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 지원의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예측력 검증
Prediction of Learning Flow, School Flow and School Support on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 Engineering College 원문보기

電子工學會論文誌.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IE. 산업전자, v.49 no.1, 2012년, pp.30 - 38  

주영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  정애경 (동서울대학교 디지털방송미디어과) ,  최혜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초록

본 연구는 공학계열생들의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의 지원이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 예측여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준거변수로 하는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국내 D 대학의 2010년 1학기 기초학습 능력강화 프로그램에 속한 공학계열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예측변수의 준거 변수에 대한 예측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몰입(${\beta}$= .22)과 학교몰입(${\beta}$= .20)은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학교몰입(${\beta}$= .32), 학교의 지원(${\beta}$= .23)과 만족도(${\beta}$= .22)는 학습지속의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만족도는 학습몰입과 학습지속의향, 학교몰입과 학습지속의향을 매개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의 지원 변수가 학습자들의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수임을 시사하며, 특히 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을 높이는데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공학계열생들의 성공적인 교육을 위한 학습전략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articipants were 102 students with digital broadcasting and media major.. A hypothetical model proposed included learning flow, school support as predictors, and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as a criter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국내외 공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지속의향 및 만족도에 대해 이루어진 연구를 살펴보면 성별, 학년, 인종, GPA 등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수가 주로 다루어져 왔을 뿐, 몰입, 과제가치, 유용·용이성 같은 개인 특성과 환경변수들이 간과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대학 공과계열 학생들의 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하는 변수들을 선정하여 이들의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대학 공학계열생의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의 지원이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학교몰입은 학습자가 속한 학교나 학급에 갖는 애교심 및 참여를 의미하며, 공학계열의 특성 상 실험이나 Lab 활동 같이 협동학습이 많기 때문에 무엇보다 학교나 전공에 대한 애착이나 참여율이 중요하다. 또한 기업환경에서 소속 조직에 대한 몰입은 구성원의 태도와 직무관련 행동을 예측하고, 성과 및 근무지속의향과 높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8~10], 이를 학교환경에서도 동일한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교수자로부터의 지원, 동료들로 부터의 지원, 학습 분위기 등과 같은 학교의 지원도 학습 성과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학교의 지원 또한 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써 고려되어야 한다[11~12]
  • 본 연구는 전문대 공학계열생들에게 학습몰입, 학교 몰입, 학교의 지원이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전문대생의 공학계열의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높이기 위한 변인들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예측력 및 예측 관계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의 지원과 만족도및 학습지속의향 간의 예측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A전문대학의 공학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A전문대학을 편의표집한 이유는 2000년부터 교육인적자원부, 정보통신부, 중소기업청의 각종평가에서 우수전문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 최근에도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역량 강화사업 지원대학 및 10년 연속 산학연 공동 기술개발 지원사업 대상으로 선정되는 등 대학 차별화, 특성화를 계속적으로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 또한 Merriam[19]은 학습자 자신이 학습하는 내용에 만족할 때 학습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효과적인 학습이 일어나게 되므로, 학습만족도는 지식 습득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만족도를 본인이 수강하는 과목, 학교, 그리고 학교에서의 학업에 대한 만족도로 정의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1] 전문대 공학계열생의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의 지원은 만족도를 예측할 것이다.
  • [연구가설2] 전문대 공학계열생의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의 지원, 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할 것이다.
  • 또한 Rusbult, Martz과 Agnew[32]는 대학생 186명을 대상으로 만족도, 외부의 지원이 몰입을 예측하고, 몰입이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하는 가설적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몰입이 학습 지속의향을 예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기존에 이루어진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학교몰입이 학습지속 의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 하였다.
  • 또 Clarke와 Haworth[23]은 학습몰입의 경험은 단순한 즐거움을 넘어 전반적인 만족도를 예측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습몰입이 높은 학생일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학습몰입이 만족도를 예측 할 것이라는 가설을상정하였다.
  • 그 외에도 김인형과 이근모[6]는 스포츠 분야에서 몰입과 지속적 참여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몰입이 지속적 참여의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광수[7]의 연구에서도 참가자들의 몰입이 참여지속의향에 영향을 준다고 밝혀내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학습몰입이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 그 외에도 Lambert, Hogan과 Griffin[26]의 연구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위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학교에 대한 몰입이 만족도를 예측할 것이라는 가설을 도출하였다.
  • 특히 Holder[34]는 중도탈락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외부환경, 동기, 학업에 대한 기대가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하는지를 259명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알아본 결과, 학습지속의향이 높은 학습자들은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보다 동료나 가족으로부터의 도움과 같은 외부지원을 많이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학교의 지원을 많이 받는 학습자 일수록 학습지속의향이 높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학교의 지원이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상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지속의향이란 무엇인가? 학습지속의향이란 학습자가 현재 소속되어있는 기관에서 학습을 지속하고자 하는 의지를 말한다[13]. 학습지속의향의 정의는 학자들에 따라 다소 상이한데, Rovai[14]는 학습지속의향을 현재 수강하고 있는 강의를 정해진 기간 안에 성공적으로 끝마치겠다는 인식이라고 했다.
공학계열 입학생 수의 감소와 재학생들의 높은 중도탈락률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방안과 성과는 무엇인가? 기술력이 곧 국가경쟁력으로 이어지게 되면서 기초과학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여전히 공학계열 입학생 수의 감소와 재학생들의 높은 중도탈락률로 인해 우수한 과학인재 영입 및 육성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정부는 2008년 기초과학분야에 3, 426억원을 투자하여 우수연구리더 육성, 기초연구 기반구축에 노력을 하고 있으나[1], 그 성과가 아직 나타나고 있지 않다. 실제로 수도권 전문대학에서 공과계열 학생들의 제적비율은 2000년 4.
수도권 전문대학에서 공과계열 학생들의 제적비율의 추세는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정부는 2008년 기초과학분야에 3, 426억원을 투자하여 우수연구리더 육성, 기초연구 기반구축에 노력을 하고 있으나[1], 그 성과가 아직 나타나고 있지 않다. 실제로 수도권 전문대학에서 공과계열 학생들의 제적비율은 2000년 4.8%, 2005년 5.9%, 2007년 7.6%, 2009년 8.5%로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2], 이공계열 학생들은 문과계열에 비해 학습량이 많고 난이도가 높은 반면 취업이나 임금수준 같은 사회적 보상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을 가장 큰 불만으로 지적하고 있다[3]. 또한 Shin[4]에 따르면 과학, 기술, 공학, 수학과 관련된 전공의 변경이나 학업중단의 원인은 “전공에 대한 흥미의 상실”이라고 지적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교육과학기술부, "주요교육통계" 2008년 

  2. 교육과학기술부, "주요교육통계" 2009년 

  3. 이정우, '이공계 기피현상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물과 미래, 40권, 1호, 80-85쪽, 2007년 

  4. N. Shin, "Online learner's 'flow' experience: An empirical study,"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37, no. 5, pp. 705-720, 2006. 

  5. 교육과학기술부, "주요교육통계" 2010년 

  6. 주영주, 정애경, 이상회, 김선희, "전자매체를 활용한 사이버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사회적 실재감, 학습몰입,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전자공학회, 제48권 2호, 71-78쪽, 2011년 

  7. 주영주, 정애경, 임연욱, 김가연, "전문대 학생의 강좌에 대한 자기효능감, 유용.용이성, 몰입 및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게 규명," 교육의 이론과 실천, 제15권 3호, 217-238쪽, 2010년 

  8. R. T. Mowday, L. W. Porter and R .Dubin, "Unit performance, situational factors, and employee attitudes in spatially separated work unit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 12, no. 2, pp. 231-248, 1974. 

  9. Y. H. W. Lin, and C. E. Rusbult, "Commitment to dating relationships and cross-sex friendships in America and China: The impact of centrality of relationship, normative support, and investment model variable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ulationships, Vol. 12, no. 7, pp. 10-26. 1995. 

  10. M. Lund, "The development of investment and commitment scales for predicting continuity of personal relationship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Vol. 2, pp. 3-23, 1985. 

  11. C. McLoughlin, Learner Support in Distance and Networked Learning Environments: Ten Dimensions for Successful Design. Distance Education, Vol, 23, no. 2, pp. 149-162, 2002. 

  12. L. Rhoades, and R. Eisenberge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7, no. 4, pp. 698-714, 2002. 

  13. A. Cabrera, A. Nora, and M. Castaneda, "College Persistence: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Test of an Integrated Model of Student Retention,"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 64, no. 2, pp. 123-139, 1993. 

  14. M. Vansteenkiste, S. , Joke, L. Willy, K. M., Sheldon and E. L. Deci, "Motivating learning, performance, and persistence: The synergistic effects of intrinsic goal contents and autonomy-supportive contex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87, no. 2, pp. 246-260, 2004. 

  15. K. A. Ellis, "Satisfaction of Graduate Students with their Distance Learning Experienc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xas Tech University, 2008 

  16. R. D. Johnson, , S. Hornik, and E. Sala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factors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successful e-learning environ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 66, no. 5, pp. 356-369, 2008. 

  17. J. M. Keller,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Vol. 10, no. 3, pp. 2-10, 1987. 

  18. S. B. Merriam, "Andragogy and Self-Directed Learning: Pillars of Adult Learning Theory," New Direction For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Vol. 89. pp. 3-13, 2001. 

  19. M. Csikszentmihalyi,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 Y: Harper Perennial, 1997. 

  20. M. L. Bote-Lorenzo, E. Gomez-Sanchez, G. Vega-Gorgojo, Y. Dimitriadis, J. I. Asensio-Perez and I. M. Jorrin-Abellan, Gridcole: A tailorable grid service based system that supports scripted collaborative 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Vol. 51, no. 1, pp.155-172, 2008. 

  21. B. Buchanan, "Buil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ocialization of managers in work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195, pp. 33-546, 1974. 

  22. S. G. Clarke, and J. T. Haworth, "'Flow' experience in the daily lives of sixth-form college student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Vol. 85, no.4, pp. 511-523, 1994 

  23. D. Rossin, Y. Ro, B. Klein, and Y. Guo, "The Effects of Flow on Learning Outcomes in an Online Information Management Cours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Vol. 20, no. 1, pp. 87-98, 2009. 

  24. Testa, M. R.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Effort in the Service Environment. The Jounal of Psychology, Vol. 135, no. 2, pp. 226-236, 2001. 

  25. E. G. Lambert, N. L. Hogan, and M. L.Griffin. "The impact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on correctional staff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 Journal of Criminal Justice, Vol. 35, pp. 644-656, 2007. 

  26. L. J. Ducharme, and J. K. Martin, "Unrewarding Work, Coworker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A Test of the Buffering Hypothesis," Work and Occupations, Vol. 27, no. 2, pp. 223-243, 2000. 

  27. B. Erdogan, and J. Enders, "Support from the top: Supervisor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eader-member exchange to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relationship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92, pp. 321-330, 2007. 

  28. J. Nakamura and M. Csikszentmihalyi, "The concept of flow. In S. J. Lopez (E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89-105.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9. 주영주, 김지연, 최혜리, "기업 사이버교육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25권, 4호, 101-124, 2009년 

  30. J. P. Meyer, and N. J. Allen,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s Management Review, Vol. 1, no. 1, pp. 61-89, 1991. 

  31. E. Rusbult, J. M. Martz, and C. R. Agnew. "The investment model scale: Measuring commitment level, satisfaction level, quality of alternatives, and investment size," Personal Relationships, Vol. 5, pp. 357-392, 1998. 

  32. M. Gloria, and T. A. Ho, "Environmental, social, and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asian american undergraduates: Examining issues of academic persistence,"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 81, no. 1, pp. 93-105, 2003. 

  33. B. Holder, "An investigation of hope, academics, environment, and motivation as predictors of persistence in higher education online programs,"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Vol. 10, pp. 245-260, 2007. 

  34. C. T. Ennew, and M. R. Binks, "Impact of participative service relationships on quality, satisfaction and retention: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46, no. 2, pp. 121-32, 1999 

  35. Y. Levy, "Comparing dropouts and persistence in e-learning courses," Computers & Education, Vol. 48, no. 2, pp. 185-204, 2007. 

  36. J. C. Roca, C. M. Chiu, and F. J. Martinez, "Understanding e-learning continuance intention: An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Human-Computer Studies, Vol. 64, pp. 683-696, 2006. 

  37. N. Shin, "Transactional Presence as a critical predictor of success in distance learning," Distance Education, Vol. 24, no, 1, 69-86, 2003. 

  38. R. T. Mowday, L. W. Porter and R .Dubin, "Unit performance, situational factors, and employee attitudes in spatially separated work unit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 12, no. 2, pp. 231-248, 1974. 

  39. J, C. Nunnally, and I. H. Bernstein, "Psychometric Theory," 3d ed. N Y: McGraw- Hill, 1994. 

  40. 김나영, "사이버교육에서 학습동기, 프로그램, 조직의 지원과 상호작용, 몰입 및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논문, 2008년 

  41. P. J. Curran, S. G. West, and J. F. Finch,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Vol. 1, pp. 19-29, 1996. 

  42. R. J. Wlodkowski, "Motivation and Teaching: A Practical Guide," Washington: NEA Distribution Center, 19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