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투약.수혈 바코드 시스템 적용 평가
Evaluation of the Bar Code Medication Administration and Blood Transfusion System in a Tertiary Hospital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8 no.1, 2012년, pp.23 - 32  

조명숙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임상간호학교실) ,  송미라 (삼성서울병원 간호업무개발팀) ,  장미라 (삼성서울병원 간호업무개발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linical application of a bar code medication administration and blood transfusion system and to identify its effects from the aspect of patient safety and nurse satisfaction in a tertiary hospital. Methods: The system in this study was PDA with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 상급종합병원에서 적용되고 있는 투약·수혈 바코드 시스템의 임상 적용현황을 파악하고 환자안전과 간호사 만족도 측면에서 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추후 임상업무에 정보 기술 활용 시 환자안전과 간호사의 업무효율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투약·수혈 바코드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일 상급종합병원에서 투약 및 수혈관련 기록검토와 간호사 대상의 설문을 통해 투약·수혈 바코드 시스템의 적용현황과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를 통해 투약·수혈 바코드 시스템의 성공적인 정착을 도모하고 향후 의료기관에서 환자안전과 간호사의 업무효율을 위한 방안으로 정보기술 활용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 상급종합병원에서 적용되고 있는 투약·수혈 바코드 시스템의 임상 적용현황을 파악하고, 환자안전 측면과 본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간호사 만족도 측면에서 그 효과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투약 바코드 시스템 적용 시 장점은? , 2009). 투약 바코드 시스템 적용 시 투약오류가 감소하고 의료진 간 의사소통이 개선되며 약물투여 스케줄의 완결성이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다(Mims et al., 2009; Sakowski et al.
투약·수혈 바코드 시스템의 적용 실패 사유는 각각 얼마의 비중을 차지하는가? 3%가 적용되었다[Figure 2]. 시스템 적용 실패 사유로는 바코드 관련 사유가 72.6%로 가장 많았으며, 시스템 관련 사유 24.5%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바코드 관련 사유 중 약물에서는 바코드 스캔 오류가 66.1%로 가장 많았고, 혈액에서는 바코드 라벨 손상이 48.1%로 가장 많았다[Table 1].
투약 바코드 시스템은 무엇인가? 이에 약물이나 혈액의 안전한 투여를 위한 정보기술들이 제시되어 왔는데, 그 중 하나가 투약 바코드 시스템(Bar Code Medication Administration, BCMA)이다. 투약 바코드 시스템은 바코드에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처방된 정보와 투여될 약의 정보를 비교하도록 하여 안전한 투약을 보장하도록 설계된 시스템이다(Sakowski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rmitage, G. & Knapman, H. (2003). Adverse events in drug administration: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1(2), 130-140. 

  2. Aulbach, P., Brient, K., Clark, M., Custard, K., Davis, C., Gecomo, J. et al. (2010). Blood transfusions in critical care: improving safety through technology and process analysis. Critical Car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2(2), 179-190. 

  3. Barker, K., Flynn, E., Pepper, G., Bates, D., & Mikeal, R. (2002). Medication errors observed in 36 health care facilitie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2(16), 1897-1903. 

  4. Bennardello, F., Fidone, C., Cabibbo, S., Calabrese, S., Garozzo, G, Casarino, G et al. (2009). Use of an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biometric data for patients requiring transfusions guarantees transfusion safety and traceability. Blood Transfusion, 7(3), 193-203. 

  5. Choi, J. S. & Kim, D. S. (2009). Technical Consideration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barcode-based medication system in hospit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15(3), 303-312. 

  6. Crigger, N. J. & Meek, V. L. (2007). Toward a theory of self-reconciliation following mistakes in nursing practic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9(2), 177-183. 

  7. Deyoung, J., Vanderkooi, M., & Barletta, J. (2009). Effect of bar-code-assisted medication administration on medication error rates in an adult medical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Health System Pharmacy, 66(12), 1110-1115. 

  8. Fowler, S. B., Sohler, P., & Zarillo, D. F. (2009). Bar-code technology for medication administration: medication errors and nurse satisfaction. Medsurg Nursing, 18(2), 103-109. 

  9. Gray, A., Hart, M., Dalrymple, K., & Davies, T. (2008). Promoting safe transfusion practice: right blood, right patient, right time. British Journal of Nursing, 17(13), 812-817. 

  10. Helmons, P., Wargel, L., & Daniels, C. (2009). Effect of bar-code-assisted medication administration on medication administration errors and accuracy in multiple patient care areas.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66(13), 1202-1210. 

  11. Huang, H. Y. & Lee, T. T. (2011). Impact of bar-code medication administration on nursing activity patterns and usage experience in Taiwan.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29(10), 554-563. 

  12. Hurley, A. C., Bane, A., Fotakis, S., Duffy, M. E., Sevigny, A., Poon, E. G et al. (2007). Nurses' satisfaction with medication administration point-of-care technology.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7(7/8), 343-349. 

  13. Institute of Medicine of the National Academies (2007). Preventing medication errors: quality chasm series. Washington: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4. Jung, E. Y., Park, R. W., Lim, Y. S., Hwang, H. J., Lee, Y. H., Jeong, K. S. et al.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RFID system for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15(4), 433-444. 

  15. Kang, S. K., An, Y. E., Soe, J. W., & Park, J. A. (2011). Web-based RFID management system for the medical equipmen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9(3), 77-84. 

  16. Keohane, C. A., Bane, A. D., Featherstone, E., Haves, J., Woolf, S., Hurley, A. et al. (2008). Quantifying nursing workflow in medication administration.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8(1), 19-26. 

  17. Kim, C. S. & Kang, S. S. (2005).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FID application system for hospital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11(4), 399-407. 

  18. Kim, D. S., Kim, J. C., Kim, S. H., & Yoo, S. K. (2009). A study on the patient location monitoring system based on RFI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15(1), 41-48. 

  19. Koppel, R., Wetterneck, T., Telles, & Karsh, B. T. (2008). Workarounds to barcode medication administration systems: their occurrences, causes, and threats to patient safet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15(4), 408-423. 

  20. Marini, S., Hasman, A., Huijer, H., & Dimassi, H. (2010). Nurses' attitudes toward the use of the bar-cod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system.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28(2), 112-123. 

  21. Mims, E., Tucker, C., Carlson, R., Schneider, R., & Bagby, J. (2009). Quality-monitoring program for bar-code-assisted medication administration. American Journal of Health- System Pharmacy, 66(12), 1125-1131. 

  22. Min, D. K., Kim, E. J., Lee, E. J., & Seol, T. R. (2006). Research on an application model of RFID technology for patient safety: a case of Y hospital.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5(1), 91-102. 

  23. O'malley, P. (2008). Think bar-code medication administration eliminates adverse drug events? Think again! Clinical Nurse Specialist, 22(6), 269-270. 

  24. Otieno, O. G., Toyama, H., Asonuma, M., Kanai-Pak, M., & Naitoh, K. (2007). Nurses' views on the use,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with electronic medical records: questionnaire develop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0(2), 209-219. 

  25. Pagliaro, P., Turdo, R., & Capuzzo, E. (2009). Patients' positive identification systems. Blood Transfusion, 7(4), 313-318. 

  26. Patterson, E., Rogers, M., & Render, M. (2004). Fifteen best practice recommendations for bar-code medication administration in the Veterans Health Administration.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30(7), 355-365. 

  27. Sakowski, J., Leonard, T., Colburn, S., Michaelsen, B., Schiro, T., Schneider, J. et al. (2005). Using a bar-coded medication administration system to prevent medication errors in a community hospital network.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62(24), 2619-2625. 

  28. Sari, A. B., Sheldon, T. A., Cracknell, A., Turnbull, A., Dobson, Y., Grant, C., et al. (2007). Extent, nature and consequences of adverse events: results of a retrospective case note review in a large NHS. Quality & Safety in Healthcare, 16(6), 434-4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