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양조 및 재래식 조선간장으로부터 분리한 다당의 면역증강 활성 비교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Commercial Soy Sauce and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2, 2012년, pp.228 - 234  

박혜령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이문수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조선영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원혜진 (경기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이현순 (경기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이호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신광순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양조간장은 일본의 $koji$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는 반면, 재래식 조선간장은 자연적으로 미생물이 접종 및 발효된 메주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식으로 만들어진 양조간장과 우리나라 전통방식으로 만들어진 재래식 조선간장으로부터 얻어진 다당의 특성과 면역증진활성을 비교하였다. 조선간장 유래 다당인 KTSP-0는 2-keto-3-deoxy-D-$manno$-2-octulosonic acid(KDO)(1.1%)의 구조를 가지는 rhamnogalacturonan II(RG-II)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양조간장 유래 다당 CSP-0와 KTSP-0의 보체계 활성화능을 측정한 결과 두 시료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보체계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1,000{\mu}g/mL$ 농도에서 KTSP-0는 64.7%, CSP-0는 56%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C3의 보체계 활성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2차원 면역전기영동을 행하였다. 그 결과, CSP-0는 고전경로로만 보체계를 활성화 시키는 반면, KTSP-0는 고전경로와 부경로 모두를 통해 보체계를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SP-0와 KTSP-0는 비장 유래세포와 macrophage에 대한 세포독성이 없음이 확인되었으며, KTSP-0는 활성화된 복강유래 macrophage에서 IL-6는 $8-1,000{\mu}g/mL$의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IL-12는 $40{\mu}g/mL$의 농도에서 cytokine의 분비를 증가시켰다. 본 연구를 통해 양조간장보다 조선간장이 보체계 활성화를 통해 높은 면역 증강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arying characteristics between traditional and commercial soy sauce may be initiated by raw materials and fermentation techniques for the production of $meju$ and $koji$. We examined properties regarding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commercial soy sauce made by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CSP-0 및 KTSP-0의 항보체 활성이 보체계 활성화에 기인한 것인지, 혹은 시료의 보체 저해활성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보체계 활성화에서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알려진 C3의 활성화 여부를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보체계가 활성화되면 C3는 C3a와 C3b로 분해되므로(23) 시료와 정상인 혈청을 반응시킨 후 1차 전기영동을 실시하고 anti-human C3를 이용하여 2차 면역전기영동을 행함으로써 C3 분해산물을 동정하고자 하였다.
  • 현재 시판되는 대부분의 양조간장은 일본의 shoyu처럼 밀과 콩을 원료로 하여 koji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반면 우리나라의 재래식 조선간장은 대두만으로 만들어진 메주에 볏짚과 공기 중의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접종하게 한 후 1-2개월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대두의 단백질 및 당류 성분이 별도의 가공처리없이 분해되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 진다(14). 본 연구는 일본식으로 만들어진 양조 간장과 우리나라 전통방식으로 만들어진 재래식 조선간장으로부터 얻어진 다당의 면역증진활성을 비교하여 우리나라 전통방식으로 만들어진 재래간장의 기능성을 알리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양조간장은 일본의 koji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는 반면, 재래식 조선간장은 자연적으로 미생물이 접종 및 발효된 메주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식으로 만들어진 양조간장과 우리나라 전통방식으로 만들어진 재래식 조선간장으로부터 얻어진 다당의 특성과 면역증진활성을 비교하였다. 조선간장 유래 다당인 KTSP-0는 2- keto-3-deoxy-D-manno-2-octulosonic acid(KDO)(1.

가설 설정

  • 2)Polysaccharide isolated Korea traditional soy sauce made by meju process.
  • 3)KDO means 2-keto-3-deoxy-D-manno-octulosonic aci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Yokotsuka T. Soy sauce biochemistry. Adv. Food Res. 30: 195- 329 (1986) 

  2. Lee WJ, Cho DH. Microbiological studies of Korean native soysauce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14: 137-148 (1971) 

  3. Choi C, Choi KS, Lee SH, Hong SP, Lee HD, Bae DK. Characteristics and action pattern of $\alpha$ -galactosidase from Scopulariopsis brevicaulis in korean traditional meju. Agr. Chem. Biotechnol. 41: 489-495 (1998) 

  4. Kobayashi M, Hashimoto Y, Taniuchi S, Tanabe S. Degradation of wheat allergen in Japanese soy sauce. Int. J. Mol. Med. 13: 821-827 (2004) 

  5. Kobayashi M, Matsushita H, Yoshida K, Tsukiyama R, Sugimura T, Yamamoto K. In vitro and in vivo anti-allergic activity of soy sauce. Int. J. Mol. Med. 14: 879-884 (2004) 

  6. Benjamin H, Storkson J, Nagahara A, Pariza MW. Inhibition of benzo(a)pyrene-induced mouse forestomach neoplasia by dietary soy sauce. Cancer Res. 51: 2940-2942 (1991) 

  7. Kataoka S, Liu W, Albright K, Storkson J, Pariza M. Inhibition of benzo[a]pyrene-induced mouse forestomach neoplasia and reduction of $H_{2}O_{2}$ concentration in human polymorphonuclear leucocytes by flavour components of Japanese-style fermented soy sauce. Food Chem. Toxicol. 35: 449-457 (1997) 

  8. Masuda S, Hara-Kudo Y, Kumagai S. Redu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populations in soy sauce, a fermented seasoning. J. Food Protect. 61: 657-661 (1998) 

  9. Tsuchiya H, Sato M, Watanabe I. Antiplatelet activity of soy sauce as functional seasoning. J. Agr. Food Chem. 47: 4167-4174 (1999) 

  10. Kinoshita E, Yamakoshi J, Kikuchi M.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soy sauce. Biosci. Biotech. Bioch. 57: 1107-1110 (1993) 

  11. Matsushita H, Kobayashi M, Tsukiyama R, Yamamoto K. In vitro and in vivo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shoyu polysaccharides from soy sauce. Int. J. Mol. Med. 17: 905-909 (2006) 

  12. Matsushita HF, Kobayashi M, Tsukiyama R-I, Fujimoto M, Suzuki M, Tsuji K, Yamamoto K. Stimulatory effect of shoyu polysaccharides from soy sauce on the intestinal immune system. Int. J. Mol. Med. 22: 243-247 (2008) 

  13. Kobayashi M, Nagatani Y, Magishi N, Tokuriki N, Nakata Y, Tsukiyama R, Imai H, Suzuki M, Saito M, Tsuji K. Promotive effect of shoyu polysaccharides from soy sauce on iron absorption in animals and humans. Int. J. Mol. Med. 18: 1159-1163 (2006) 

  14. Lee JG, Kwon KI, Choung MG, Kwin O-J, Choi JY, Im MH. Quality analysis on the size and the preparation method of meju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ganjang). J. Appl. Biol. Chem. 52: 205-211 (2009) 

  15.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Biochem. 28: 350-356 (1956) 

  16. Blumenkrantz N, Asboe-Hansen G. New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uronic acids. Anal. Biochem. 54: 484-489 (1973) 

  17. Bradford MM.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 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1976) 

  18. Karkhanis YD, Zeltner JY, Jackson JJ, Carlo DJ. A new and improved microassay to determine 2-keto-3-deoxyoctonate in lipopolysaccharide of Gram-negative bacteria. Anal. Biochem. 85: 595-601 (1978) 

  19. Jones TM, Albersheim P. A gas chromatograph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ldose and uronic acid constituents of plant cell wall polysaccharides. Plant Physiol. 49: 926-936 (1972) 

  20. Kabat EA, Mayer MM. Experimental Immunochemistry. 2nd ed. Thormas Publisher, Springfield, IL, USA. pp.133-240 (1965) 

  21. Yamada H, Ra KS, Kiyohara H, Cyong JC, Otsuka Y.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an anti-complementary pectic polysaccharide from the roots of Bupleurum falcatum L. Carbohyd. Res. 189: 209-226 (1989) 

  22. Shimura K, Ito H, Hibasami H. Screening of host-mediated antitumor polysaccharides by crossed immunoelectrophoresis using fresh human serum. Jpn. J. Pharmacol. 33: 403-408 (1983) 

  23. Hwang YC, Shin KS. Characterization of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Korean persimmon vinegar.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20-227 (2008) 

  24. Kim JM, Lim BK, Ho SH, Yun SH, Shin JO, Park EM, Kim DK, Kim S, Jeon ES. TNFR-Fc fusion protein expressed by in vivo electroporation improves survival rates and myocardial injury in coxsackievirus induced murine myocarditis. Biochem. Bioph. Res. Co. 344: 765-771 (2006) 

  25. Kwon MH, Sung HJ. Characteristics of immune response by polysaccharides with complement system activity. Food Sci. Ind. 30: 30-43 (1997) 

  26. Inngjerdingen KT, Debes SC, Inngjerdingen M, Hokputsa S, Harding SE, Rolstad B, Michaelsen TE, Diallo D, Paulsen BS. Bioactive pectic polysaccharides from Glinus oppositifolius (L.) Aug. DC., a Malian medicinal plant,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J. Ethnopharmacol. 101: 204-214 (2005) 

  27. York WS, Darvill AG, McNeil M, Albersheim P. 3-deoxy-Dmanno- 2-octulosonic acid (KDO) is a component of rhamnogalacturonan II, a pectic polysaccharide in the primary cell walls of plants. Carbohyd. Res. 138: 109-126 (1985) 

  28. Holers VM. The complement system as a therapeutic target in autoimmunity. Clin. Immunol. 107: 140-151 (2003) 

  29. Thurman JM, Holers VM. The central role of the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 in human disease. J. Immunol. 176: 1305- 1310 (2006) 

  30. Jung YJ, Chun H, Kim KI, An JH, Shin DH, Hong BS, Cho HY, Yang HC. Purified polysaccharide activating the complement system from leaves of Diospyos kaki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79-884 (2002) 

  31. Kim JH, Shin KS, Lee H. Characterization and action mode of anti-complementary substance prepared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90-295 (2002) 

  32. Park W. Study on biological effect of multi-herbal drug KOCOP1 on mouse macrophage raw 264.7 cells. Korean J. Herbol. 23: 151-157 (2008) 

  33. Joyce S. Immune recognition, response, and regulation: How T lymphocytes do it. Immunol. Res. 23: 215-228 (2001) 

  34. Kaplanski G, Marin V, Montero-Julian F, Mantovani A, Farnarier C. IL-6: A regulator of the transition from neutrophil to monocyte recruitment during inflammation. Trends Immunol. 24: 25-29 (2003) 

  35. Tilg H, Trehu E, Atkins MB, Dinarello CA, Mier JW. Interleukin- 6 (IL-6) as an anti-inflammatory cytokine: Induction of circulating IL-1 receptor antagonist and soluble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p55. Blood 83: 113-118 (1994) 

  36. Xing Z, Gauldie J, Cox G, Baumann H, Jordana M, Lei XF, Achong MK. IL-6 is an antiinflammatory cytokine required for controlling local or systemic acute inflammatory responses. J. Clin. Invest. 101: 311-320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