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스팅 커피와 홍삼 혼합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효과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Roasted Coffee and Red Ginseng Mixture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3, 2012년, pp.320 - 326  

최유현 ((주)에이치씨글로벌 기술연구소) ,  김상은 ((주)에이치씨글로벌 기술연구소) ,  허진 (동국대학교 과학기술대학 바이오학부) ,  한영환 (동국대학교 과학기술대학 바이오학부) ,  이문조 ((주)에이치씨글로벌 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홍삼분말과 커피분말의 혼합비율에 따른 추출물에서의 항균효과와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해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그람 음성균 3종과 그람 양성균 3종 및 진균 1종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은 모든 균주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나 비교적으로 약한 항균효과를 보였고, 에탄올 추출물은 그람음성 균주 E. coli와 진균인 C. albicans 2종에서는 항균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나머지 균주에서는 열수 추출보다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B. cereus 균주에서는 모든 샘플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고, ES2 샘플은 P. aeruginosa와 S. Typhimurium 균주에서 각각 19 및 20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고, 0.25 및 0.125 mg/mL의 농도로 MIC를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한 항균성을 보인 대부분의 시료에서 0.5~1.0 mg/mL의 MIC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DPPH 자유기 소거효과를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에서는 열수 추출물에서 55.38~60.01%, 에탄올 추출물에서 59.37~70.50%로 AA보다는 약하지만 BHT의 결과와 비슷하여 비교적 높은 자유기 소거효과를 보였다. 총 폴리페놀화합물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93.57~109.18 mg/g으로 커피와 홍삼의 혼합비율이 9:1일때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105.16~119.79 mg/g으로 혼합비율이 7:3일 때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대체로 에탄올 추출물에서 총 페놀화합물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혼합 비율에 따라 각 시료의 항균 효과와 항산화력 역시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홍삼의 일반 식품 이용가능성으로 커피와의 함량 조절로 커피의 항균효과와 항산화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특정 생리활성물질의 분석과 생리활성기능을 연관 지어 연구를 진행한다면 기존의 기호음료로서의 커피에서 기능성 음료로서의 커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a mixture of roasted coffee and red ginseng.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each extract were determined by the classical paper disc method. A water extract of mixture samples in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홍삼분말과 커피분말의 혼합비율에 따른 추출물에서의 항균효과와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해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그람 음성균 3종과 그람 양성균 3종 및 진균 1종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은 모든 균주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나 비교적으로 약한 항균효과를 보였고, 에탄올 추출물은 그람음성 균주 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삼이란 무엇인가? 인삼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동양에서 강장제로서 정신을 안정시키고, 장복하면 몸이 가뿐하게 되어 수명이 연장된다고 많은 고서에 기록되어 있으며 특히 홍삼은 수삼을 증숙한 후 건조하여 제조한 것으로(10) 이러한 과정에서 수삼 또는 백삼과는 다른 성분인 2-methyl-3,3-hydroxypyrone(maltol)이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11). 그리고 홍삼의 유효성분인 사포닌이 발효미생물인 젖산균뿐만 아니라 식물 병원성 곰팡이의 생육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13).
커피란 무엇인가? 커피는 쓴맛, 신맛, 떫은 맛 및 구수한 맛 등의 독특한 맛과 향기 등이 조화되어 만들어지는 대표적인 기호식품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음용하는 커피음료는 커피 원두를 배전 (roasting) 과정을 거쳐서 커피 고유의 향과 맛이 나오며, 복합적인 물리 화학적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커피음료의 섭취효과에 관련된 연구는 어떤 것이 있는가? 커피의 항산화에 대한 연구로 다양한 음료에서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레드와인보다 커피의 페놀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 그 외 커피의 섭취효과에 관련된 연구는 커피의 섭취가 LDL-콜레스테롤과 MDA(malondialdehyde)의 수치를 낮추는 효과(2), 췌장염의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보고(3), 열발생과 지방분해를 증가시켜 체중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체지방을 개선(4,5), 2형 당뇨의 발병을 낮춘다는 보고가 있으며(6), 볶은 원두의 유기용매 추출물 및 열수추출물의 건조물에 대한 항산화성(7) 과 항균성도 연구가 되고 있다(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arakaya S, El SN, Tas AA.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food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Int J Food Sci Nutr 52: 501-508. 

  2. Yukawa GS, Mune M, Otani H, Tone Y, Liang XM, Iwahashi H, Sakamoto W. 2004. Effects of coffee consumption on oxidative susceptibility of low-density lipoproteins and serum lipid levels in humans. Biochem 69: 70-74. 

  3. Morton C, Klatsky AL, Udaltsova N. 2004. Smoking, coffee, and pancreatitis. Am J Gastroenterol 99: 731-738. 

  4. Park JY, Kim JY, Lee SP, Lee JH. 2010. The effect of green coffee bean extract supplementation on body fat reduction in overweight/obese women. Korean J Nutr 43: 374-381. 

  5. Greenberg JA, Boozer CN, Geliebter A. 2006. Coffee, diabetes, and weight control. Am J Clin Nutr 84: 682-693. 

  6. Salazar ME, Willett WC, Ascherio A, Manson JE, Leitzmann MF, Stampfer MJ, Hu FB. 2004. Coffee consumption and risk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Ann Intern Med 140: 1-8. 

  7. Rhi JW, Shin HS. 1993. Antioxidative effect of brown materials extracted from roasted coffee beans. J Food Sci Technol 25: 220-224. 

  8. Daglia M, Papetti A, Dacarro C, Gazzani G. 1998. Isolation of an antibacterial component from roasted coffee. J Pharm Biomed Anal 18: 219-225. 

  9. Antonio AG, Moraes RS, Perrone D, Maia LC. 2009. Species, roasting degree and decaffeination influenc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coffee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Food Chem 118: 782-788. 

  10. Park JS, Cho YJ, Pyee JH, Hong HD. 2006. Meta-analysis of studies and patents on Korean ginseng in recent 5 years in Korea and prospective needs. J Ginseng Res 30: 212-219. 

  11. Ku SK, Choi HY.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ginseng sweet jelly (yanggaeng).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219-226. 

  12. Nam SH. 1979. Studies on the effect of Korean ginseng components on acetic acid fermentation.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3. Cho TH, Oh SW, Yu IH, Yu TJ. 1986. Influences of Fusarium solani and Phytophthora cactorum on the changes in saponin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J Ginseng Res 10: 180-189. 

  14. Kwak YS, Hwang MS, Kim SC, Kim CS, Do JH, Park CK. 2006. A growth inhibition effect of saponin from red ginseng on some pathogenic microorganisms. J Ginseng Res 30: 128-131. 

  15. Bhattachary SK, Mirata SK. 1991. Anxiolytic activity of Panax ginseng roots: man experimental study. J Ethnopharmacol 34: 87-92. 

  16. Yun HC, Choi HJ, Yun JS. 1992. Effect of ginseng saponins on monoamines and serum corticosterone in heat-stress mice. Acta Pharmacol Sin 10: 492-496. 

  17. Jang SK, Kim JH, Chung YS, Ahan OC, Kang M, Lee DK, Kim SK. 1994.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immunopotential and anticancer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Korean J Ginseng Sci 18: 151-159. 

  18. Kimura M, Wakai I, Kikuchi T. 1981. Hypoglycemic components from Ginseng radix and the action insulin release. Proc Symp Wakan Yaku 14: 125-130. 

  19. Kim WJ, Kim SK, Hwang SY, Lee HL, Choi JS, Kwak YS. 1999. Korean red ginseng improves survival and sperm quality in guinea pigs exposed to 2,3,7,8-tetrachlorodibenzop- dioxin. Proceedings of '99 Korea-Japan Ginseng Symposium, Seoul, Korea. p 134-149. 

  20. Joo CN. 1980. The protective effect of Korean ginseng saponins on arotic atheroma formation in prolonged cholesterol fed rabbits. Proceedings of 3rd Int`l Ginseng Symposium, Korea Ginseng Research Institute. p 27-36. 

  21. Kwak YS, Wee JJ, Hwang SY, Kyung JS, Nam KY, Kim SK. 2000. Effect of crude saponin from Korean red ginseng on clinical parameters of ovariectomized rat. J Ginseng Res 24: 46-50. 

  22. Fulder S, Hallstrom C, Caruthers M. 1980. The effect of ginseng on the performance of nurses on night duty. Proceedings of 3rd Int'l Ginseng Symposium, Korea Ginseng Research Institute. p 81-85. 

  23. Li G, Wang Z, Sun Y, Liu K, Wang Z. 2006. Ginsenoside 20(S)-protopanaxadiol inhibits the proliferation and invasion of human fibrosarcoma HT1080 cell. Basic Clin Pharmacol Toxicol 98: 588-592. 

  24. Shin JY, Song JY, Yun YS, Yang HO, Rhee DK, Pyo S. 2002. Immunostimulating effects of acidic polysaccharide extract of Panax ginseng on macrophage function.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4: 469-482. 

  25. Kim JY, Han YS. 2009. Influence of roasting time on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offee extract.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96-505. 

  26. Choi JS, Oh JI, Hwang IT, Kim SE, Cheon JC, Lee BH, Kim JS, Kim TJ, Cho KY. 2003. Application and high throughput screening of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y using 96-well plate. Korean J Pesticide Sci 7: 92-99. 

  27. Buchanan RL, Fletcher AM. 1978. Methylxanthine inhibition of aflatoxin production. J Food Sci 43: 654-655. 

  28. Nartowicz VB, Buchanan RL, Segall S. 1979. Aflatoxin production in regular and decaffeinated coffee beans. J Food Sci 44: 446-448. 

  29. Ibrahim SA, Salameh MM, Phetsomphou S, Yang H, Seo CW. 2006. Application of caffeine, 1,3,7-trimethylxantine to control Escherichia coli O157:H7. Food Chem 99: 654-650. 

  30. Baranowski JD, Nagel CW. 1982. Inhibition of Pseudomonas fluorescens by hydroxycinnamic acids and their alkyl esters. J Food Sci 47: 1587-1589. 

  31. Herald PJ, Davidson PM. 1983. Antibacterial activity of selected hydroxycinnamic acids. J Food Sci 48: 1378-1379. 

  32. Garrote G, Cruz JM, Moure A, Dominguez H, Parajo JC.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byproducts from the hydrolytic processing of selected lignocellulosic materials. Trends Food Sci Technol 15: 191-200. 

  33. Choi GH, Kim KC, Lee KH. 2010.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soft tofu supplemented with red ginseng extract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414-420. 

  34. Kim SI, Ko SH, Lee YJ, Choi HY, Han YS.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supplemented with red ginseng extract.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58-366. 

  35. Holasova M, Fiedlerova V, Smrcinova H, Orsak M, Lachman J, Vavreinova S. 2002. Buckwheat the source of antioxidant activity in functional foods. Food Res Int 35: 207-2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