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아조건에 따른 보리의 GABA 함량 및 영양성분 변화
The Effects of Germination Conditions on GABA and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Barley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1, 2012년, pp.41 - 47  

차미나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전현일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송근섭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영수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보리의 GABA 함량을 높일 수 있는 제조조건(수침과 발아)을 확립하여 GABA 고함유 발아보리를 제조하고, 발아에 의한 영양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분흡수량과 수침용액의 pH는 수침 초기 6시간까지 급격하게 변화하였고, 보리종류 및 수침온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보리 원맥의 GABA 함량은 쌀보리 4.1 mg/100 g, 겉보리 1.4 mg/100 g 및 찰보리 2.5 mg/100 g이었으며, $25^{\circ}C$에서 24시간 수침 후에 쌀보리 10.4 mg/100 g, 겉보리 14.1 mg/100 g 및 찰보리 10.9 mg/100 g으로 증가되었다. 한편, 발아보리의 GABA 함량은 쌀보리 15.8 mg/100 g (48시간, $25^{\circ}C$), 겉보리 20.9 mg/100 g(36시간, $15^{\circ}C$) 및 찰보리 14.3 mg/100 g(36시간, $5^{\circ}C$)으로 보리 품종에 따라 발아조건은 다르게 나타났다. 수침과 발아 후에 원맥보다 쌀보리는 3.9배, 겉보리는 14.6배 및 찰보리는 5.8배 GABA 함량이 증가하였다. 발아에 의한 보리의 영양성분 변화는 일반성분에서 원백보다 조지방, 조회분, 무기질 및 ${\beta}$-glucan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지방산 조성에서 원백보다 linoleic acid는 증가하고 oleic acid는 감소하였다. 한편, 보리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이었고, ${\beta}$-glucan 함량은 발아에 의하여 쌀보리 0.84배, 겉보리 0.94배 및 찰보리 0.94배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eeping and germination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produce barley containing a high ${\gamma}$-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and the changes in GABA and nutritional components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were also evaluated in this study. Water absorption rates of th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리의 GABA 함량을 증진하기 위한 제조조건(수침과 발아)을 확립하여 GABA 고함유 발아보리를 제조하고 발아에 의한 영양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리는 어떻게 분류하는가? 보리는 세계적으로 많이 소비되는 곡물 중에 하나이며, 단백질, 지방 및 무기질 등의 영양성분을 고르게 함유하여 영양학적으로 매우 우수하다(1-4). 보리는 껍질이 잘 분리되어 식용으로 사용하는 쌀보리(naked barley)와 껍질이 분리되지 않아서 사료로 사용하는 겉보리(hulled barley)로 나눌 수 있으며, 쌀보리는 다시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의 함량에 따라서 찰보리(glutinous barley, waxy barley)와 메보리(non waxy barley)로 나누는데, 찰보리는 메 보리보다 아밀로펙틴의 함량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취반 특성과 식감을 개선되어 소비자들이 식용으로 주로 이용하고 있다(1).
보리의 특징은 무엇인가? 보리는 세계적으로 많이 소비되는 곡물 중에 하나이며, 단백질, 지방 및 무기질 등의 영양성분을 고르게 함유하여 영양학적으로 매우 우수하다(1-4). 보리는 껍질이 잘 분리되어 식용으로 사용하는 쌀보리(naked barley)와 껍질이 분리되지 않아서 사료로 사용하는 겉보리(hulled barley)로 나눌 수 있으며, 쌀보리는 다시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의 함량에 따라서 찰보리(glutinous barley, waxy barley)와 메보리(non waxy barley)로 나누는데, 찰보리는 메 보리보다 아밀로펙틴의 함량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취반 특성과 식감을 개선되어 소비자들이 식용으로 주로 이용하고 있다(1).
γ-aminobutyric acid(GABA)의 특징은 무엇인가? 여러 생리활성 물질 중에서도 비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의 일종인 GABA는 glutamate decarboxylase(GAD)의 탈탄산 작용에 의해 glutamic acid로부터 전환되며, 혈압상승,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증가 억제, 뇌의 혈류 개선, 항비만, 항불안 및 통증 완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어 기능성 식품소재로 많이 이용되는 물질이다(8,9). 일반적으로 곡물의 발아 과정에서는 GABA 함량이 증가하며, GABA의 생성은 수분, 온도, 칼슘제제, 키토산 제제, glutamate, 기계적 자극, 산소결핍 등의 외부적 환경 요인을 조절하여 증가시키는 방법들이 보고되어져 있다(1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im YS, Lee YT, Seong HM.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from waxy and non-waxy hull-less barley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240-245 (1999) 

  2. Ju JI, Lee KS, Min HI, Lee BJ, Kwon BG, Gu JH, Oh MJ.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barley according to days after heading. Korean J. Crop Sci. 52: 36-44 (2007) 

  3. Cho MZ. Studies on the variation of diet fiber content according to pearling ratio of barley. J. Korean Home Econ. Asso. 33: 181- 186 (1995) 

  4. Jung EY, Yum CA, Kim SK, Jang M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earled, cutted, and pressed barley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290-294 (1987) 

  5. Oh HJ, Lee SR. Physiological function in vitro of $\beta$ -glucan isolated from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689-695 (1996) 

  6. Bamforth CW, Barclay AHP. Malting technology and the uses of malt. pp. 297-354. In: Barley: Chemistry and Technology. Macgregor AW, Bhatty RS (eds).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ry. St. Paul, MN, USA (1993) 

  7. Lee YT. Effects of malt modification on $\beta$ -glucan solubility and beer viscos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360-363 (2008) 

  8. Bown AW, Shelp BJ. The metabolism and functions of -aminobutyric acid. Plant Physiol. 115: 1-5 (1997) 

  9. Zhang H, Yao HY, Chen F, Wang X.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lutamate decarboxylase from rice germ. Food Chem. 101: 1670-1676 (2007) 

  10. Choi HD, Park YK, Kim YS. Effect of pretreatment conditions on -aminobutyric acid content of brown rice and germination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61-764 (2004) 

  11. Jeon GU, Lee HS, Yoon JM, Jang SH.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selected medicinal plant extracts on GABA content after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54-158 (2010) 

  12. Hanaoka Y. Studies on preservation of soy sauce. Enzymatic decomposition of L-aspartic acid in soy sauce by Lactobacilli. Hakkokogaku. 45: 312-319 (1967) 

  13. Shin JW, Kim DG, Lee YW, Lee HS, Hin KS, Choi CS, Kwon G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brevis AML15. J. Life Sci. 17: 970-975 (2007) 

  14. Cho YU, Chang JY, Chang HC. Production of -aminobutyric acid (GABA) by Lactobacillus buchneri isolated from kimchi and its neuroprotective effect on neuronal cells. J. Microbiol. Biotechn. 17: 104-109 (2007) 

  15. Lim SD, Kim KS, Do J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ABA produc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RMK567 isolated from raw milk. Korean J. Food Ani. Resour. 29: 15-23 (2009) 

  16. Oh SH, Choi WG. Production of the quality germinated brown rices containing high $\gamma$ -aminobutyric acid by chitosan application. Korean J. Biotechnol. Bioeng. 15: 615-620 (2000) 

  17. Zhang G, Brown AW. The rapid determin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Phytochemistry 44: 1007-1009 (1997) 

  18.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1. 13th ed. Methods 930.04, 930.5, 979.09 and 957.13.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0) 

  19. McCleary BV, Glennie-Holmes M. Enzymatic quantification of (1 $\rightarrow$ 3),(1 $\rightarrow$ 4)- $\beta$ -D-glucan in barley and malt. J. Inst. Brew. 91: 285-295 (1985) 

  20. Chung HJ, Jang SH, Cho HY, Lim ST. Effects of steeping and anaerobic treatment on GABA ( $\gamma$ -aminobutyric acid) content in germinated waxy hull-less barley. LWT-Food Sci. Technol. 42: 1712-1716 (2009) 

  21. Kim SK, Bang JB.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affected by steep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026-1032 (1996) 

  22. Chun HS, Lee MK, Kim HJ, Chang HJ. Microb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traditional steeping process of waxy rice for yukhwa (a Korean oil-puffed snack) production. J. Food Sci. Nutr. 9: 113-120 (2004) 

  23. Son YK, Son JR, Kim SL, Song J, Baek SB, Kim JK, Nam JH. Effect of storage method on seed chemical and germination traits in barley. Korean J. Crop Sci. 47: 201-205 (2002) 

  24. Kim SL, Son YK, Son JR, Hur HS.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Korean J. Crop Sci. 46: 221-228 (2001) 

  25. Oh SH, Moon YJ, Oh CH.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of selected uncooked foods. Nutraceut. Food 8: 75-78 (2003) 

  26. Kiraha M, Okada Y, Iimure T, Ito K. Accumulation and degradation of two functional constituents, GABA and $\beta$ -glucan, and their varietal differences in germinated barley grains. Breeding Sci. 57: 85-89 (2007) 

  27. Cha MN, Yoon Y, Jang SA, Song GS, Kim YS. Quality characteristic of saccharified materials manufactured from germinated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315-320 (2011) 

  28. Ko JY, Song SB, Lee JS, Kang JR, Seo MC, Oh BG, Kwak DY, Nam MH, Jeong HS, Woo KS.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sorghum with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28-1135 (2011) 

  29. Kim HY, Hwang IG, Woo KS, Kim KH, Kim KJ, Lee CK, Lee KS, Jeong HS. Chemical components changes of winter cereal crops with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00- 1704 (2010) 

  30. Seong HM, Kim JS, Hong HD, Kim SS, Kim KT. Change in chemical composition of maturing barley kernels. J. Korean Agric. Chem. Soc. 36: 449-455 (1993) 

  31. Shin JS, Kim YS. Changes of fatty acid during germination by seed pretreatment, SMP, in tobacco. Korean J. Crop. Sci. 50: 156-160. 

  32. Fincher GB. Morpho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endosperm cell walls. J. Inst. Brew. 81: 116-122 (19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