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북지역 발달장애아동의 식행동과 영양소 섭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in Gyeongbuk Area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5 no.1, 2012년, pp.44 - 56  

윤민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최영선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as compared with non-disabled children and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8 students ($4^{th}$ and $5^{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장애아동의 식행동 및 영양소 섭취상태를 비장애아동과 비교하고, 또한 장애아동의 거주형태별, 남녀별 영양소 섭취상태를 조사하고, 장애아동 특유의 식행동과 영양소 섭취량 간에 관련성이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성장기에 있는 아동의 영양은 성장 발달 뿐 아니라 일생의 건강을 좌우하기 때문에 아동의 영양 섭취와 영양관리는 대단히 중요하다. 영양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올바른 식습관의 형성이라 할 수 있다. 올바른 식습관은 적절한 영양섭취로 이어져 신체발육을 양호하게 하고 적절한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며 정서적·지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발달지체나 장애를 지니게 된 아동들이 식생활 문제를 겪는다면 일어나게 될 문제는 무엇인가? 2.3)또한 발달장애 아동들에게는 성장부진, 체중증가, 비만, 빈혈, 식품 알레르기, 약물 사용 등의 상호작용에 따른 문제, 변비, 치아상태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고, 식품섭취의 문제는 영양소의 섭취와 영양 상태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4)장애아동들의 30~50%가 음식물 섭취와 관련된 섭식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정신장애의 정도가 심화될수록 그 심각성이 크다.
올바른 식습관이 미치는 영향은? 영양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올바른 식습관의 형성이라 할 수 있다. 올바른 식습관은 적절한 영양섭취로 이어져 신체발육을 양호하게 하고 적절한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며 정서적·지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oo JO, Kim KH, Byun KW, Son KM, Lee JW, Lee JH, Choi YS. Nutrition through life cycle. PowerBook Co. Seoul; 2011. p.204-229 

  2. Rogers B. Feeding method and health outcom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Pediatr 2004; 145(2 Suppl): S28-S32 

  3. Thommessen M, Riis G, Kase BF, Larsen S, Heiberg A. Energy and nutrient intakes of disabled children: do feeding problems make a difference? J Am Diet Assoc 1991; 91(12): 1522-1525 

  4. Chang NS. Guide book of food service and nutrition management for disabled children.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8 

  5. Chung ON. The effects of behavioral intervention procedures on eating problems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Ph. D. Dissertation]. Gyeongsan: Daegu University; 1996 

  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nual report of special education. Report for a National Assembly investigation. Seoul; 2010 

  7. Park EJ, Moon HK, Lee SS, Park WH.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nutritional statu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Korean J Nutr 2001; 34(2): 188-197 

  8. Park YS, Park KS, Kim CI. Eating behaviors and food preferences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ir handicap.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5): 628-638 

  9. Kim C, Park KS, Park YS. Nutritional status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by residence and by degree of handicap. Korean J Community Nutr 2003; 8(1): 112-119 

  10. Kim EK, An SY, Kim EM, Huh KJ, Kim EK. A comparison of the eating habits and eating behaviors of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3; 8(6): 840-855 

  11. Kim EK, Kim EK, Kim EM.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s between disabled children(mental retardation, autism and cerebral palsy) and non-disabled children: comparison according to the types of handicap. Korean J Community Nutr 2004; 9(2): 121-134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rowth standard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heongwon; 2005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heongwon; 2009 

  14.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2005 

  15. Fung EB, Samson-Fang L, Stallings VA, Conaway M, Liptak G, Henderson RC, Worley G, O'Donnell M, Calvert R, Rosenbaum P, Chumlea W, Stevenson RD. Feeding dysfunction is associated with poor growth and health statu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Am Diet Assoc 2002; 102(3): 361-373 

  16. Gouge AL, Ekvall SW. Diets of handicapped childre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oeconomic correlations. Am J Ment Defic 1975; 80(2): 149-157 

  17. Sullivan PB, Rosenbloom L. Feeding the disabled child. Clinics in developmental medicine. London: Mac Keith Press/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p.1-10 

  18. Kim JD, Bae YK, Cho MS. Eating pattern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y table utensil-hadling skills. J Korean Diet Assoc 2009; 15(2): 139-151 

  19. Hwang MK, Kim YA.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dietary habits between normal and handicapped children in Incheon area. Korean J Soc Food Sci 1997; 13(2): 192-203 

  20. Chang N, Kim YS, Kim KN. Foodservice management i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Korea. J Korean Soc Diet Cult 2001; 16 (2): 187-193 

  21. Kwon JS, Lee HS. Nutrient intakes and the physical activities of the mentally retarded pers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handicap who were accommodated in institutions in Andong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6): 790-7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