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에탄올 추출물의 Lipase 저해활성에 미치는 열, pH 및 감마선 조사의 영향
Effects of Heat, pH, and Gamma Irradiation Treatments on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Sargassum thunbergii Ethanol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4, 2012년, pp.566 - 570  

김동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꽃봉우리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민지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선우찬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슬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현지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다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태완 (안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조영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안동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충이 추출물의 lip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 식품산업에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 pH 및 감마선 조사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지충이 추출물을 1, 2.5 및 5 mg/mL의 농도에서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16.12, 19.32 및 37.37%의 저해활성을 보여 물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인 지충이 에탄올 추출물의 열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기존의 lipase 저해활성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121^{\circ}C$, 15 min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약 13% 정도 저해활성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pH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중성영역(pH 4-8)에서는 안정하였으나, pH 2 및 10 조건하에서 대조구에 비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마선 조사에 대한 안정성 검토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 없이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lipase 저해활성을 지니는 지충이 에탄올 추출물이 식품산업에 폭넓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hibitory activity of $Sargassum$ $thunbergii$ (ST) against porcine pancreatic lipase was assessed after heat treatment, pH changes, and gamma irradiation. This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 ethanol extract exhibited high lipase inhibitory activity (37.37%) at 5 mg/mL. The 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충이 추출물의 lip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 식품산업에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 pH 및 감마선 조사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지충이 추출물을 1, 2.
  • 이에 지충이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lipase 저해효과를 알아보고, 이를 실질적으로 식품산업에 적용하기 위해 식품가공 공정 중 조리 및 살균 목적의 가장 일반적으로 행하는 열처리 공정과 식품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의 pH 영역 및 오늘날 식품 살균 기술뿐만 아니라, 생리활성을 띠는 유용물질 탐색에 널리 이용 및 연구되어지고 있는 감마선 조사에 대하여 lipase 저해효능의 안정성을 측정하여,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산업적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언제 발생하게 되는가? 비만은 에너지 섭취가 에너지 소비를 능가하여 잉여 에너지가 지방조직에 필요 이상으로 축적될 때 발생하게 된다(1). 비만의 주된 원인은 유전적인 요소, 신진대사의 불균형, 환경적인 요소 등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2).
비만의 주된 원인은 무엇인가? 비만은 에너지 섭취가 에너지 소비를 능가하여 잉여 에너지가 지방조직에 필요 이상으로 축적될 때 발생하게 된다(1). 비만의 주된 원인은 유전적인 요소, 신진대사의 불균형, 환경적인 요소 등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2).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따르면, 성인비만 유병률이 1998년 26.
lipase 저해제로 가장 대표적인 orlistat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lipase 저해제로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orlistat이며, 이는 Streptomyces toxitricini의 유래 lipstatin의 유도체인 tetrahydrolipstatin으로 구조적으로 중성지방과 유사하여 lipase의 활성 부위에 결합하여 지질의 가수분해를 방해한다(7). 그러나 orlistat는 뛰어난 lipase 저해효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중추신경계, 위장관계, 신경근골격계, 내분비계, 암 및 호흡계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따라서 오늘날에는 섭취 시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 유래의 lipase 저해제를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다양한 식물의 뿌리 및 뿌리줄기의 주요 구성 성분인 saponin 화합물, 항산화 작용이 뛰어난 polyphenol 화합물 및 terpene 화합물 등과 같이 육상식물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IS, Park KY, Do MS. 2007. Weight control mechanisms and antiobesity functional ag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503-513. 

  2. Chu MA, Choe BH. 2010.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53: 142-152. 

  3.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p 1-754. 

  4. Pi-Sunyer FX. 1991. Health implications of obesity. Am J Clin Nutr 5: 15955-16035. 

  5. Bray GA, Tartaglia LA. 2000. Medicinal strategies in the treatment of obesity. Nature 404: 672-677. 

  6. Gibbons GF, Wiggins D. 1995. Intracellular triacylglycerol lipase: its role in the assembly of hepatic very low density lipoprotein (VLDL). Adv Enzyme Regul 35: 179-198. 

  7. Tiss A, Lengsfeld H, Carriere F, Verger R. 2009. Inhibition of human pancreatic lipase by tetrahydrolipstatin: further kinetic studies showing its reversibility. J Mol Catal BEnzym 58: 41-47. 

  8. Filippatos TD, Derdemezis CS, Gazi IF, Nakou ES, Mikhilidis DP, Elisaf MS. 2008 Orlistat-associated adverse effects and drug interactions: a critical review. Drug Safety 31: 53-65. 

  9. Birari RB, Bhutani KK. 2007. Pancreatic lipase inhibitors from natural sources: unexplored potential. Drug Discov Today 12: 879-889. 

  10. Fenical W. 1983. Marine plants: a unique and unexplored resource. In Plants: The potentials for extracting protein, medicines, and other useful chemicals (workshop proceedings). DIANE publisher, Washington, DC, USA. p 147-153. 

  11. Lee SJ, Song EJ, Lee SY, Kim KBWR, Kim SJ, Yoon SY, Lee CJ, Ahn DH.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stem and root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nd their heat and pH stabil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71-1679. 

  12. Yoon SY, Lee SY, Kim KBWR, Song EJ, Lee SJ, Lee CJ, Park NB, Jung JY, Kwak JH, Nam KW, Ahn DH. 2010.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argassum fulvellum ethanol extract and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their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55-159. 

  13. Lee CJ, Song EJ, Kim KBWR, Jung JY, Kwak JH, Choi MK, Kim MJ, Kim DH, Sunwoo C, Park JG, Kim JH, Choi JI, Lee JW, Byun MW, Ahn DH. 2011.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immune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yagropsis myagroides water extract. Kor J Fish Aquat Sci 44: 50-57. 

  14. Lee SJ, Song EJ, Kim KBWR, Lee CJ, Jung JY, Kwak JH, Choi MK, Kim MJ, Kim TW, Ahn DH. 2010. Inhibitory effects of Sargassum thunbergii ethanol extract against ${\alpha}$ -amylase. Kor J Fish Aqua Sci 43: 648-653. 

  15. Gupta S, Abu-Ghannam N. 2011. Recent developments in the application of seaweeds or seaweed extracts for enhancing the safety and quality attributes of foods. IFSET 12: 600-609. 

  16. Kang JY, Khan MNA, Park NH, Cho JY, Lee MC, Fujii H, Hong YK. 2008. Antipyretic,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seaweed Sargassum fulvellum and thunbergii in mice. J Ethnopharmacol 116: 187-190. 

  17. Lee SJ, Song EJ, Lee SY, Kim KBWR, Yoon SY, Lee CJ, Jung JY, Park NB, Kwak JH, Park JG, Kim JH, Choi JI, Lee JW, Byun MW, Ahn DH. 2010.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antioxidant,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argassum thunbergii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431-437. 

  18. Seo YW, Lee HJ, Park KE, Kim YA, Ahn JW, Yoo JS, Lee BJ. 2004. Peroxynitrite-scavenging constituents from the brown alga Sargassum thunbergii. Biotechnol Bioprocess Eng 9: 212-216. 

  19. Zhuang C, Itoh H, Mizuno T, Ito H. 1995. Antitumor active fucoidan from the brown seaweed, umitoranoo (Sargassumthunbergii). Biosci Biotechnol Biochem 59: 563-567. 

  20. Kim JH, Kim HJ, Kim CY, Jung HY, Kim YO, Ju JY, Shin CS. 2007. Development of lipase inhibitors from various derivatives of monascus pigment produced by Monascus fermentation. Food Chem 101: 357-364. 

  21. Jung JY, Kim KBWR, Lee CJ, Kwak JH, Kim MJ, Kim DH, Sunwoo C, Kim TW, Ahn DH. 2011. Inhibitory effect of Ecklonia cava extracts against lipase activity and stability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their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69-974. 

  22. Kim KH, Roh SG, Li CR, Jin CF, Kim A, Choi WC. 2008. Anti-diabetic effects of banaba leaf extracts (Lagerstroemia speciosa Pers.) through solvents. J Life Sci 18: 1305-1311. 

  23. Kim YJ, Kim BH, Lee SY, Kim MS, Park CS, Rhee MS, Lee KH, Kim DS. 2006.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with antiobesity.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221-226. 

  24. Bitou N, Ninomiya M, Tsujita T, Okuda H. 1999. Screening of lip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Lipids 34: 441-445. 

  25. Rodriguez-Bernaldo de Quiros A, Frecha-Ferreiro S, Vidal-Perez AM, Lopez-Hernandez J. 2010. Antioxidant compounds in edible brown seaweeds. Eur Food Res Technol 231: 495-498. 

  26.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27. Davido-Pardo G, Arozarena I, Marin-Arrogo MR. 2011. Stability of polyphenolic extracts from grape seeds after thermal treatments. Eur Food Res Technol 232: 211-220. 

  28. Mulimani VH, Rudrappa G. 1994. Effect of heat treatment and germination on alpha amylase inhibitor activity in chick peas (Cicer arietinum L.). Plant Food Hum Nutr 46: 133-137. 

  29. Khanal RC, Howard LR, Prior RL. 2010. Effect of heating on the stability of grape and blueberry pomace procyanidins and total anthocyanins. Food Res Int 43: 1464-1469. 

  30. Lim CS, Li CY, Kim YM, Lee WY, Rhee HI. 2005. The inhibitory effect of Comus walteri extract against $\alpha$ -amyla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103-108. 

  31. Thayer DW. 1990. Food irradiation: benefits and concerns. J Food Quality 13: 147-169. 

  32. Yook HS, Kim DH, Kim YJ, Byun MW. 2003. Radiation sterilization of food and hygienic products. Korean J Food Preserv 10: 584-597. 

  33. Jo C, Son JH, Byun MW. 2003. Irradiation application for color removal and purification of green tea leaves extracts. Radiat Phys Chem 66: 179-1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