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 개선 방안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ing Methods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2 no.5, 2012년, pp.855 - 865  

곽영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OECD의 DeSeCo 프로젝트를 계기로 핵심역량은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로 하는 능력'으로 재정립됨으로써 여러 나라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강조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선도국과 국내의 외국인학교 및 국제중학교를 방문하여 관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과교육 혁신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국외 사례수집과 더불어, 각 사례별로 교사 및 학교장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해 요청되는 과학과 수업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외국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해 과학 수업에서 핵심역량 측면에서 학생들에게 무엇이 기대되는지를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활동과 학생중심 학습을 강조하고, 교과내용 중심의 기존 교육과정에 비해 수업에서 학생들 간의 집단 활동이나 협력을 중시하며, 교과 간 또는 과학영역 간 통합수업이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과학교사들은 핵심역량은 결국 수업방법을 통해 구현되어야 하며, 과학적 사고력을 길러줄 수 있는 탐구경험을 제공하고, 실제 세계와의 연계를 강조하며, 핵심역량을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교과 간 통합수업을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과학과 교육과정이나 수업에 핵심역량을 통합할 경우 예상되는 어려움이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ing methods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Since the OECD DeSeCo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project, key competencies are redefined as 'what people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in order to lead a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연구결과 중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 등을 탐구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핵심 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본 연구는 이론적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실제적 차원에서 과학과 교육과정이 학습자의 핵심역량을 기르도록 변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또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에서는 물론 학교 및 교실 수준에서 교과지식을 통한 핵심역량의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학습내용을 선정·조직하고,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수학습 양태가 발견된다(이광우 외, 2009; 홍원표 외, 20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사례국가로 선정하여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실천사례를 도출하고 그 실효성을 점검하였다. 요컨대 교과수업에 대한 참여관찰 등 질적 연구 방법을 동원하여 핵심역량 제고에 초점을 둔 교과교육의 내용과 방안을 탐색하였다.
  • 더욱이 과학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핵심역량을 기르는 방안에 대해서는 거의 소개된 적이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핵심 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본 연구는 이론적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실제적 차원에서 과학과 교육과정이 학습자의 핵심역량을 기르도록 변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교사: [수업계획서를 나누어주면서] 내 수업에서는 학생들에게 수업의 목적을 알려줘요. 내 수업에서는 ‘초점’이라고 해서, 학생들이 수업에서 집중해야 할 핵심역량을 알려줍니다.
  • 과학교사들은 핵심역량은 수업방법을 통해 구현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 역량개발에 초점을 둔 과학수업에서는 활동이 강조 된다.

  • 학생중심 학습이 핵심역량을 가르치기에 좋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eSeCo 프로젝트를 계기로 핵심역량은 무엇으로 재정립되었는가? OECD(2003)는 1997년부터 2003년까지 21세기 사회에서 개인의 성공적 삶과 사회의 발전에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규명하기 위해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프로젝트를 추진하였으며, 그 결과 3개 범주의 9개 영역으로 핵심역량을 설정하였다1). 결과적으로 OECD의 DeSeCo 프로젝트를 계기로 핵심역량은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로 하는 능력’ 으로 재정립됨으로써 학교교육을 통해 핵심역량들을 제공해야 한다는 관심이 촉발되었다. OECD의 DeSeCo 보고서 발표를 전후로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영국, 독일 등 많은 나라들에서 역량을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개편하거나 변화를 모색하기 시작하였다(윤현진 외, 2007; 이광우 외, 2009; 2010; 소경희 외, 2010).
본 연구에서 학습자의 핵심 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을 고찰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핵심역량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많은 사람들에게 낯선 용어이다. 더욱이 과학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핵심역량을 기르는 방안에 대해서는 거의 소개된 적이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핵심 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을 고찰하였다.
최근 세계 각국이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마련하고 있는 교육 정책의 키워드는 무엇인가? 최근 세계 각국이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마련하고 있는 교육 정책의 키워드가 ‘핵심역량(key competencies)’ 이다. 교육 경쟁력이 곧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 된다는 점에서 현재 및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학습자의 ‘핵심 역량’ 을 찾아내고 이를 학교교육을 통해 실현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강영혜, 박소영, 김민조 (2009). 선진형 미래학교 모형에 관한 연구: 교육복지 강화형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 2009-04. 

  2. 박순경, 이광우, 이미숙, 정영근, 민용성, 이근호, 김평국, 이경진 (2008).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선진화 개혁 방안 연구(I - 총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8-28-1. 

  3. 소경희 (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역량'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6(3), 1-21. 

  4. 소경희, 이상은, 이정희, 허효인 (2010).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비교교육연구, 20(2), 27-50. 

  5. 신종호, 모경환, 박민정, 민지연 (2009).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09-10-3. 

  6. 윤현진, 김영준, 이광우, 전제철 (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교육과정 비전 연구(I) - 핵심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7-1. 

  7. 이경언, 이광우, 김현미, 임선하 (2010). 창의성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0-3. 

  8. 이광우, 민용성, 전제철, 김미영, 김혜진 (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교육 과정 비전 연구(II) - 핵심역량 영역별 하위 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8-7-1. 

  9. 이혜영, 강영혜, 박재윤, 나병현, 김민조 (2008). 미래 학교 모형 탐색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8-03. 

  10. 정영근 외 (2010). 2010 교육과정.교육평가 국제 동향 연구 사업-프랑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0-61-12. 

  11. 최유현, 유태명, 문대영, 최지연, 강경균 (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재구조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09-10-1. 

  12. 홍원표, 이근호, 이은영 (2010). 외국의 역량기반교육과정 현장적용 사례 연구 : 호주와 뉴질랜드, 캐나다,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0-2. 

  13. Boyd, S., & Watson, V. (2006). Shifting the frame: Exploring integration of the Key Competencies at six normal schools. New Zealand: New Zealand Council for Education Research. 

  14. Luke, A. & McArdle, F. (2009). A model for research-based state professional development policy. 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7(3), 1-21. 

  15.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ress. 

  16.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necies: Executive Summary. DeSeCo Project. OECD . 

  17. OECD (2006). Schooling for Tomorrow: Think Scenarios, Rethink Education. OECD: Pari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