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방제제 내 클로르퀴날돌과 프로메스트리엔에 대한 HPLC 기반 동시분석법의 개발 및 밸리데이션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HPLC metho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hlorquinaldol and promestriene in complex prescription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5 no.2, 2012년, pp.152 - 157  

이슬지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신상연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신혜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이진균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김동환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규격연구과) ,  이수정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규격연구과) ,  한상범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박정일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이정미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  권성원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시중에 많은 복방제제가 유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의 품질관리를 위한 시험법은 부족한 실정이다. 여러 주효 성분을 가지는 복방제제의 경우 대부분 약전에 수재된 항목 중 2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약전에 단일 항목에 대한 시험법이 고시되어 있을 뿐 여러 항목을 한번에 시험하는 방법이 없어 한가지 제제를 관리 하는 데에 여러 시험법이 요구되어 효율이 낮고 비용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유통중인 복방제제의 새로운 분석법을 개발한 과정과 그 때에 적용되는 기준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복방 프로메스트리엔, 클로르퀴날돌 제제에 대한 새로운 분석법을 HPLC를 기반으로 가장 적용이 용이하게 개발하였으며 직선성, 정밀성, 정확성(회수율), 시스템 적합성(반복성, 분리도) 등의 항목에 대하여 밸리데이션을 수행함으로써 분석법을 검증하였다. 또한 개발된 시험법을 이용하여 시중 제품을 모니터링하고 실험실간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여 시험법의 견고성을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고시안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many types of compound preparations are being used but the quality control guidelines for their use are lacking. In case of single compound drug, the quality control methods are specified in the pharmacopeia. However, there is no method to simultaneously analyze compound preparations.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mend the current assay for chlorquinaldol/promestriene tablet. The analytical methods for chlorquinaldol/promestriene tablet currently listed are divided into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and require two assays.
  • The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is developing and improving the existing quality control guidelines for compound preparations that are currently being used.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new analytical method that is applicable to the present commercial products on the market immediatel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I. Santos and S. Clissold, Gynecol Endocrinol, 26(9), 644-651 (2010). 

  2. S. Palacios Gil-Antunano, Rev. Clin. Esp., 173(5-6), 297-300 (1984). 

  3. T. Agner and T. Menne, Contact Dermatitis, 29(3), 163 (1993). 

  4. D. H. Moore, L. F. Chasseaud, A. Darragh, T. Taylor and D. G. Cresswell, Steroids, 41(1), 15-22 (1983). 

  5. A. Tinelli, A. Malvasi, L. D'anna, R. Tinelli, A. Perrone and F. G. Tinelli, Gynecol Endocrinol, 23(8), 445-450 (2007). 

  6. A. J. Sun, S. Q. Lin, L. H. Jing, Z. Y. Wang, J. L. Ye and Y. Zhang, Zhonghua Fu Chan Ke Za Zhi, 44(8), 593-596 (2009). 

  7. Q. Wang, Y. Wang, Y. Deng, T. Shi, X. Liu, X. Sun, X. Li and D. Zhou, Eur. J. Drug. Metab Pharmacokinet, 35(3-4), 131-136 (2011). 

  8. I. Mazzucchelli, M. Rapetti, C. Fattore, V. Franco, G. Gatti and E. Perucca, Anal Bioanal Chem, 401(3), 1013-1021 (2011). 

  9. S. Kumar, S. Mathkar, C. Romero and A. M. Rustum, J. Chromatogr Sci., 49(5), 405-411 (2011). 

  10. S. K. Patel and N. J. Patel, J. AOAC Int, 93(4), 1207- 1214 (2010). 

  11. T. Haque, M. M. Talukder, S. Laila and K. Fatema, Pak J. Pharm Sci., 23(4), 379-383 (2010). 

  12. F. Aziz, A. Gupta and M. F. Khan, Indian J. Pharm Sci., 72(2), 252-255 (2010). 

  13. M. C. Fontana, M. O. Bastos and R. C. Beck, J. Chromatogr Sci., 48(8), 637-640 (2010). 

  14. A. Joseph, S. Patel and A. Rustum, J. Chromatogr Sci., 48(7), 607-612 (2010). 

  15. A. F. Mistiran, A. A. Dzarr and S. H. Gan, Toxicol Mech. Methods, 20(8), 472-481 (2010). 

  16. K. Arumugam, M. R. Chamallamudi, R. R. Gilibili, R. Mullangi, S. Ganesan, S. S. Kar, R. Averineni, G. Shavi and N. Udupa, Biomed Chromatogr, 25(3), 353-361 (2011). 

  17. A. B. Khetre, P. K. Sinha, M. C. Damle and R. Mehendre, Indian J. Pharm Sci., 71(5), 509-514 (2009). 

  18. A. Quintero, A. Caldera, B. Milano, I. Odreman, A. Hurtado, L. Manzanares and J. Villamizar, Pharmazie, 64(12), 796-799 (2009). 

  19. G. B. Kasawar and M. Farooqui, J. Pharm. Biomed. Anal, 52(1), 19-29 (2010). 

  20. K. Pharmacopeia, (2007). 

  21. U. S. Pharmacopeia,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