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료 및 유료 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 Non-paid or Paid Assisted Living Facilitie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2, 2012년, pp.99 - 108  

석소현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최진이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 non-paid or paid assisted living faciliti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634 elderly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Measures were self-esteem,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삶의 질 연구를 위해서 국내에서 경제적 비용의 부담에 따른 무료 및 유료 노인요양시설의 종류를 고려하고,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지각된 건강상태 같은 신체적인 상태, 자아존중감, 우울과 같은 정서적인 요인, 가족지지와 같은 사회적인 영역, 시설 적응 정도, 노인요양시설의 질 정도와 같은 환경적인 영역의 변수를 포함하여 통합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무료 및 유료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삶의 질을 설명하고, 그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향후 무료 및 유료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의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한 간호전략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무료 및 유료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삶의 질과 그 영향요인은 비교 분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무료 요양시설 입소 노인과 유료 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삶의 질 정도와 그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유료 및 무료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삶의 질 정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2010년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1.0%로 고령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전되고 있으며, 2018년에는 노인인구 비율이 14.3%로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2018년에는 노인인구 비율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2010년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1.0%로 고령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전되고 있으며, 2018년에는 노인인구 비율이 14.3%로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이러한 노인들의 61%는 노후준비가 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더불어 부모의 노후생계에 대해 가족과 정부 ‧ 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견해는 증가하는 반면 가족이 돌보아야 한다는 견해는 큰 폭으로 감소하여 향후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이 크게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인구는 어떻게 될 것으로 예상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3%로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이러한 노인들의 61%는 노후준비가 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더불어 부모의 노후생계에 대해 가족과 정부 ‧ 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견해는 증가하는 반면 가족이 돌보아야 한다는 견해는 큰 폭으로 감소하여 향후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이 크게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따라서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rooke, V. (1989). How elders adjust. Geriatric Nursing, 10 , 66-68. 

  2. Choi, E. J. (2008). Correlation among depression, self esteem, lif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3. Choi, H. E., Ahn, O. H., & Chung, Y. K. (2002). A study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paid Welfare facilities. The Chung-Ang Journal of Nursing, 6 (2), 75-81. 

  4. Degenholtz, H. B., Kane, R. A., Kane, R. L., Bershadsky, B., & Kling, K. C. (2006). Predicting nursing facility residents' quality of life using external indicators. Health Services Research, 41 , 335-356. 

  5. Degenholtz, H. B., Rosen, J., Castle, N., Mittal, V., & Liu, D. (2008). The association between changes in health status and nursing home resident quality of life. Gerontologist, 48 , 584-592. 

  6. Granger, C. V., Dewis, L. S., Peters, N. C., Sherwood, C. C., & Barrett, J. E. (1979). Stroke rehabilitation: Analysis of repeated Barthel index measur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60 (1), 14-17. 

  7. Ha, E. H., & Lee, Y. W. (2004). Difference i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perceived social support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6 (1), 47-54. 

  8. Halvorsrud, L., Kirkevold, M., Diseth, A., & Kalfoss, M. (2010). Quality of life model: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among sick older adults. Research and Theory for Nursing Practice, 24 , 241-259. 

  9. Kane, R. A. (2003). Definition, measurement, and correlates of quality of life in nursing homes: Toward a reasonable practice, research, and policy agenda. Gerontologist, 43 (2), 28-36. 

  10. Kang, H. S. (1984).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1. Kang, W. S., Moon, J. W., & Park, J. S. (2011). The relationship among abuse, self-esteem, ADL, psychosocial factor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29 , 153-183. 

  12. Ki,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 , 298- 307. 

  13. Kim, E. J., & Lee, C. S. (2006). A Study on relation between physical health and depression of the aged in nursing homes: Focusing on comparison with the aged residing in community. Korean Journal of Care Work, 2 (3), 16-27. 

  14. Kim, J. H., & Kim, K. B. (2008). Comparative study of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steem,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institutionalized elders and elders living hom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0 , 182-192. 

  15. Kim, K. W., & Kim, H. J. (2010). Yangsaeng and quality of life (WHOQOL-BREF) in adult and elderly Koreans practicing dan jeon breathing (DJB).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 , 231-239. 

  16. Kim, M., & Kweon, Y. R. (2010). Predictors of depression in residents of geriatric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9 (2), 212-219. 

  17. Kim, S. Y., Lee, K. Y., & Cho, K. S. (1999). A Study on the powerlessness, self-esteem, and family support of elderly home resi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1 , 436-448. 

  18. Kim, Y. K. (2008).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related to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ccommodated in welfare fac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9.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2010 social survey & 2010 the aged statistics. Retrieved December 15, 2010, from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 PO_ STTS_IdxMain.jsp?idx_cd2767 

  20. Lee, G. E. (2007). Scale development of free nursing homeadjustment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 736-743. 

  21. Lee, H. K., Lee, H. Y., & Lee, J. (2009). Predictors of facility adaptation in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 177-185. 

  22. Lee, J. (2008).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bservable indicators of nursing home care quality evaluation instru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 474-482. 

  23. Lee, S. M., & Lee, E. O. (2005). Nursing research. Seoul: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ress. 

  24. Min, S. K., Lee, C. I., Kim, K. I., Suh, S. Y., & Kim, D. K.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 , 571-579. 

  25. Park, G. J., Lee, J. H., Bae, K. E., Kang, Y. H., & Song, H. S. (2007).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elders in welf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9 , 51-59. 

  26. Park, S. J., & Kim, H. G. (2009).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nd the environmental factor of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 1361-1381. 

  27.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ston University Press. 

  28. Song, A. R., & So, H. Y. (2000). An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in the institutionalized older population. Chungnam Journal of Nursing Academy, 3 , 29-37. 

  29. Tu, Y. C., Wang, R. H., & Yeh, S. H. (2006).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mpowerment care an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residents within nursing homes in Taiwan: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3, 673-680. 

  30. Yang, J. B. (2010). A study on the major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stroke surviv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 , 1239- 12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