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방병원 한의사와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 비교
Knowledge and Performance Level of Infection Control and Influencing Factors of Oriental Medical Doctors and Nurses in Korea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1, 2012년, pp.74 - 84  

김경미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  김형준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  최정실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knowledge and performance level of infection control among oriental medical doctors and nurses and further to identify factors that may influence practi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urvey method. Two hundred and forty two healthcare worke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한방병원 의료진의 감염관리 지침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를 파악하고, 감염관리에 대한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서울, 원주, 제천, 충주 지역의 5개 한의과대학 부속 한방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진 중 한의사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감염관리 지침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를 측정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와 HICPAC (Hospital Infection Control Practice Advisory Committee)에서 발표한 감염관리지침(CDC, 2002-a, 2002-b, 2003; Gould et al., 2009; Sigel., Rhinehart, Jackson, Chiarello, & HICPAC, 2007; Rutala, Weber, & HICPAC, 2008)과 선행연구(Kim et al., 2004)를 토대로 개발한 손위생, 개인보호장비 착용, 소독과 멸균, 폐렴 예방 감염관리, 요로감염 예방 감염관리, 혈류감염 예방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을 말한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CDC와 HICPAC의 감염관리지침(CDC, 2002-a, 2002-b, 2003; Gould et al., 2009; Sigel et al., 2007; Rutala et al., 2008)과 선행연구(Kim et al., 2004)를 토대로 개발된 손위생, 개인보호장비 착용, 소독과 멸균, 폐렴 예방 감염관리, 요로감염 예방 감염관리, 혈류감염 예방 감염관리에 대해 실제로 수행하는 정도를 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방병원에 근무하는 주요 의료인인 한의사와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및 수행도를 조사하고,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감염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방병원에 근무하는 주요 의료진인 한의사와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를 조사하고,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한방병원에서의 효율적인 감염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준수해야 하는 지침은?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의료행위들과 병원 환경이 의료관련감염을 유발하는 요인들이라고 볼 때 한약, 침, 부항 등의 한의학적 치료뿐만 아니라 정맥주사, 기도흡인, 유치도뇨관 삽입 등의 서양의학 시술을 함께 제공하고 있는 한방병원 역시 감염관리 활동이 반드시 필요하며, 특히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일반적인 감염관리 지침의 준수는 필수적이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8). 이를 위해서는 한방병원에서도 한의사와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인에 대한 효과적인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며, 우선적으로 한방병원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지식수준과 교육 요구도의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한방병원이란? 우리나라에는 서양의학을 바탕으로 한 병원은 물론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발달해 온 한의학으로 환자를 치료하는 병원이 의료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방병원은 한의사가 의료를 행하는 입원 환자 3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의료기관으로, 내과 ․ 소아과 ․ 부인과 ․ 신경정신과 ․ 안이비인후과 ․ 침구과 ․ 한방재활의학과 ․ 응급(처치)실 ․ 한방요법실 등의 시설 등을 갖추고 환자들을 진료하고 있는 곳이다(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1). 국내에는 2009년 현재 158개의 한방병원과 11,782개의 한의원이 있고, 이들 한방 병의원들은 8천여 개의 병상을 보유하고 있다(Chung & Kang, 2010).
일반적인 감염관리 지침의 준수를 위해 한방병원에서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의료행위들과 병원 환경이 의료관련감염을 유발하는 요인들이라고 볼 때 한약, 침, 부항 등의 한의학적 치료뿐만 아니라 정맥주사, 기도흡인, 유치도뇨관 삽입 등의 서양의학 시술을 함께 제공하고 있는 한방병원 역시 감염관리 활동이 반드시 필요하며, 특히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일반적인 감염관리 지침의 준수는 필수적이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8). 이를 위해서는 한방병원에서도 한의사와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인에 대한 효과적인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며, 우선적으로 한방병원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지식수준과 교육 요구도의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 동안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과 인식 및 수행도에 관한 국내 연구는 서양의학을 중심으로 한병원들에서 주로 실시되어 왔으며, 전체 병원이나 특수부서에 근무하는 간호사, 일반 직원, 간호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Cheong & Cho, 2004; Chong, 2005; Kim & Cho, 1997;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02-a). Guidelines for hand hygiene in healthcare settings.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53 (RR16), 1-45.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02-b).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intravascular catheter related infection.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51 (RR10), 1-26. 

  3. Centers for disease and prevention. (2003). Guidelines for preventing healthcare associated pneumonia.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51 (RR03), 1-36. 

  4. Cheong, H. J., & Cho, C. M. (2004). The study of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for the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Clinical Nursing Research, 9 (2), 18-31. 

  5. Chong, C. U. (2005). Compliance level of Universal precautions to hospital infection and related factors of health care workers in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6. Chung, H. G., Kang, Y. G. (2010). 2009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7.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2), 175-191. 

  8. Gould, C. V., Umscheild, C. A., Agarwal, R. K., Kuntz, G., Pegues, D. A., &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2009). Guideline for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2009. Retrieved August 11, 2011, from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b site: http://www.cdc.gov/hicpac/cauti/001_cauti.html 

  9. Jeong, J. S., Yoon, S. W., Park, E. S, Kim, K. M., Yoo, S. Y., Jeong, I. S., et al. (2006). The present situation of infection control professionals, organization, and activities in Korean acute care general hospitals.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11 (1), 58-69. 

  10. Kim, K. M., Cha, K. S., Lee, G. Y., Yoo, S. Y., Choi, O. J., Wie, S. H., et al. (2004).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9 (2), 139-150. 

  11. Kim, M. Y., & Jeong, C. M. (2002). The level of the awareness and the compliance on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among clinical nurses in the hospital.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7 (2), 58-69. 

  12. Kim, K. M., & Kim, H. J. (2011). Nationwide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infection control in oriental medical hospitals.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16 (2), 63-69. 

  13. Kim, S. O., & Cho, S. H. (1997). A study on clinical nurses level of perception of importanc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the control of nosocomial infe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 (4), 765-776. 

  14.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1, June). Medical law. Retrieved July 25, 2011, from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Web site: http://likms.assembly.go.kr/law/jsp/Law.jsp?WORK_TYPELAW_BON&LAWID A1549&PROM_NO10785&PROM_DT20110607&HanChkY 

  15. Korean Society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11).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 healthcare facility (4th ed). Seoul: Hanmi Book. 

  16. Lim, N. Y., Sohong, K. Y., Shon, Y. H., Kim, J. I., Gu, M. O., Kim, K. H., et al. (2005). Education on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within the content of courses in fundamentals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13 (1), 66-72.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8, November). Result of Oriental medical hospitals accreditation demonstration project. Retrieved November 4, 2011, from the Korea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Association Web site: http://www.omha.or.kr/bbs/read.asp?Board2&id370&page17 

  18. Oh, H. S. (2005). National survey on nurses'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 in general hospitals and analysis of variables to impact on their knowledge.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10 (2), 78-86. 

  19. Park, M. J. (2008). Hospital infection control among medium and small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20. Park, Y. R. (2007). Knowledge, attitude and self-Confidence of student nurses regarding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4 (4), 429-436. 

  21. Rutala, W. A., Weber, D. J., &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2008). Guideline fo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2008. Retrieved January 3, 2011, from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b site: http://www.cdc.gov/hicpac/pdf/guidelines/Disinfection_Nov_2008.pdf 

  22. Sigel, J. D., Rhinehart, E., Jackson, M., Chiarello, L, &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2007). 2007 Guideline for isolation precautions; Preventing transmission of infectious agents in healthcare settings. Retrieved January 3, 2011, from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b site: http://www.cdc.gov/hicpac/pdf/isolation/isolation2007.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