥류는 대부분의 대상자들이 한식이라고 응답하였으나, 현대사회에서 편의식으로 청소년들과 젊은 층에서 많이 소비되고 있는 삼각김밥의 경우 한식 인식률이 50% 미만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도 짜장밥, 카레라이스 같은 덮밥류나 오므라이스, 알밥, 초밥 등의 일품음식들에 대한 한식 인식률은 25% 미만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자의 90% 이상이 ‘한식이다’라고 응답한 음식 종류는 무엇인가? 설문조사에 포함된 상용 음식 중에 ‘나물, 숙채류’, ‘김치류’와 ‘젓갈류’에 포함된 모든 항목에 대해 조사대상자의 90% 이상이 ‘한식이다’라고 응답하였으나, 반대로 ‘튀김류’의 경우 한식 인식률이 90% 이상인 항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튀김이라는 조리법 자체가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조리법이라고 여겨지지 않아서일 것으로 사료된다.
언제부터 먹기 시작한 음식과 식품을 한식으로 볼 것인가에 대한 기준은 어떻게 보고되어져 왔는가? 한식에 대한 연구에서 당면하게 되는 문제 중 하나는 언제부터 먹기 시작한 음식과 식품을 한식으로 볼 것인가에 대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한국 전통 문화라면 흔히 조선시대의 것을 전형적인 것으로 여기는데 이런 점은 음식 문화에서도 반영된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1) 조선후기에 지금과 같은 재료들이 모두 이용되었고, 조리상으로 찌거나 굽거나 끊이거나 삶거나 볶는 방법 등이 모두 사용되었기 때문에 한식이 완성된 시기를 조선 후기로 보고 있다.3) 그러나 어느 시기의 음식부터 한식으로 간주할 것인지에 대해 현재까지는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기준은 없다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 HY.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Korean J Diet Cult 1998; 13(1): 1-8 

  2. Lee MJ, Popkin BM, Kim S. The unique aspects of the nutrition transition in South Korea: the retention of healthful elements in their traditional diet. Public Health Nutr 2002; 5(1A): 197-203 

  3. Moon HK. Seminar for Korean food culture/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diet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Food Sci Ind 1994; 27(2): 38-54 

  4. Moon HK, Chung HR, Cho EY. Analysis of menu patterns from the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in 1990. Korean J Diet Cult 1994; 9(3): 241-250 

  5. Kim KO, Lee SK, Kang JH, Kim YS, Kim JS, Kim HR, Kim HS, Moon HK, Park YH, Baik HW, Son JW, Song WO, Ok SH, Lee KI, Lee SY, Joung HK, Choi JH. Hansik and health. Suw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0 

  6. Choi J, Moon HK. Dietary pattern by sex and age with menu analysis using 1998,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f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6): 798-814 

  7. Cho MS. A study of intakes of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Food Cult 2003; 18(6): 601-612 

  8. Chang HJ, Choi BR, Yi NY, Park BS, Kim HS. Preferences and product development opinions of Koreans and non-Koreans regarding commercialization of Korean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10; 26(4): 458-468 

  9. Lee JM, Oh SY. Traditional and mordern food use in Korean adults in Seoul. Korean J Diet Cult 1996; 11(2): 147-154 

  10. Jung HJ, Moon SJ, Lee L, Yu CH, Paik HY, Yang IS, Moon HK. Evaluation of elementary school lunch menus based on maintenance of the traditional dietary pattern. Korean J Nutr 2000; 33 (2): 216-229 

  11. Moon HK. Analysis of menu in school food service: comparing the use of traditional menu between 1995 and 2001. J Korean Diet Assoc 2003; 9(1): 47-56 

  12. Bae YM, Song DH, Ahn HS. Perceptions of traditional Korean foods and satisfaction levels toward school foodservi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parents of schools serving traditional Korean menus in Gyeonggi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2011; 17(2): 118-129 

  13. Kim JH, Lee JE, Yoon JH, Lim YS, Yoo JY, Jung IK. Perceptions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Gyoenggi province of Korea.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08; 19(1): 63-74 

  14. Hong H, Kim JY, Lee JS. Survey on Korean food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focused on side dishes. Korean J Nutr 2006; 39(7): 707-713 

  15. Moon SJ, Song JS. Study on food quality of Korean restaurant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in Chinese university or college students - focused on different awareness of Korean food -. Korean J Food Cult 2012; 27(3): 258-293 

  16. Kim TH, Lee EJ, Lee EJ. A study on perception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food-related majors. Korean J Food Cult 2009; 24(6): 597-606 

  17. Lee BS, Park HJ, Jung JW.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traditional food by generations in Busan area. Korean J Culinary Res 2010; 16(4): 1-14 

  18. Choe JS, Park HS, Park S, Lee J, Kang M.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industrialization of local cuisine. Korean J Food Cult 2012; 27(3): 233-239 

  19. Cha SM, Chung L, Chung SJ, Kim KO, Lee SR, Kim HR, Han GJ, Lee JY. Comparative analysis on preference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in foreigners and Koreans. Korean J Food Cult 2012; 27(3): 294-303 

  20. Kim J. Universalizing Korean food. Korean J Food Cult 2005; 20(5): 499-507 

  21. Park YH, Kang M, Baik HW, Oh SW, Park SJ, Paik HY, Choe JS, Lee JY, Kang MS, Joung H. A study on the perception as HANSIK (Korean food) for the common dishes in Korean adults resid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5): 555-578 

  22. Lee EH.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Korean sugar consumer culture. J Korean Hist 2012; (157): 191-2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