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장암 환자의 증상경험과 극복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ymptom Experience and Resilience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s 원문보기

Asian Oncology Nursing, v.12 no.1, 2012년, pp.61 - 68  

최경숙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  박정애 (진주보건대학 간호과) ,  이주현 (중앙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silience and symptom experience on quality of life. Methods: Seventy five patients in an active treatment stage were recruited from 2 hospitals between October and December 2010. A survey including perceived health status, physical func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증상경험과 극복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대장암 환자를 위한 효율적인 간호중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대장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증상경험 및 극복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대장암 치료과정과 연관된 증상경험과 극복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실제 대장암의 경우 초기에 치료했을 경우 사망률이 높지 않고 치료 후 지속적인 관리를 요한다는 측면에서 다른 암종과는 다른 간호관리가 요구되며,5) 이에 따라 환자의 극복력 수준 및 영향요인들에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대장암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암의 치료과정과 연관된 증상경험과 극복력, 신체상태에 관한 특성을 측정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대장암 환자의 치료와 회복을 돕는 간호 중 재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대장암 환자의 증상경험과 극복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 생존자의 수 증가 추세는 어떠한가? 암의 조기발견 증가와 암 치료기술의 발전으로 암 생존율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암 생존자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여 국내의 경우암 생존자의 수는 2007년 약 50만 명이었지만, 2010년에는 68만 명, 2015년에는 11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1)특히 대장암은그 발생에 있어 가장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암종으로 2009년 암 통계에 따르면 전체 암 발생의 12.
대장암 발생 증가가 예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1)특히 대장암은그 발생에 있어 가장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암종으로 2009년 암 통계에 따르면 전체 암 발생의 12.7%로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활 습관 및 식이의 서구화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현 상황을 고려할때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2) 대장암은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 치명적일 수 있지만, 진행성 암이라도 수술을 하여 암종을 제거하면5년생존율이다른암종에비해높은편에속한다.
대장암환자의 증상경험과 극복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연구에 대한 목적은 무엇인가? 첫째, 대상자의 증상경험, 극복력, 삶의 질 정도를 확인한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증상경험, 극복력, 삶의 질 정도의차이를검증한다. 셋째, 대상자의 증상경험, 극복력,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다. 넷째, 대상자의 증상경험과 극복력의 삶의 질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National cancer statistics. Available at: http://www. cancer.go.kr/cms/statics/survival_rate/index.html [accessed on 2 October 2011]. 

  2.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Annual report of national cancer registration project (The cancer statistics in 2009). Available at: http://stat.mw.go.kr [accessed on 10 October 2011]. 

  3. Hwang DY. The Secret of 1.5meters. Seoul:The Early Morning Publisher;2003. 

  4. Ferrell B, Wisdom C, Werize C. Quality of life as outcome variable in the management of cancer pain. Cancer 1989;63:2321-7. 

  5. Contrim H. Impact of colorectal cancer on patient and family: Implica tion for care. Eur J Oncol Nur 2008;12:217-26. 

  6. Park HM, Ha NS. Influencing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colorectal cancer patient with colostomy. Clin Nurs Res 2006;12:123-31. 

  7. Garmezy N.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Psychiatry 1993;56:127-36. 

  8. Kim HS. The concept development of the resilience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1996. 

  9. Kadner KD. Resilience: responding to adversity. J Psychosocial Nurs & Men Health Ser 1989;27:20-59. 

  10. Wagnid G, Young HM.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 Nurs Measurement 1993;1:165-78. 

  11. Strauss B, Brix C, Fischer S, Leppert K, Fuller J, Roehrig B, et al. The influence of resilience on fatigue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RT). J Cancer Res Clin Oncol 2007;133:511-8. 

  12. Hasse J. The adolescents resilience model as a guide to interventions. J Pediatr Oncol Nurs 2004;21:289-99. 

  13. Sim MK. Influence of resiliency factors on adaptation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cancer.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04;10;383-94. 

  14. Shin YH, Sim MK, Kim TI. Resilienc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06;12:295-303. 

  15. Shin HW, Lee JH. A correlation study on the resilience of children with cancer and their mothers. J Korean Oncol Nurs 2008;8:24-31. 

  16. Moon JR, Jung YY, Huh J, Kang IS, Park SW, Yang JH, et 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silience in adolesc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Korean J Pediatr 2006;49:523-8. 

  17. Lee IS, Park YS, Song MS, Lee EO, Kim HS, Park YH, et al.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family resilience scale. J Korean Acad Nurs 2002;32:560-9. 

  18. Lee EK.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07;13:52-8. 

  19. Jun YI. Resilience on the therapeutic process of cancer patients who receive chemotherapy [dissertation]. Seoul:Korea Univ.;2008. 

  20. Shin SJ, Jung DY, Hwang EH. Concept analysis of resilience in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s. J Korean Acad Nurs 2009;39:788-95. 

  21. Fu M, McDaniel R, Rhodes V. Measuring symptom occurrence and symptom distress: development of the symptom experience index. J Ad Nur 2007;59:623-34. 

  22. Song YS. Determinants of resilience of the physically disabled at home [dissertation]. Busan:Kosin Univ.;2004. 

  23. Ward W, Hahn E, Mo F, Hernandez L, Tulsky D, Cella 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colorectal (FACT-C) quality of life instrument. Qua Life Res 1999;8:181-95. 

  24. Kim H, Yoo HJ, Kim YJ, Han OS, Lee KH, Lee JH,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functional assessment cancer therapy-general (FACT-G). Korean J Clin Psych 2003;22:215-29. 

  25. Kim YJ, Yoo HJ, Kim JC, Han OS. Preoperative quality of life in rectal cancer patients: male vs female. Korean J Clin Psych 2003;22:743-62. 

  26. Courneya K, Friedenreich C, Quinney H, Fields A, Jones L, Fairey A. A randomized trial of exercise and quality of life on colorectal cancer survivors. Eur J Cancer Care 2003;12:347-57. 

  27. Han MR. Resilience, social support, spiritualty in wives of alcoholic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2004. 

  28. Kwon IG, Hwang MS, Kwon KM. Quality of life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receiving home care nursing. J Korean Clin Nurs Res 2008;14:103-14. 

  29. Yoon C, Joo HZ, Shin YD, Lee HM. A Study of the quality of life following after curative surgery for gastric cancer. J Korean Surg Soc 2001;60:405-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