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이 진단 직후 유방암 환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및 대응방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Coping Style among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Breast Cancer 원문보기

Asian Oncology Nursing, v.12 no.1, 2012년, pp.35 - 43  

이건숙 (국립암센터) ,  이란 (국립암센터) ,  김동미 (국립암센터) ,  김수현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a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for self-management, and coping style among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ethods: This study used a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은 유방암 진단 후 치료를 위해 입원한 유방암 환자들의 지식 향상과 질병 적응 도모를 목적으로 본 연구가 실시된 기관의 병동에서 2002년부터 실시해 온 유방암 환자 교육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기존 교육프로그램은 간호사 주도하에 2시간 분량의 유방암 진단 및 치료, 림프부종 관리 등의 질병과 치료 중심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따라 다학제적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Fig. 1).
  • 국내에서는 2003년부터 보건복지부 고시에 의해 암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교육 및 상담이 의료수가로 인정되면서 일부 대형병원과 암 전문병원에서 간호사 주도 하에 의사와 간호사, 영양사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 중이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효과 검증에 대한 보고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단 직후 시기에 있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다학제적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 프로그램이 유방암 환자들의 지식, 자가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대응방식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는 추후 프로그램의 수정 및 보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에 참여하는 모든 대상자에게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서면으로 받았으며, 추후 연구 결과가 출판된다는 점과 대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연구 참여를 중단할 수 있음을 알려 주었다. 또한 연구 참여의 장점과 단점, 연구 대상자의 익명성과 비밀유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모든 대상자에게 1인당 5,000원에 상응하는 소정의 선물을 사례하였다.
  • 본 연구는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이 진단 직후 유방암 환자의 지식, 자가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대응방식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이며 2010년 4월부터 9월 사이에 경기도 소재 일개 암전문기관에 유방암 수술을 위해 입원한 유방암 환자 1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연구는 진단 직후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 프로그램이 유방암 환자의 지식, 자가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대응방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one group pre-post test design)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대조군을 두지 못한 이유는 본 연구가 임상 현장에서 이미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기 때문에 연구를 위하여 프로그램을 갑자기 중단할 수 없는 상황적 이유와 윤리적인 이유 때문이었다.
  • 유방암 환자들의 안녕과 삶의 질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진단 시기부터 질병 과정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지지를 제공함으로써 환자들의 질병 적응을 돕고 부정적 문제들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진단 직후 시기에 있는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사용된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은 임상에서 진행하는 입원형 단기 교육프로그램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회성으로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도 임상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큰 의의를 지닌다.
  • 진단 직후의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 프로그램이 유방암 환자의 지식, 자가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대응방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은 유방암 진단 후 치료를 위해 입원한 유방암 환자들의 지식 향상과 질병 적응 도모를 목적으로 본 연구가 실시된 기관의 병동에서 2002년부터 실시해 온 유방암 환자 교육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기존 교육프로그램은 간호사 주도하에 2시간 분량의 유방암 진단 및 치료, 림프부종 관리 등의 질병과 치료 중심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따라 다학제적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Fig.

가설 설정

  • 둘째,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는 유방암 환자의 자가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교육 참여 전보다 교육 참여 후에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유방암의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최근 유방암의 치료는 1차적으로 수술을 시행한 후,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요법으로 방사선치료나 항암화학요법, 항암호르몬 요법 등의 다양한 치료를 병행하게 된다. 따라서 유방암 환자들은 통증, 어깨관절 기능제한, 상지기능 저하, 성정체감 상실 등의 수술로 인한 문제 외에도 보조요법으로 인한 여러 가지 증상 문제, 즉 피로나 수면장애, 식욕부진, 설사 등으로부터 고통받게 되며 장기간의 치료 기간에 노출됨으로써 불안, 우울, 재발에 대한 두려움과 같은 정서 장애를 경험하기도 하며 가정이나 사회에서의 역할 상실, 고립감 등의 문제로 인해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유방암 환자들의 질병 대처에 대한 간호학적 접근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유방암의 치료는 1차적으로 수술을 시행한 후,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요법으로 방사선치료나 항암화학요법, 항암호르몬 요법 등의 다양한 치료를 병행하게 된다. 따라서 유방암 환자들은 통증, 어깨관절 기능제한, 상지기능 저하, 성정체감 상실 등의 수술로 인한 문제 외에도 보조요법으로 인한 여러 가지 증상 문제, 즉 피로나 수면장애, 식욕부진, 설사 등으로부터 고통받게 되며 장기간의 치료 기간에 노출됨으로써 불안, 우울, 재발에 대한 두려움과 같은 정서 장애를 경험하기도 하며 가정이나 사회에서의 역할 상실, 고립감 등의 문제로 인해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3,4) 이러한 이유로 유방암 환자들의 질병 대처에 대한 간호학적 접근은 매우 중요하다.
유방암 진단을 받은 환자들에게 제공하는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이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유방암 진단을 받은 환자들에게 제공하는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이란, 대상자의 지식 향상과 질병 적응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의사, 간호사, 영양사, 임상심리 전문가 등의 다학제적 전문인력이 참여하여 유방암의 치료와 자가관리, 스트레스 관리 등에 대한 통합적 지식을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survival. Available at: http: //www.cancer.go.kr/cms/statics/survival_rate/index.html [accessed on 5 September 2011]. 

  2. Leong SP, Shen ZZ, Liu TJ, Aqarwal G, Tajima T, Paik NS, et al. Is breast cancer the same disease in Asian and Western countries? World J Surg 2010;34:2308-24. 

  3. Hwang SY, Park BW, Lee IS. A psychoeducational group intervention for women with primary breast carcinoma. Korean J Social Welfare 2002;51:93-118. 

  4. Schmid-Buchi S, Halfens RJ, Dassen T, van den Borne B. A review of psycho-social needs of breast-cancer patients and their relatives. J Clin Nurs 2008;17:2895-909. 

  5. Osborn RL, Demoncada AC, Feuerstein M.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rs: Meta-analysis. Int J Psychiat Med 2006;36:13-34. 

  6. So HY, Kim HL. The effects of a follow-up program on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function after breast cancer surgery. J Korean Acad Adult Nurs 2006;18:416-25. 

  7. Kim CJ, Hur HK, Kang DH, Kim BH.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to improve stress and coping in patietns with breast cancer. J Korean Acad Nurs 2006;36:169-78. 

  8. Ko HK, Park GJ. Effects of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on self-efficacy, self-care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radiotherapy. J Korean Oncol Nurs 2011;11:136-46. 

  9. Kim JN, Kwon JH. The Efficacy of Group Psychotherapy for Breast Cancer Patients. Korean J Clin Psychol 2005;24:1-17. 

  10. Burgess C, Cornelius V, Love S, Graham J, Richard M, Ramirez A. Depression and anxiety in women with early breast cancer: five year observational cohort study. BMJ 2005;330:702-5. 

  11. Fawzy NW. A psychoeducational nursing intervention to enhance coping and affective state in newly diagnosed malignant melanoma patients. Cancer Nurs 1995;18:427-38. 

  12. Rawl SM, Given BA, Given CW, Champion VL, Kozachik SL, Barton D, et al. Intervention to improve psychological functioning for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cancer. Oncol Nurs Forum 2002;29:967-75. 

  13. Yi MS, Lee EO, Park YS, Choe KJ, Noh DY. A descriptive study on educational and counseling needs of breast cancer patients based on the treatment stages. J Korean Oncol Nurs 2003;3:5-17. 

  14. Lee KS, Lee R, Kim S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knowledge scale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KS-Br). J Korean Oncol Nurs 2010; 10:59-67. 

  15. Lee R, Lee KS, Seo MK, Kim S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Efficacy Scale for Self-Management of Breast Cancer (SESSM-B). J Korean Acad Nurs. In press 2012. 

  16. Watson M, Matthew LM, Maria dos SM, Steven GM, John BM, Judith BM, et al. The Mini-MAC: further development of the mental adjustment to cancer scale. J Psychosoc Oncol 1994;12:33-46. 

  17. Kang JI, Chung HC, Kim SJ, Choi HJ, Ahn JB, Jeung HC, et al.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Adjustment to Cancer (K-Mini-MAC) scale: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and validity. Psycho-oncol 2008;17:592-7. 

  18. National Cancer Center. 100 Questions and 100 Answers.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2008. 

  19. Cho YS, Ryu EJ, Choi KS. The effects of chemotherapy individualized education relationship with knowledge and promoting self-care for cancer patients. J Korean Oncol Nurs 2002;2:27-35. 

  20. Bae YR, Ku HK, Lee YJ, Kim HR. The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 for anti-cancer chemotherapy on the patients needs and satisfactions about nursing activities. J Korean Clin Nurs Res 2001;7:61-75. 

  21. Min HS, Hwang WH. The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on nausea and vomiting, anorexia, food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of GI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J Korean Oncol Nurs 2010; 10:38-47. 

  22. Lee JE, Park MH. The effects of patient and family education guideline o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cancer pain control. J Korean Clin Nurs Res 2009;15:123-32. 

  23. Park KH, Kim JS, Baik HJ, Kim HH, Kang JE, Hong SY. The effect of the structured patient education on self care in ostomate. J Korean Clin Nurs Res 2000;5:31-48. 

  24. Karademas EC, Karvelis S, Argyropoulou K. Stress-related predictors of optimism in breast cancer survivors. Stress Health 2007;23:161-8. 

  25. Ju KO, So HY. Effects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self-efficacy, diet behavior patter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for the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J Korean Acad Nurs 2008;38:64-73. 

  26. Choo J, Kim MJ, Hong KP. Effects of TES Program on Exercise Capacity, Self-Efficacy and Patient Compliance in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J Korean Acad Nurs 2003;33:905-16. 

  27. Bandura A. Self-efficacy mechanism in physiological activa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M.S. Madden IV & J. Barchas (Eds.) Adaptation, learning, and affect. New York:Raven Publishers;1986. 

  28. Antoni MH, Lechner S, Diaz A, Vargas S, Holley H, Phillips K, et al. Cognitive behavioral stress management effects on psychosocial and physiological adaptation in women undergoing treatment for breast cancer. Brain Behav Immun 2009;23:580-91. 

  29. Tacon AM. Mindfulness: existential, loss, and grief factor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J Psychosoc Oncol 2011;29:643-56 

  30. Boesen EH, Karlsen R, Christensen J, Paaschburg B, Nielsen D, Bloch IS, et al. Psychosocial group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primary breast cancer: a randomised trial. Eur J Cancer 2011;47:1363-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