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황돔(Dentex tumifron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Yellowback Seabream, Dentex tumifrons, in the Coastal Waters of Busan,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4 no.1, 2012년, pp.35 - 40  

김하원 (환경생태공학연구원) ,  박주면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백근욱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허성회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산 연안해역에서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회 채집된 황돔($Dentex$ $tumifrons$) 317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황돔의 표준체장(SL)은 10.2~27.8 cm 범위였다. 황돔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새우류(Macrura)를 주로 섭식하는 육식성어종(carnivore)이었다. 새우류 다음으로 어류(Pisces)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그 다음으로 집게류(Anomura), 단각류(Amphipoda), 게류(Brachyura), 극피동물(Echinodermata), 두족류(Cephalopoda) 순으로 섭식하였다. 그 외, 갯지렁이류(Polychaeta), 갯가재류(Stomatopoda), 이매패류(Bivalivia), 패충류 (Ostracoda), 곤쟁이류 (Mysidacea) 등을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매우 적었다. 가장 작은 크기군인 10~13 cm의 크기군에서는 새우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13~16 cm 크기군에서는 새우류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집게류, 극피동물, 게류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새우류, 집게류, 극피동물, 게류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어류의 비율은 계속 증가하였다. 어류는 체장 25 cm 이상의 크기군에서는 위내용물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eding habits of yellowback seabream, $Dentex$ $tumifrons$, were studied using 317 specimens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Busan, from January to December, 2004. The size of the specimens ranged from 10.2 to 27.8 cm in standard length (SL). D. tumifrons had turned o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생태계 기반의 자원관리를 위해 식성연구를 통하여 피포식 관계를 명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직 조사가 미비한 황돔의 식성에 관해 상세히 조사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산 연안 해역에서 도미과에 속하는 황돔의 위 내용물을 분석한 결과는? 8 cm 범위였다. 황돔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새우류(Macrura)를 주로 섭식하는 육식성어종(carnivore)이었다. 새우류 다음으로 어류(Pisces)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그 다음으로 집게류(Anomura), 단각류(Amphipoda), 게류(Brachyura), 극피동물(Echinodermata), 두족류(Cephalopoda) 순으로 섭식하였다. 그 외, 갯지렁이류(Polychaeta), 갯가재류(Stomatopoda), 이매패류(Bivalivia), 패충류 (Ostracoda), 곤쟁이류 (Mysidacea) 등을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매우 적었다. 가장 작은 크기군인 10~13 cm의 크기군에서는 새우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황돔의 산란시기와 계절에 따라 나타나는 특징은 무엇인가? , 1986). 황돔의 산란장은 분포해역과 동일하고, 산란기는 6월과 11월로 연중 2회 산란하며 하계에는 수심이 얕은 해역으로, 동계에는 수심이 깊은 곳으로 계절회유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 1977; Yamada et al., 1986; 국립수산과학원, 2004).
황돔이란? 황돔 (Dentex tumifrons)은 농어목 (Perciformes) 도미과 (Sparidae)에 속하는 온대성어류로서, 우리나라 중∙남부해를 비롯하여 동중국해, 일본 중부 이남해역의 대륙붕 가장자리에 분포하는 저서정착성어류이다(Yamada et al., 198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국립수산과학원. 2004. 유용어류도감. 한글, 333pp. 

  2.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3. 김훈수. 1977. 한국 동식물도감 제19권 동물편 (새우류). 문교부, 414pp. 

  4. 김훈수.장청영. 1987. 낙동강 하구 일대의 연체동물과 갑각류의 종류상 및 분포상. 자연보존 연구보고서, 9: 31-58. 

  5. 백근욱.허성회.최희찬.박주면. 2011. 고리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꼬마달재 (Lepidotrigla guentheri)의 식성. 한국수산과학회지, 44: 372-377. 

  6.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728pp. 

  7. 허성회.곽석남. 1998.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유어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0: 168-175. 

  8. 허성회.김하원.백근욱. 2006. 부산 주변 해역에서 출현하는 참돔(Pagrus major)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18: 216-222. 

  9. 허성회.안용락. 1999. 고리 주변 해역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2: 784-790. 

  10. 홍성윤.오철웅. 1989.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자주새우 (Crangon affinis)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22: 351-362. 

  11. Derbal, F., S. Nouacer and M.H. Kara. 2007. Composition et variations du regime alimentaire du sparillon Diplodus annularis (Sparidae) du golfe d'Annaba (est de l'Algerie). Cybium, 31: 443-450. 

  12. Fehri-bedoui, R., E. Mokrani and O.K.B. Hassine. 2009. Feeding habits of Pagellus acarne (Sparidae) in the Gulf of Tunis, central Mediterranean. Sci. Mar., 73: 667-678. 

  13. Oki, D. and O. Tabeta. 1998. Age, growth and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the yellow sea bream Dentex tumifrons in the East China Sea. Fish. Sci., 64: 191-197. 

  14. Osman, A.M. and H.H. Mahmoud. 2009. Feeding biology of Diplodus sargus and Diplodus vulgaris (Teleostei, Sparidae) in Egyptian Mediterranean Waters. World J. Fish Mar. Sci., 1: 290-296. 

  15. Pallaoro, A., M. Santic and I. Jardas. 2003. Feeding habits of the saddled bream, Oblada melanura (Sparidae), in the Adriatic Sea. Cybium, 27: 261-268. 

  16. Pinkas, L., M.S. Oliphant and I.L.K. lverson.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17. Schoener, T.W. 1970. Nonsynchronous spatial overlap of lizards in patchy habitats. Ecology, 51: 408-418. 

  18. Tominaga, O., M. Inoue, M. Kamata and T. Seikai. 2005. Reproductive cycle of yellow sea bream Dentex tumifrons in Wakasa Bay, the Sea of Japan off central Honshu. Fish. Sci., 71: 1069-1077 

  19. Wallace, R.K. 1981. An assesment of diet-overlap indexes. Trans Am. Fish. Soc., 110: 72-76. 

  20. Yamada, U., M. Tagawa, S. Kishida and K. Honjo. 1986. Fishes of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Seikai Reg. Fish. Res. Lab., pp. 232-2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