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대사증후군과 녹내장 간의 상관관계 -2005, 2007-9, 2010국민건강영양조사 이용
Associations of Metabolic Syndrome with Glaucoma in Korean -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2007-9, 2010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7 no.2 = no.47, 2012년, pp.241 - 247  

박상신 () ,  김태훈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및 보건환경연구소) ,  박윤숙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및 보건환경연구소) ,  이상윤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해정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영양정책팀) ,  이은희 (극동대학교 안경광학과 및 보건과학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녹내장과 대사증후군, 그리고 구성요소간의 상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제 3기(2005), 4기(2007-9), 5기(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40세 이상 19,162 명을 대상으로 녹내장과 대사증후군, 그리고 구성요소(복부비만, 공복혈당장애, 높은 혈압, 이상지질혈증)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하여 인구학적, 생활방식 그리고 사회경제적 요인을 보정한 후 연관성을 평가하였으며, 녹내장의 위험과 대사약물복용간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성별 및 연령을 보정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공복혈당장애(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1.78 (1.25, 2.53)) 및 대사증후군(1.45 (1.01, 2.08))이 있는 연구대상자가 그렇지 않은 연구대상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녹내장 교차비를 보였고, 추가적으로 흡연, 음주, 규칙적 운동, 소득, 교육수준을 보정하였을 때 교차비는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공복혈당장애: 1.89 (1.29, 2.77), 대사증후군: 1.52 (1.03, 2.25)). 또한, 연구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이상 대사증후군 요소의 수에 따른 녹내장의 유병률 증가는 경계적 유의성(borderline significant: age and sex adjusted p for trend = 0.055)을 보였다. 고혈압 치료제의 사용 역시 녹내장의 위험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대사증후군 및 공복혈당장애는 녹내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고혈압 치료제 사용 역시 녹내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association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with glaucoma. Methods: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abdominal obesity, impaired fasting glucose, high blood pressure, and dyslipidemia) with glaucoma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NCEP-AIP UI에서 제안한 대사증후군의 기준에 따르면, 저 HDL-콜레스테롤, 고 중성지방혈증, 높은혈압, 공복혈당장애를 진단하기 위해서 관련 치료제를 이용하는 것까지 고려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관련 치료제가 녹내장의 유병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관련 치료제의 이용은 대사증후군 수준이 아닌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 고혈압의 단계에 접어들어야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질환에 따른 치료제 사용과 녹내장과의 관계에 대한 추가분석을 수행하였다.
  • 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관련 치료제의 이용은 대사증후군 수준이 아닌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 고혈압의 단계에 접어들어야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질환에 따른 치료제 사용과 녹내장과의 관계에 대한 추가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상지질혈증 및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연구대상자들이 약제를 사용하는 경우 녹내장에 대한 교차비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지 않았으나, 고혈압에 대해서 약제를 사용하는 연구대상자들의 교차비는 그렇지 않은 연구대상자들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본 연구가 이용한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가 대한민국의 표본인구에 대한 전국적인 조사라는 점은 이 연구의 강점이다. 무엇보다도, 최근 들어 중요한 만성질환으로 인식하고 있는 대사증후군 및 그 구성요소와 녹내장과의 관계에 대해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NCEP-ATP III의 진단기준을 이용한 최초의 연구라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대사증후군 및 그 구성요소와 녹내장 유병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onomi L, Marchini G, Marraffa M, Bernardi P, De Franco I, Perfetti S, Varotto A. Tenna V. Prevalence of glaucoma and intraocular pressure distribution in a defined population. The Egna-Neumarkt Study. Ophthalmology. 1998;105(2):209-215. 

  2. Levene RZ. Low tension glaucoma: a critical review and new material. Surv Ophthalmol. 1980;24(6):621-664. 

  3. Resnikoff S, Pascolini D, Etya'ale D, Kocur I, Pararajasegaram R, Pokharel GP, Mariotti SP. Global data on visual impairment in the year 2002. Bull WHO. 2004;82(11):844-851. 

  4. Quigley HA, Broman AT. The number of people with glaucoma worldwide in 2010 and 2020. Br J Ophthalmol. 2006;90(3):262-267. 

  5. Zang EA, Wynder EL.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relative frequencies of diseases in a sample of hospitalized patients. Nutr Cancer. 1994;21(3):247-261. 

  6. Newman-Casey PA, Talwar N, Nan B, Musch DC, Stein J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and open-angle glaucoma. Ophthalmology. 2011;118(7):1318-1326. 

  7. Kahn HA, Milton RC. Alternative definitions of openangle glaucoma. Effect on prevalence and associations in the Framingham eye study. Arch Ophthalmol. 1980;98(12):2172-2177. 

  8. Klein BE, Klein R, Jensen SC. Open-angle glaucoma and older-onset diabetes. The Beaver Dam Eye Study. Ophthalmology. 1994;101(7):1173-1177. 

  9. Mitchell P, Smith W, Chey T, Healey PR. Open-angle glaucoma and diabetes: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Australia. Ophthalmology. 1997;104(4):712-718. 

  10. Chopra V, Varma R, Francis BA, Wu J, Torres M, Azen SP.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the risk of open-angle glaucoma the Los Angeles Latino Eye Study. Ophthalmology. 2008;115(2):227-232. 

  11. Pasquale LR, Kang JH, Manson JE, Willett WC, Rosner BA, Hankinson SE. Prospective study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risk of primary open-angle glaucoma in women. Ophthalmology. 2006;113(7):1081-1086. 

  12. Bonovas S, Peponis V, Filioussi K, Diabetes mellitus as a risk factor for primary open-angle glaucoma: a meta-analysis. Diabet Med. 2004;21(6):609-614. 

  13. Meigs JB. Definitions and mechanisms of the metabolic syndrome. Current Opinion in Endocrinology Diabetes and Obesity. 2006;13(2):103. 

  14. Foreyt JP. Need for lifestyle intervention: how to begin. Am. J. Cardiol. 2005;96(4A):11E-14E. 

  15. Tan GS, Wong TY, Fong CW, Aung T. Diabetes, metabolic abnormalities, and glaucoma. Arch Ophthalmol. 2009;127(10):1354-1361. 

  16. Alberti KG, Eckel RH, Grundy SM, Zimmet PZ, Cleeman JI, Donato KA. Fruchart JC, James WP, Loria CM, Smith SC Jr. Harmonizing the metabolic syndrome: a joint interim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Task Force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merican Heart Association; World Heart Federation; International Atherosclerosis Society;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Circulation. 2009;120(16):1640-1645. 

  17. Oh K, Lee J, Lee B, Kweon S, Lee Y, Kim Y. Plan and Operation of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Korean J Epidemiol. 2007;29(2):139-145. 

  18. Lee SY, Park HS, Kim DJ, Han JH, Kim SM, Cho GJ, Kim DY, Kwon HS, Kim SR, Lee CB, Oh SJ, Park CY, Yoo HJ. Appropriate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central obesity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 Clin Pract. 2007;75(1):72-80. 

  19. Oh SW, Lee S, Park C, Kim DJ. 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i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and metabolic syndrome. Diabetes Metab Res Rev. 2005;21(5):434-440. 

  20. Park SS, Lee EH, Jargal G, Paek D, Cho SI. The distribution of intraocular pressure and its association with metabolic syndrome in a community. J Prev Med Public Health. 2010;43(2):125-130. 

  21. Imai K, Hamaguchi M, Mori K, Takeda N, Fukui M, Kato T, Kawahito Y, Kinoshita S, Kojima T. Metabolic syndrome as a risk factor for high-ocular tension. Int J Obes (Lond). 2010;34(7):1209-1217. 

  22. Kim JH, Kang SY, Kim NR, Lee ES, Hong S, Seong GJ, Hong YJ, Kim CY.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glaucoma among Korean adults. Korean J Ophthalmol. 2011;25(2):110-115. 

  23. Leske MC, Connell AM, Wu SY, Hyman LG, Schachat AP. Risk factors for open-angle glaucoma. The Barbados Eye Study. Arch Ophthalmol. 1995;113(7):918-924. 

  24. Wormald RP, Basauri E, Wright LA, Evans JR. The African Caribbean Eye Survey: risk factors for glaucoma in a sample of African Caribbean people living in London. Eye (Lond). 1994;8(Pt 3):315-320. 

  25. Szaflik JP, Rusin P, Zaleska-Zmijewska A, Kowalski M, Majsterek I, Szaflik J. Reactive oxygen species promote localized DNA damage in glaucoma-iris tissues of elderly patients vulnerable to diabetic injury. Mutat Res. 2010; 697(1-2):19-23. 

  26. De Castro DK, Punjabi OS, Bostrom AG, Stamper RL, Lietman TM, Ray K, Lin SC. Effect of statin drugs and aspirin on progression in open-angle glaucoma suspects using confocal scanning laser ophthalmoscopy. Clin Experiment Ophthalmol. 2007;35(6):506-513. 

  27. McGwin G, Jr McNeal S, Owsley C, Girkin C, Epstein D, Lee PP. Statins and other cholesterol-lowering medications and the presence of glaucoma. Arch Ophthalmol. 2004;122(6):822-826. 

  28. Hennis A, Wu SY, Nemesure B, Leske MC. Hypertension, diabetes, and longitudinal changes in intraocular pressure. Ophthalmology. 2003;110(5):908-914. 

  29. Mapstone R, Clark CV. Prevalence of diabetes in glaucoma. Br Med J (Clin Res Ed). 1985;291(6488):93-95. 

  30. Wu SY, Leske MC. Associations with intraocular pressure in the Barbados Eye Study. Arch Ophthalmol. 1997;115(12):1572-1576. 

  31. Owen CG, Carey IM, Shah S, de Wilde S, Wormald R, Whincup PH, Cook DG Hypotensive medication, statins, and the risk of glaucom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0;51(7):3524-3530. 

  3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Korea Health Statistics 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2).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