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 능력과 동적균형 및 보행과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Trunk Control Ability, Dynamic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會誌 =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v.33 no.1, 2012년, pp.148 - 159  

정은정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종수 (경희대학교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김성식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병희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among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 Timed "Up and Go" Test (TUG) and gait (velocity, cadence, step-length, stride-length and single-limb support). Methods: The 70 subjects were assessed on trunk control measured with the use of th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체간조절 능력이 동적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체간조절 능력은 PASS를 사용하였고, 항목별로 자세유지(PASS-M, 15점 만점), 자세변환 (PASS-C, 21점 만점), 체간능력 조절(PASS-C, 15점 만점), PASS 총점(36점 만점)으로 구분하여 알아보 았다.
  • 본 연구는 체간조절 능력을 알아보는 PASS와 보행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GAITRite 를 이용하여 시간적 보행특성을 알아보는 보행속도 (velocity), 분속수(cadence)와 공간적 보행 특성을 알아보는 마비측의 보장(step length), 활보장(stride length), 단하지 지지율(single-limb support)을 측정하여 체간조절과 보행변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보행속도는 PASS 총점(r = .
  • 본 연구는 체간조절 능력이 동적균형과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3개의 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인하여 편마비 진단을 받고 입원 재활치료중인 7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하지만 PASS를 이용하여 균형능력과 보행능력을 연구한 논문은 많았지만,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된 단순한 보행 시간이나 속도만이 아닌 분속수, 마비측의 보장, 활보장, 단하지 지지율 등의 다양한 보행변수들을 측정하여 각 보행변수와 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체간조절과 균형능력을 측정하는 PASS를 사용하여 동적균형 능력과 뇌졸중 환자 재활의 최종 목표인 보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체간조절 능력을 알아보는 PASS와 동적 균형능력을 알아보는 TUG를 이용하여 체간조절과 동적균형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TUG는 PASS 총점(r =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국소적 또는 전반적인 뇌기능 소실로서 24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그 전에 사망에 이르는 급 성 임상 양상으로1), 현재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수 25.838명으로 악성신생물(암)에 이어 두 번째로 사망률이 높다2).
뇌졸중의 장애 양상은 어떠한 문제를 보이는가? 뇌졸중의 장애 양상은 손상된 부위와 정도에 따 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사지의 편마비, 감각 손상, 인지 장애, 운동 손상, 언어 장애, 시지각 장애, 연하 장애 등의 문제를 보인다3,4). 뇌졸중 발병 후 환자의 40%는 기능적 손상이 남게 되고, 15∼30%는 심각 한 정도의 장애가 지속 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Ryrson S, Levit K. Functional movement reeduction. NewYork: Churchill Livingstone. 1997. 

  2.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09. 

  3. Mercier L, Audet T, Hebert R, Rochette A, & Dubois MF. Impact of motor, cognitive, and perceptual disorders on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stroke. Stroke. 2001;32(11):2602-2608. 

  4. Ozdemir F, Birtane M, Tabatabaei R, Ekuklu G, & Kokino S. Cognitive evaluation and functional outcome after stroke. Am J Phys Med Rehabili. 2001;80(6):410-415. 

  5. Duncan P, Horner R, Reker D, Samsa G, Hoenig H, & Hamilton B. et al. Adherence to postacute rehabilitation guidelines is associated with functional recovery in stroke. Stroke. 2002;33(1):167-177. 

  6. Ikai T, Kamikubo T, & Takenhara I. Dynamic Postural Control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Am J Phys Med Rehabil. 2003;82(6):463-9. 

  7. Campbell FM, Ashburn AM, Pickering RM, & Burnett M. Head and pelvic movements during a dynamic reaching task in sitting: implications for physical therapists.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2):1655-1660. 

  8. Tyson SF, Hanley M, Chillala J, Selley A, & Tallis RC. Balance disability after stroke. Phys Ther. 2006;86(1):30-38. 

  9. Ragnarsdottir M. The concept of balance. Physiotherapy. 1996;82(6)368-375. 

  10. Dietz V. Human neuronal control of automatic functional movement: Interaction between central programmes and afferent input. Physiological Reviews. 1992;72(1): 33-69. 

  11. Johansson R, & Maqnuson M. Human postural dynamics. Critical Reviews in Biomedical Engineering. 1991;18(6):413-437. 

  12. Dean CM, & Shepherd RB.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1997;28(4):722-728. 

  13. Davies PM. Right in the Middle: Selective trunk activity in the treatment of adult hemiplegia. Springer Verlag, Berlin. 1990. 

  14. Bobath B. Adult Hemiplegia: Evaluation and treatment. Heinemann, London. 2nd ed. utterworth/heinemann;1990. 

  15. Davies PM. Steps to Follow. Springer Verlag, Berlin. 1985. 

  16. Ashbum A, & Lynch M. Disadvantages of the early use of wheelchairs in the treatment of hemiplegia. Clin Rehabil. 1998;2:327-331. 

  17. Van der LEE JH, Snels IAK, Beckerman H, Lankhorst GJ, Wagenaar RC, Bouter LM. Exercise therapy for arm function in strok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lin Rehabil. 2001;15:20-31. 

  18. Van Peppen RPS, Kwakkel G, Wood-Dauphinee S, Hendriks HJM, Van der Wees PhJ, Dekker J. The impact of physical theapy on fuctional outcomes after stroke: what's the evidence? Clin Rehabil. 2004;18:833-62. 

  19. Kwakkel G, Wagenaar RC, Kollen BJ, Lankhorst GJ. Predicting disability in stroke -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ge Ageing. 1996;25:479-89. 

  20. Hsieh CL, Sheu CF, Hsueh IP, Wang CH. Trunk control as an early predictor of comprehensi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Stroke. 2002;33:2626-30. 

  21. Partridge CJ, Johnston M & Edwards S. Recovery from disability after stroke: Normal patterns as a basis for evaluation. Lancet. February 14. 1987;373-375. 

  22. Verheyden G, Nieuwboer A, van de Winckel A, De Weerdt W. Clinical tools to measur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 Rehabil. 2007b;21(5):387-394. 

  23. Benaim C, Perennou DA, Villy J, Rousseaux M, Pelissier JY. Validation of a standardized assessment of postual control in stroke pa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1999;30(9):1862-8. 

  24. Saeys W, Vereeck L, Truijen S, Lafosse C, Wuyte FP, Van de Heyning P.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runcal Exercises Early After Stroke to Improve Balance and Mobility.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1;Aug 15. 

  25. Duarte E, Morales A, Pou M, Aquirrezabal A, Aquilar JJ, Escalada F. Trunk control test: early predictor of gait balance and capacity at 6 months of the stroke. Neurologia. 2009;24(5):297-303. 

  26. Di Monaco M, Trucco M, Di Monaco R, Tappero R, Cavanna A. The relationship beetween initial trunk control or postural balance and inpatient rehabilitation outcome after stroke: a prospective comparative study. Clin Rehabil. 2010;24(6):543-54. 

  27. An SH, Chung YJ, Park SY. The Effects of Trunk Control Ability on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2010;17(2):33-42. 

  28. Podsiadlo, D., &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29. McDonough, AL, Batavia M, Chen FC, Kwon S, & Ziai J.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GAIT Rite system's measurements: A preliminary evalua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1;82(3):419-425. 

  30. Van Uden CJ, & Besser MP. (2004). Test-retest reliability of temporal and spatial gait characteristics measured with an instrumented walkway system(GAIT Rite). BMC musculoskelet disord. 2004;17(5):13. 

  31. Davies PM. Right in the middle: selective trunk activity in the treatment of adult hemiplegia. 2nd ed. Berlin;New York: Springer-Verlag;1990. 

  32. Brosseau L. Philippe P, Potvin L, Boulanger YL. Post-stroke inpatient rehabilitation. I. Prediction length of stay. Am J Phys Med Rehabil. 1996;75:422-30. 

  33. Franchignoni FP, Tesio L, Ricupero C, Martino MT. Trunk control test as an early predictor of stroke rehabilitation outcome. Stroke. 1997;28:1382-5. 

  34. Mao HF, Hsueh IP, Tang PF, Sheu CF, Hsieh CL.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ree balance measures for stroke patients. Stroke. 2002;33:1002-7. 

  35. Duate E, Marco E, Muniesa JM, Belmonte R, Diaz P, Tejero M, et al. Trunk control test as a functional predictor in stroke patients. J Rehabil Med. 2002;34(6):267-72. 

  36. Bebte G. The Bobath Concept in Adult Neurology. Georg Thieme Verlag.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