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재가 여성노인의 칩거와 영향 요인
Homebound status and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Age in Female Elders in the Communit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2, 2012년, pp.291 - 301  

최경원 (혜천대학 간호학과) ,  박언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이인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mebound status and significant related factors for community-dwelling female elders according to ag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female elders over 65 years of age registered in public health centers.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결과, 전기노인의 칩거 영향요인은 복합적 이동능력, 우울과 낙상두려움 등으로 서 주로 정서적 요인의 영향력이 높았으며, 후기노인 칩거의 영향요인은 악력, 정적 균형감, 복합적 이동능력, 요실금 정도, 낙상두려움 등으로서 주로 신체기능적 요인이 많았다. 본 논의에서는 연령에 따른 칩거의 영향요인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전국 253개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제공하는 노인 교육프로그램을 위해 수집된 65세 이상 노인의 기초자료를 이용하여 재가 여성노인의 일반적, 건강적 특성에 따른 칩거 상태의 차이를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으로 구분하여 파악하고 연령에 따른 칩거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전기노인의 칩거 영향요인은 복합적 이동능력, 우울과 낙상두려움 등으로 서 주로 정서적 요인의 영향력이 높았으며, 후기노인 칩거의 영향요인은 악력, 정적 균형감, 복합적 이동능력, 요실금 정도, 낙상두려움 등으로서 주로 신체기능적 요인이 많았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의 연령별 칩거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전기노인 22.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노인의 칩거 상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령별로 규명하기 위해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재가 여성노인의 칩거 빈도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노년기가 확장됨에 따라 75세 미만의 전기노인과 75세 이후의 후기 노인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전기노인은 대체적으로 건강 상태가 양호한 편에 비해 후기 노인은 일상생활 활동능력의 저하로 더욱 의존적 상태가 되며 배우자나 친구의 사망, 수입저하, 체력과 건강상태 악화, 심각한 삶의 사건 경험증가 등으로 더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는 등(Choi, 2007) 일상생활 활동의 정도, 가족이나 사회의 지지, 건강상태 등 건강관련 상황이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75세를 중심으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으로 구분하여 칩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칩거예방 및 감소를 위한 맞춤형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칩거란 무엇인가? 칩거는 ‘일상생활에서의 활동범위가 집에 거의 한정되어 있는 상태’로서 이는 이동능력 장애가 있어 자력으로는 외출이 곤란하여 주로 집에 있게 되는 경우, 신체적 장애 유무에 관련 없이 하루의 대부분을 집안 혹은 그 주변에서 지내며 외출빈도가 극도로 적은 경우 등의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Shinaki et al., 2005a).
칩거의 원인 중 신체적 요인은 무엇인가? 칩거의 원인은 신체적,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요인(Shinaki, 2008)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신체적 요인 으로는 근력 및 보행기능저하, 인지기능 저하, 신체기능저하(Fujita et al., 2004), 요실금(Imuta, Yasumura, Ahiko, & Fukao, 2002) 등이 있으며, 정신심리적 요인으로 우울, 불안, 낮은 주관적 건강감과 자기 효능감(Imuta et al.; Shinaki et al.
칩거의 유형 두 가지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칩거는 ‘일상생활에서의 활동범위가 집에 거의 한정되어 있는 상태’로서 이는 이동능력 장애가 있어 자력으로는 외출이 곤란하여 주로 집에 있게 되는 경우, 신체적 장애 유무에 관련 없이 하루의 대부분을 집안 혹은 그 주변에서 지내며 외출빈도가 극도로 적은 경우 등의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Shinaki et al., 2005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rlau, D. J., Corrada, M. M., & Kawas, C. (2009). The prevalence of disability in the oldest-old is high and continues to increase with age: Findings from the 90+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4, 1217-1225. http://dx.doi.org/10.1002/gps.2248 

  2. Charlson, M. E., Peterson, J. C., Syat, B. L., Briggs, W. M., Kline, R., Dodd, M., et al. (2008). Outcomes of community-based social service interventions in homebound el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3, 427-432. http://dx.doi.org/10.1002/gps.1898 

  3. Choi, Y. H. (2007). A study on depression, sleep and fatigue in younger and older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 223-231. 

  4. Cohen-Mansfield, J., Shmotkin, D., & Hazan, H. (2010). The effect of homebound status on older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8, 2358-2362. http://dx.doi.org/10.1111/j.1532-5415. 2010.03172.x 

  5. Fujita, K., Fujiwara, Y., Kumagai, S., Watanabe, S., Yoshida, Y., Motohashi, Y., et al. (2004). The frequency of going outdoors, and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unctioning among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Japanese Journal of Public Health, 51, 168-180. 

  6. Haley, S. M., Jette, A. M., Coster, W. J., Kooyoomjian, J. T., Levenson, S., Heeren, T., et al. (2002). Late life function and disability instrument: II.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function component.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icences, 57, M217-M222. http://dx.doi.org/10.1093/gerona/57.4.M217 

  7. Hendrickson, L. S. (1981). The frequency of stress incontinence in women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an exercise program. Issues in Health Care of Women, 3(2), 81-92. 

  8. Imuta, H., Yasumura, S., Ahiko, T., & Fukao, A. (2002). Predictors of functional status among independent and homebound community dwelling elderly: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arameters. Japanese Journal of Public Health, 49, 483-496. 

  9. Inoue, K., & Matsumoto, M. (2001). Homebound status in a communitydwelling elderly population in Japan. Asian Pacific Journal of Public Health, 13, 109-115. http://dx.doi.org/10.1177/101053950101300209 

  10. Kee,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 ropsychiatric Association, 35, 298-307. 

  11. Kono, A., & Kanagawa, K. (1999). A qualitative study on the structure of "TOJIKOMORI" phenomenon among home disabled elderly-a daily life of house-bound elderly. Journal of Japanese Academy of Nursing Science, 19, 23-30. 

  12. Kono, A., & Kanagawa, K. (2001). Characteristics of housebound elderly by mobility level in Japan. Nursing and Health Science, 3, 105-111. 

  13. Kono, A., Kai, I., Sakato, C., & Rubenstein, L. Z. (2004). Frequency of going outdoors: A predictor of functional and psychosocial change among ambulatory frail elders living at hom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9, 275-280. 

  14. Lee, K. J., & Kim, H. S. (2006). A study o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elderly in urban area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 221-230. 

  15. Lee, M. S. (2000). Sense of mastery and depression in community dwelling el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16. Lee, Y. S. (1993). The effect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on female urinary incontin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7. Li, F., Fisher, K. J., Harmer, P., McAuley, E., & Wilson, N. L. (2003). Fear of falling in elderly persons: Association with falls, functional ability, and quality of lif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8, 283-290. http://dx.doi.org/10.1093/ geronb/58.5.P283 

  18. Matos, L. C., Tavares, M. M., & Amaral, T. F. (2007). Handgrip strength as a hospital admission nutritional risk screening method.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1, 1128-1135. http://dx.doi.org/10.1038/ sj.ejcn.1602627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ffairs. (2009). Manual for a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Seoul: Author. 

  20. Payette, H., Boutier, V., Coulombe, C., & Gray-Donald, K. (2002). Benefits of nutritional supplementation in free-living, frail, undernourished elderly people: A prospective randomized community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2, 1088-1095. http://dx.doi. org/10.1016/S0002-8223(02)90245-2 

  21. Peduzzi, P., Concato, J., Kemper, E., Holford, T. R., Feinstein, A. R. (1996) A simulation study of the number of events per variable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49, 1373-1379. http://dx.doi.org/10.1016/S0895-4356(96)00236-3 

  22. Podsiadlo, D., & Richardson, S. (1991).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39, 142-48. 

  23. Shinaki, S. (2008). Homeboundness in the elderly. Japanese Journal of Geriatrics, 45, 117-125. 

  24. Shinaki, S., Fujita, K., Fujiwara, Y., Kumagai, S., Amano, H., Yoshida, H., et al. (2005a).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homeboundness among community-living older adults. Japanese Journal of Public Health, 52, 443-455. 

  25. Shinaki, S., Fujita, K., Fujiwara, Y., Kumagai, S., Amano, H., Yoshida, Y., et al. (2005b). Prognosis of different types of homeboundness among community- living older adults: Two-year prospective study. Japanese Journal of Public Health, 52, 627-638. 

  26. Steffen, T. M., Hacker, T. A., & Mollinger, L. (2002). Age- and gender-related test performanc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Six-minute walk test, berg balance scale, timed up & go test, and gait speeds. Physical Therapy, 82, 128-137. http://ptjournal.apta.org/content/82/2/128 

  27. Vellas, B. J., Wayne, S. J., Romero, L., Baumgartner, R. N., Rubenstein, L. Z., & Garry, P. J. (1997). One-leg balance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injurious falls in older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5, 735-738.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March). Strategy for integrating gender analysis and actions into the work of WHO. Geneva: Author 

  29. Yesavage, J. A., Brink, T. L., Rose, T. L., Lum, O., Huang, V., Adey, M., et al.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1), 37-49. 

  30. Zimmerman, R. K., & Middleton, D. B. (2005). Vaccines for persons at high risk due to medical conditions, occupation, environment, or lifestyle. Journal of Family Practice, 54, S27-S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