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 착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래글런 소매 패턴 변화에 따른 착의 시 정량적 분석 가능성 모색
A Study on Based on the Possibility of Quantitative Analysis using Virtual Clothing Simulation according to Raglan Sleeve Pattern Types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1 no.2, 2012년, pp.299 - 314  

이예진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이병철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ffects of pattern alteration using a virtual clothing simulation approach in combination with 3D analysis software. Three raglan sleeves of different patterns were worn by an avatar using virtual clothing simulation with silk and cotton as the test fabric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로부터 3D 원 데이타를 전송(export)한 후 3D 분석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의복내 공기층, 의복 표면적, 단면 형상을 분석하였다. 래글런 소매 패턴의 변화가 3D 착의에 미치는 결과를 3D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정량적 분석으로 이들의 상호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실제 착의를 통해 파악하기 어려운 부위의 연구 시 유용한 분석 도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2D 패턴의 변화에 따라 3D 착의 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실제 착의 실험 시 분석하기 어려운 진동 부위를 초점으로 하여 가상 착의의 장점을 살리면서 동시에 3D 분석 시스템과의 접목으로 정량적 분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길원형은 고정하고 래글런 소매 패턴만을 변형했을 때 가상 착의를 통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패턴 설계 방법이 착의에 미치는 변화 정도를 가상 착의 시스템과 3차원 분석 시스템을 접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가상 착의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실제 착의로 관찰하기 어렵고, 3D 측정을 이용하려해도 스캔 시 데이타 손실이 발생하여 분석에 어려움이 많은 겨드랑이 부위 즉, 이와 관련된 소매 패턴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앞서 언급한 기존 연구들이 가상 착의가 실제 착의와 다소 다르기는 하나 사용 가능성을 검증하였기에 본 연구에서는 가상 착의에 대한 실제성의 가정 하에 실시하였으며 전반적인 연구의 개요도는 다음 [Figure 1]과 같다. 길원형은 고정하고 래글런 소매 패턴을 3가지 타입 (T1, T2, T3)으로 변형 했을 때 가상 착의 후 생기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상착의는 현재 의류 업체에게 어떤 이점을 주고 있는가? 물론 실제 착의와 가상 착의 사이에 다소 차이가 존재하지만 가상 착의를 통해 어느 정도 객관적인 평가 및 분석이 가능하며 일부 공학적인 기술적 보완과 실험 데이타의 보충을 통해 머지않은 미래에 실제 착의를 통한 실험을 완벽히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현재 업체에서는 의류완제품의 최종 생산 결정을 위해 패턴 설계 후 가봉과 수정을 반복했던 기존 의류제작공정 과정에서 벗어나 가상착의를 통해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키고 있으며, 온라인상 데이터 교환, 품평 및 제품 홍보에도 이를 이용하고 있다(Nam & Lee, 2008). 한편 학계에 서는 크게 두 가지 연구 방향으로 가상 착의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데, 첫째는 가상 착의와 실제 착의와의 비교를 통해 가상 착의 프로그램의 향상을 위한 방안 제시, 문제점 지적 등 프로그램의 활용 영역을 넓히는데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가상 착의와 실제 착의와의 비교를 통해 가상 착의 프로그램 활용 영역을 넓히는데 초점을 맞춘 연구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한편 학계에 서는 크게 두 가지 연구 방향으로 가상 착의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데, 첫째는 가상 착의와 실제 착의와의 비교를 통해 가상 착의 프로그램의 향상을 위한 방안 제시, 문제점 지적 등 프로그램의 활용 영역을 넓히는데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Lee와 Kang(2009), Kang과 Lee(2010)는 스커트 프릴의 주름 수를 변형해가면서 실제 착의와 가상 착의의 전체적 실루엣, 원단 물성의 표현 정도, 단면 형상을 분석하여 가상 의복 시스템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Koo와 Suh(2009) 는 재단 각도에 따른 세미 플레어 스커트의 외관과 헴라인 드레이프 형상 분석을 가상 착의와 실제 착의와의 비교를 통해 가상 착의 분석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더 나아가 Koo(2010)는 가상 착의 시스템이 소재 특성을 어느 정도 표현하는지 세미 플레어 스커트 헴라인 형상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개인 맞춤형 의복 제작이 가능하지를 검증하였다.
패턴 설계 방법이 착의에 미치는 변화 정도를 확인하는 실험에서 래글런 소매 패턴은 어떤 방식을 사용하였나? 실험 의복은 길원형과 래글런 소매로 이루어졌다. 먼저 래글런 소매 패턴은 기존 연구들(Hong & Chae, 1994; Lee & Cho, 2002; Lee & Cho 2003)에서 조사한 다양한 래글런 패턴 설계 방법 중 외관과 동작 평가 결과가 좋았던 어깨선을 연장하여 직각이등변 삼각형을 그린 후 소매산 중심선의 각도를 결정하여 그리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중심선의 각도에 따라 착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기존 연구들의 결과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는 래글런 앞 소매와 뒤 소매의 각도에 따른 외관의 변화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패턴을 변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 Y. A. & Hayashi, T. (1988). A Study of Pattern Making System by Personal Computer - For Sleeve Desig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2, 68-86. 

  2. Choi, J. & Do, W. H. (2008). Analysis on lower body type and 3D virtual appearance evaluation of boots cut jeans for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46(2), 73-83. 

  3. Do, W. H. & Park, H. J. (2010). A Study on the Fit Preferences of Knitted Jackets According to Body types Using a 3D Virtual Try-On System - Focus on Adult Women in Their 30's and 40'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10), 1632-1646. 

  4. Hong, J. M. & Chae, S. M. (1994). A Study on Raglan Sleeve Pattern. Institute of Community Development, 3, 149-166. 

  5. Jeong, Y. H. (2008).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reduction rates of stretch fabrics and clothing pressur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5), 963-973. 

  6. Kang, I. A. & Lee, S. Y. (2010). A Study on the Shape of Shirring Using 3D Virtual Clothing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7), 1111-1125. 

  7. Kim, H. J. & Kim, Y. S. (2011). Prototype Torso Pattern for Circular Knit using Virtual Garment Softwar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2(1), 53-61. 

  8. Koike C. (1979). Sleeve, Lee, H. J. Translation (1997). Seoul: Yehak Publisher. 

  9. Koo, M. R. (2010). A Study on the Shape of Hem-Line of Semi-Flare Skirts by P/W blended fabric's -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Real Clothing and 3D Virtual Clothing -.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3(2), 145-155. 

  10. Koo, M. R. & Suh, M. A. (2009). A Study on the Shape of Hem-line of Semi-Flare Skirts according to a Cutting Angle -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Real Clothing and 3D Virtual Clothing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3), 499-511. 

  11. Lee, K. H. & Cho, J. H. (2002). A Comparative Study on Raglan-Sleeve Patterns According to Construction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11), 1502-1513. 

  12. Lee, K. H. & Cho, J. H. (2003). A Comparative Study on the Raglan-Sleece Pattern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Factors(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3(8), 1-10. 

  13. Lee, M. H. (2010). A Change of the Gap in Dressed Blouses with Above-elbow Sleeves and Sleeeless According to Arm Move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11), 1779-1785. 

  14. Lee, S. Y. & Kang, I. A. (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Shapes of 3D Virtual Skirts and Actually Made Skir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8), 26-36. 

  15. Lee, S. Y. & Lee, J. S. (2010). A Study on Applicability of Custom-Tailored Clothing of 3D Virtual Clothing System - Focused on Middle-Aged Women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4(4), 161-173. 

  16. Lim, J. Y. (2010). A Development of the Bodice Pattern for Male Sports Athletes Using by 3D Virtual Twin & Virtual Garment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2(3), 347-353. 

  17. Lim, J. Y. (2010). A Study on the Ease in Jacket Bodice Pattern for Abdomen-obese middle-aged Men form Virtual Appearance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2(6), 789-795. 

  18. Nam, Y. J. & Lee, J. H. (2008). 3D Body Scan Data and Virtual Garment Simulation.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5, 41-53. 

  19. Uh, M. K. (2011). Development of a Pattern and Visual Image for a One-Piece Dress using a 3D Virtual Clothing System.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3), 597-6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