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조류의 항산화 활성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from Seaweed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4, 2012년, pp.443 - 449  

전영은 (한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성복 (한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순성 (한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차권 (한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일준 (한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퇴행성 질환인 치매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물질 탐색으로써 여러 가지 해조류 추출물을 가지고 항산화 활성AChE 저해활성을 살펴보았다. 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살펴본 결과, 최종농도 40 ${\mu}g$/mL에서 지충이(91.3%), 모로우붉은실(90.7%), 감태(89.9%), 큰비쑥(85.9%)이 80% 이상의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AChE 저해활성에서는 최종농도 10 ${\mu}g$/mL에서 큰비쑥 추출물(30.2%)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는 김 추출물(26.6%), 쇠미역(25.3%), 참홑파래(23.4%), 감태(21.7%), 구멍쇠미역(20.4%), 지충이(19.9%) 순으로 총 7종의 해조류가 약 20% 이상의 ACh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7종의 해조류를 가지고 TLC bioassay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여러 compound들에 의해 AChE 저해 활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치매치료제 및 억제를 위한 신규의 생물 소재로 해조류가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various seaweed. The extracts of $Sargassum$ $thunbergii$ (91.3%), $Polysiphonia$ $morrowii$ (90.7%), $Eckloni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비해, 해조류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수많은 종류가 있으며, 이들의 성분 연구와 생리활성 연구는 많은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사용되어질 생체량이 풍부한 해조류를 이용하여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서 산업적 이용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AChE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해조류 중에서 총 7종을 선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치매의 예방 및 치료물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해조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ACh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퇴행성 질환인 치매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물질 탐색으로써 여러 가지 해조류 추출물을 가지고 항산화 활성 및 AChE 저해활성을 살펴보았다. 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살펴본 결과, 최종농도 40 μg/mL에서 지충이(9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란? 치매는 기억력 장애, 판단력 상실 등 정신기능의 전반적인 장애를 가져오며, 결국 인간의 삶을 황폐하게 하는 질환이다. 치매의 원인질환으로는 약 70~80여 가지가 알려져 있으며, 그중에서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은 가장 흔히 발생되는 치매로 치매 인구의 약 50%를 차지한다(2).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인구의 몇 퍼센트를 차지하는가? 치매는 기억력 장애, 판단력 상실 등 정신기능의 전반적인 장애를 가져오며, 결국 인간의 삶을 황폐하게 하는 질환이다. 치매의 원인질환으로는 약 70~80여 가지가 알려져 있으며, 그중에서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은 가장 흔히 발생되는 치매로 치매 인구의 약 50%를 차지한다(2). AD 환자의 뇌조직을 관찰해보면 신경전달물질인 acetylcholine(ACh)이 정상인에 비해 부족해 인지기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새로운 치매 치료제를 위한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는 가운데 신약개발의 원료로서 주목받는 해양 생물 추출물에는 어떤 성분들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가? 해양에 서식하는 해양생물은 육상생물과 구별되는 여러 가지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져 왔으며, 최근 해면, 갯지렁이 및 해조류의 추출물이 생리활성을 나타냄으로써 해양생물은 신약개발의 원료로서 주목받고 있다(11). 현재까지 해양 생물 추출물에서 생리활성을 보이는 대표적인 화합물군으로는 탄닌류(tannins), 테르펜류(terpene), 페놀류(phenols), 할로겐화합물군(halogenates) 및 카테킨류(catechins) 등이 알려져 있다(12). 이와 같이 해조류로부터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이 알려지면서 새로운 개발 자원으로서 생체량이 풍부한 해조류들의 잠재성이 재인식 되고 있다(13,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Reiter RJ. 1995. Oxidative process and antioxidative defense mechanism in the aging brain. FASEB J 9: 526-533. 

  2. Evans DA, Funkenstein HH, Albert MS, Scherr PA, Cook NR, Chown MJ, Heber LE, Hennekens CH, Taylor JO. 1989. Prevalence of Alzheimer's disease in a community population of older persons, higher than previously reported. JAMA 262: 2551-2556. 

  3. Davies P, Maloney AJ. 1976. Selective loss of central cholinergic neurons in Alzheimer's disease. Lancet 25: 1403. 

  4. Muir JL. 1997. Acetylcholine, aging, and Alzheimer's disease. Pharmacol Biochem Behav 56: 687-696. 

  5. Kurz A. 1998. The therapeutical potential of tacrine. J Neural Transm Suppl 54: 295-299. 

  6. Sugimoto H. 2001. Donepezil hydrochloride: a treatment drug for Alzheimer's disease. The Chemical Record 1: 63-73. 

  7. Jann MW. 2000. Rivastigmine, a new-generation cholinesterase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Pharmacotherapy 20: 1-12. 

  8. Zarotsky V, Sramek JJ, Cutler NR. 2003. Galantamine hydrobromide: an agent for Alzheimer's disease. Am J Health-Syst Pharm 60: 446-452. 

  9. Nordberg A, Svensson AL. 1998. Cholinesterase Inhibitors in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a comparison of tolerability and pharmacology. Drug Saf 19: 465-480. 

  10. Jimenez-Escring A, Goni Cambrodon I. 1999. Nutritional evaluation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edible seaweeds. Arch Latinoam Nutr 49: 114-120. 

  11. Chung HY, Ma WCJ, Ang PO, Kim JS, Chen F. 2003. Seasonal variations of bromophenols in brown plants (Padina arborescens, Saegassum siliquastrum, and Lobophora variegata) collected in Hong Kong. J Agric Food Chem 51: 2619-2624. 

  12. Koing GM, Kehraus S, Seibert SF, Abdel-Lateff A, Muller D. 2005. Natural products from marine organism and their associated microbes. Chem Biochem 7: 229-238. 

  13. Yoon SJ, Cho YS, Nam JH, Lee HH, Kim E, Hong YK. 2008. Effects of several seaweed extracts on the viability of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J Kor Fish Soc 41: 68-72. 

  14. Ryo T, Hiroko IS, Kaeko H, Saburo H, Susumu H. 1998. Concurrence of agaroid and carrageenan chains in funoran from the red seaweed Gloiopeltis furcata post et ruprecht. Carbohydr Polym 35: 81-87. 

  15. Sa JH, Shin IC, Jeong KJ, Shim TH, Oh HS, Park SL, Cheung EH, Kim SN, Kim GK, Choi DS, Kwon YS, Kim CM. 2002. Catechin content and antioxidant effect from Rosa davurica Pall. Kor J Pharmacogn 33: 177-181. 

  16. Ellman GL, Callaway E. 1961. Erythrocyte cholinesteraselevels in mental patients. Nature 192: 1216. 

  17. Yang Z, Zhang X, Duan D, Song Z. 2009. Modified TLC bioautographic method for screening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from plant extracts. J Sep Sci 32: 3257-3259. 

  18. Jeong EJ, Sung SH, Kim JW, Kim SH, Kim YC. 2008. Rhus verniciflua stokes attenuates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cells. Nat Prod Sci 14: 156-160. 

  19. Choi SY, Kim SY, Hur JM, Choi HG, Sung NJ.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from Sargassum thunbergi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39-144. 

  20. Kang JY, Khan MNA, Park NH, Cho JY, Lee MC, Fujii H, Hong YK. 2008. Antipyretic,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seaweed Sargassum fulvellum and Sargassum thunbergii in mice. J Ethnopharmacol 116: 187-190. 

  21. Lee SY, Song EJ, Kim KBWR, Yoon SY, Kim SJ, Lee SJ, Hong YK, Lim SM, Ahn DH.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Sargassum thunbergi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502-508. 

  22. Je JY, Ahn CB, Oh MJ, Kang SY.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a red seaweed Polysiphonia morrowii extract. Food Sci Biotechnol 18: 124-129. 

  23. Vincenzo NT. 2001. Acetylcholinesterase in Alzheimer's disease. Mech of Ageing Dev 122: 1961-1969. 

  24. Younkin SG, Goodridge B, Katz J, Lockett G, Nafziger D, Usiak MF, Younkin LH. 1986. Molecular forms of acetylcholinesterases in Alzheimer's disease. Fed Proc 45: 2982-2988. 

  25. Houghton PJ, Yuhao R, Melanie-Jayne H. 2006.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from plants and fungi. Nat Prod Rep 23: 181-199. 

  26. Rhee IK, Richard M, Rijn van RM, Robert V. 2003. Qualitative determination of false-positive effects in the acetylcholinesterase assay using thin layer chromatography. Phytochem Anal 14: 127-131. 

  27. Marstone A, Kissling J, Hostettmann K. 2002. A rapid TLC bioautographic method for the detec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nd butyrylcholinesterase inhibitor in plants. Phytochem Anal 13: 51-54. 

  28. Berkov S, Bastida J, Nikolova M, Viladomat F, Codina C. 2008. Rapid TLC/GC-MS identific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in alkaloid extracts. Phytochem Anal 19: 411-419. 

  29. Wagner H, Bladt S, Zgainski EM. 1984. Plant Drug Analysis: A Thin Layer Chromatography Atlas.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New York, Tokyo. p 51-90. 

  30. Lee JK, Oh SH. 2008. Inhibitory effects of Artemisia fukudo Makino extracts for nitric oxide generation in LPS- and interferon- ${\gamma}$ -stimulated RAW 264.7 cell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198-206. 

  31. Kim JO, Kim YS, Lee JH, Kim MN, Rhee SH, Moon SH, Park KY. 1992. Antimutagenic effect of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from mugwort (Artemisia asictica Nakai) leaves. J Korean Soc Food Nutr 21: 308-313. 

  32. Lee H, Lin JY. 1988. Antimutagenic activity of extracts from anticancer drugs in Chinese medicine. Mutat Res Genet Toxicol 204: 229-234. 

  33. Yoon WJ, Moon JY, Song G, Lee YK, Han MS, Lee JS, Ihm BS, Lee WJ, Lee NH, Hyun CG. 2010. Artemisia fukudo essential oil attenuates LPS-induced inflammation by suppressing NF-kappaB and MAPK activation in RAW 264.7 macrophages. Food Chem Toxicol 48: 1222-1229. 

  34. Daise LL, Alviano DS, Alviano CS, Kolodziejczyk PP. 2008. Screening of chemical composition,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temisia essential oils. Phytochemistry 69: 1732-1738. 

  35. Miyazawa M, Watanabe H, Kameoka H. 1997. Inhibi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by monoterpenoids with a p-menthane skeleton. J Agric Food Chem 45: 677-679. 

  36. Park CK, Kang TJ. 2000. The nutritional on functional constituents of laver. Bull Fish Sic Inst Yosu Nat'l Univ 9: 133-137. 

  37. Mahinda S, Ahn CB, Je JY. 2010. Enzymatic extracts from edible red algae, Porphyra tenera, and their antioxidant, anti-acetylcholinesteras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Food Sci Biotechnol 19: 1551-1557. 

  38. Jung MK, Park MS. 2007.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by flavonoids from Agrimonia pilosa. Molecules 12: 2130-2139. 

  39. Svetlana E, Roza S, Kim SM, Um BH, Vladimir I, Tatyana Z. 2011. Fucoidans from brown seaweeds Sargassum hornery, Eclonia cava, Costaria costata: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anticancer activity. Appl Biochem Biotechnol 164: 841-850. 

  40. Park IS, Choi NH, Kim JT, Ahn SH. 1998. The lipid accumulation suppressive effect of Monostroma nitidum in kidney of murine with hyperlipidemia induced by Triton WR-1339. Dongguk J The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6: 87-98. 

  41. Lee JM, You SG, Kim SM. 2005. Functional activities of low molecular weight peptides purified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seaw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24-1129. 

  42. Myung CS, Shin HC, Bao HY, Yeo SJ, Lee BH, Kang JS. 2005. Improvement of memory by dieckol and phlorofucofuroeckol in ethanol-treated mice: possible involvement of the inhibi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rch Pharmacal Res 28: 691-698. 

  43. Wijesinghe WAJP, Ko SC, Jeon YJ. 2011. Effect of phlorotannins isolated from Ecklonia cava on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Nutr Res Pract 5: 93-100. 

  44. Lee SH, Park MH, Heo SJ, Kang SM, Ko SC, Han JS, Jeon YJ. 2010. Dieckol isolated from Ecklonia cava inhibits ${\alpha}$ - glucosidase and ${\alpha}$ - amylase in vitro and alleviates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Food Chem Toxicol 48: 2633-2637. 

  45. Kim AR, Shin TS, Lee MS, Park JY, Park KE, Yoon NY, Kim JS, Choi JS, Jang BC, Byun DS, Park NK, Kim HR. 200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hlorotannins from Ecklonia stolonifera with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J Agric Food Chem 57: 3483-3489. 

  46. Yoon NY, Kim HR, Chung HY, Choi JS. 2008.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an edible brown algae, Ecklonia stolonifera, and its constituents on poloxamer 407-induced hyperlipidemic and cholesterol-fed rats. Arch Pharmacal Res 31: 1564-15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