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뭄은 태풍이나 집중호우 등 다른 자연재해와는 달리 발생시점이 명확하지 않으며, 가뭄발생 시 피해지역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사회 경제적으로 겪는 피해가 매우 크다. 따라서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가뭄에 대한 평가 및 이에 대한 대응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학적 인자와 사회경제적인 인자에 대한 여러 가지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가뭄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가뭄의 발생확률을 바탕으로 가뭄 노출성 지수(DHI)와 가뭄의 사회경제적인 영향을 반영하는 가뭄 취약성 지수(DVI)를 개발하고, 두 인자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가뭄 위험도 지수(DRI)를 개발하였다. 행정구역별로 산정된 DRI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지역적 가뭄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었으며, 가뭄 위험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농업 밀집지역인 전라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뭄 위험도 지도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가뭄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ce drought occurs, it results in the extensive affected area and considerable socio-economic damages. Thus, it is necessary to assess drought risk and to prepare its counterplans. In this study, using various observation data on meteorological and socio-economical factors, drought risk was evalu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가뭄의 특성상 단기간의 강수로 인해 가뭄이 해갈되어질 수 있음을 고려해 볼 때, SPI와 PDSI와 같이 월별 모의 또는 주별 모의로 계산되어지는 기존의 가뭄지수보다는 일 가뭄의 상태 및 가뭄의 해갈 및 종료일을 계산할 수 있는 가뭄지수의 도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DI(Effective Drought Index)를 이용하여 가뭄의 심도를 정량화하고, 가뭄 취약정도를 나타내어 주는 사회경제적 인자를 선정하여 우리나라의 가뭄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가뭄 발생특성을 고려한 가뭄 노출성과 가뭄 취약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가뭄 위험도 지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기상청 산하 53개 강우관측소 일강우량을 이용하여 EDI를 산정하고, 이에 대한 가뭄 발생특성을 행정구역별로 도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가뭄피해 취약정도에 따라 가뭄으로 인한 피해가 경제적, 환경 및 사회적으로 큰 영향 및 파급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가뭄 위험도 분석에 반영하기 위해 가뭄발생으로 인한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를 선정하였다. 과거 가뭄피해현황을 살펴보면, 도시지역의 인구밀집지역에서는 생활용수의 부족으로 극심한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농업지역에서는 농업용수의 부족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크게 발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 위험도란 무엇인가? 가뭄 위험도는 가뭄의 빈도와 심도, 공간적 범위의 재해 노출성(Hazard)과 가뭄재해의 영향으로 인간의 활동을 저해하는 취약성(Vulnerability)의 조합으로 정의한다. 재해 노출성은 잠재적 위험현상의 발생확률을 대표하며, 취약성은 위험현상 발생으로 인한 손실의 정도로 나타낼 수 있다.
EDI란 어떤 방법이며, 무엇을 계산하는가? EDI는 강우의 발생으로 생긴 수자원을 일 년 이상의 지속적인 기간 동안 누적하여, 이를 평년치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가뭄심도를 계산한다. 이는 강우량을 이용하여 일별 가뭄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계산과정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EDI의 장점은 무엇인가? EDI는 강우의 발생으로 생긴 수자원을 일 년 이상의 지속적인 기간 동안 누적하여, 이를 평년치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가뭄심도를 계산한다. 이는 강우량을 이용하여 일별 가뭄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계산과정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산정절차는 식 (2)와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권형중, 김성준 (2007) 국가 지하수 관측망 자료를 이용한 가뭄 평가 방법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2호, pp.197-199. 

  2. 안소라, 권형중, 박종윤, 김성준 (2008) 금강유역 용수구역 단위의 농업가뭄지도 작성.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3576-3579. 

  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 시스템 구축 III. 

  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9) 기후변화 적응 강화를 위한 사회기반시설의 취약성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5. Byun, H.R. and Wilhite, D.A. (1999) Objective quantification of drought severity and duration, Journal of Climate, Vol. 12, Issue 9, pp. 2747-2756. 

  6. Goddard, S., Harms, S.K., Reichenbach, S.E., Tadesse, T., and Waltman, W.J. (2003) Geospatial decision support for drought risk management.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46, Issue 1, pp. 35-37. 

  7. Hayes, M.J., Wilhelmi, O.V., and Knutson, C.L. (2004) Reducing drought risk: bridging theory and practice, Natural Hazards Review, Vol. 5, No. 2, pp. 106-113. 

  8. Hisdal, H., Stahl, K., Tallaksen, L.M., and Demuth, S. (2001) Have streamflow droughts in Europe become more severe or frequ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1, Issue. 3, pp. 317-333. 

  9. Houghton, J.T., Ding, Y., Griggs, D.J., Noguer, M., van der Linden, P.J., and Xiaosu, D.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Vol. 57, Issue 8, pp. 267-269. 

  10. Knutson, C., Hayes, M., and Phillip, T. (1998) How to Reduce Drought Risk. A Guide Prepared by the Preparedness and Mitigation Working Group of the Western Drought Coordination Council.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Lincoln, Nebraska. 

  11. Lal, M. and H., Harasawa (2001)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for Asia as inferred from selected coupled atmosphere-ocean global climate models.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Vol. 79, No.1, pp. 219-227. 

  12.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5)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ime scales. AMS 9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Dallas, Texas. 

  13. Oliver, J.E. (2005) Encyclopedia of World Climatology. Springer, Berlin Heidelberg New York, pp. 855. 

  14.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Research paper No. 45, U.S. Department of commerce weather bureau, Washington, D.C. 

  15. Shahid, S. and Behrawan, H. (2008) Drought risk assessment in the western part of Bangladesh, Natural Hazards, Vol. 46, No. 3, pp. 391-413. 

  16. Tsakiris, G., Pangalou, D., and Vangelis, H. (2006) Regional drought assessment based on the Reconnaissance Drought Index (RDI).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1, No. 5, pp. 821-833. 

  17. Wilhite, D.A. (2000) Drought as a natural hazard: concepts and definitions. Drought: A global assessment, Routledge Publishers, UK. 

  18. Wu, H. and Wilhite, D.A. (2004) An operational agricultural drought risk assessment model for Nebraska. Natural Hazards, Vol. 33, No. 1, pp. 1-21. 

  19. Wu, H., Hubbard, K.G., and Wilhite, D.A. (2004) An agricultural drought risk-assessment model for corn and soybean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4, No. 6, pp. 723-7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