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 함유 채소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Six Vegetables Containing Different Sulfur Compoun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5, 2012년, pp.577 - 583  

김경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혜정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변명우 (우송대학교 외식조리영양학부) ,  육홍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황 함유 채소류 중 사용범위가 넓은 마늘, 무, 부추, 생강, 양파, 파를 80% 에탄올에 추출하여 항산화 및 항균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추출 수율은 2.33~10.12%를 나타내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생강이 $233.63{\pm}4.59$, 부추가 $220.98{\pm}10.56$ mg/g GAE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양파, 파, 마늘, 무 순으로 $69.07{\pm}1.42$, $68.83{\pm}2.11$, $19.41{\pm}0.40$, $19.05{\pm}03.32$ mg/g GAE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생강의 $IC_{50}$ 값이 $1.57{\pm}0.15$ mg/mL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부추>양파>무>파>마늘의 순이었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FRAP value의 측정 결과 역시 생강 및 부추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의 경우 파>양파>마늘>무, FRAP value의 경우 파>양파>무>마늘의 순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전체적으로 생강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 측정결과, 부추의 경우 실험에 사용된 7가지 균주에 대해 모두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늘의 경우(5 mg/disc), $B.$ $cereus$(22.3 mm) 및 $E.$ $coli$(24.3 mm)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양파와 파는 10 mg/disc 농도에서 $E.$ $coli$(12.7 및 10.3 mm)와 $B.$ $cereus$(12.0 및 12.5 mm) 균주에 대해서만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L.$ $plantarum$ 균주(10 mg/disc)에 대해서는 마늘(18.0 mm)과 부추(10.4 mm)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다양한 한국음식에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황 함유채소류 중 생강 및 부추는 항산화 활성이, 부추 및 마늘은 항균력이 높아 특히 부추의 경우 식품 첨가물 및 식품 보존제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 $vitro$ of an 80% ethanol extract from garlic, daikon, leek, ginger, onion, and green onion, which are widely-used ingredients in Korean food that contain sulfu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 함유 채소류 중 사용범위가 넓은 마늘, 무, 부추, 생강, 양파, 파의 항산화활성과 식중독의 원인균으로 밝혀진 균주를 바탕으로 선정된 균주들에 대한 항균활성을 평가 및 분석하여 6가지 황 함유 채소들이 식중독 원인균과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황 함유 채소류 중 사용범위가 넓은 마늘, 무, 부추, 생강, 양파, 파를 80% 에탄올에 추출하여 항산화 및 항균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추출 수율은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uperoxide anion radical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최근 우리사회는 활성산소가 각종 성인병과 노화의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주목하고 있다. 특히 노화와 관련 되어 생체 대사과정 중 생성되는 superoxide anion radical의경우 전자 환원으로 반응성과 파괴성이 매우 크며 세포와 조직에 해로운 독성을 일으켜 질병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활성산소는 세포가 세포소기관에 손상을 초래하기도 하며 생채 내 여러 단백질의 아미노산을 산화시켜 단백질의 기능 저하를 초래한다(2,3).
활성산소가 DNA에 손상을 주며 일으키는 문제는 무엇인가? 활성산소는 세포가 세포소기관에 손상을 초래하기도 하며 생채 내 여러 단백질의 아미노산을 산화시켜 단백질의 기능 저하를 초래한다(2,3). 또한 DNA에도 손상을 주는데 핵산 염기의 변형, 핵산 염기의 유리, 결합의 절단, 당의 산화분해 등을 초래하여 돌연변이나 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우리 몸에서 발생하는 질환 중에 90%가 활성산소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중에 대표적인 것으로암, 동맥경화, 당뇨병, 뇌졸중, 심근경색, 간염, 신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파킨스병 등이 있다(4-7).
우리 몸에서 발생하는 질환 중에 90%가 활성산소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대표적인 것들은 무엇이 있는가? 또한 DNA에도 손상을 주는데 핵산 염기의 변형, 핵산 염기의 유리, 결합의 절단, 당의 산화분해 등을 초래하여 돌연변이나 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우리 몸에서 발생하는 질환 중에 90%가 활성산소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중에 대표적인 것으로암, 동맥경화, 당뇨병, 뇌졸중, 심근경색, 간염, 신장염, 아토피성 피부염, 파킨스병 등이 있다(4-7). 따라서 항산화 물질을 함유한 천연 자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고, 항산화 효과가 높으면서 안전하고 경제적인 식물기원의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Halliwell B, Gutteridge JMC. 1989. 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Oxford University, NY, USA. p 398-401. 

  2. Farinati F, Cardin R, Degan P, Rugge M, Mario FD, Bonvicini P, Naccarato R. 1998. Oxidative DNA damage accumulation in gastric carcinogenesis. Gut 42: 351-356. 

  3. Cooked MS, Mistry N, Wood C, Hebert KE, Lunce J. 1997. Immunogenicity of DNA damaged by ROS-implications for anti-DNA antibodies in lupus. Free Radic Biol Med 22: 151-159. 

  4. Darely-Usmer V, Halliwell B. 1996. Blood radicals; reactive nitrogen species, reactive oxygen species, transition metal ions and the vascular system. Pharm Res 13: 649-662. 

  5. Parthasarathy S, Steinberg D, Witztum JL. 1992. The role of oxidezed LDL in the pathogenesis of antherosclerosis. Ann Rev Med 43: 219-225. 

  6. Laurindo FR, Da Luz PL, Uint L, Rocha TF, Jaeger RG, Lopes EA. 1991. Evidence for superoxide radical dependent coronary artery vasospasm after antigioplasry in intact dogs. Circulation 83: 1705-1715. 

  7. Nakazono K, Watanabe N, Matsuno K, Sasaki J, Sato T, Inoue M. 1991. Does superoxide underlie the pathogenesis of hypertension? Proc Natl Acad Sci USA 88: 10045-10048. 

  8. Jeong SJ, Lee H, Song NH, Lee SE, Baeg I. 2004. Natural products chemistry: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8-33. 

  9. Yasmine M. 1997. Global estimation of foodborne disease. World Health Statistics Quarterly 50: 5-11. 

  10. Kwun JW, Lee CH. 2007. Trends of recent food-borne disease outbreak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50: 573-581. 

  11. Lee KS, Lee JC, Na SL, Jung HY, Lim KT. 1999. Effects on mammalian tissues and cells by sulfur containing compounds. J Toxicol Pub Health 15: 79-87. 

  12. Gillissen S, Nowak D. 1998. Characterization of N-acetylcysteine and ambroxol anti-oxidant therapy. Respir Med 92: 609-614. 

  13. Sainani G, Desai D, Katrodia K, Valame V, Sainani P. 1979. Onion, garlic and experimental atherosclerosis. Jpn Heart J 20: 351-357. 

  14. Bordia A. 1978. Effect of garlic on human platelet aggregation in vitro. Atherosclerosis 30: 355-360. 

  15. Subrahmanyan V, Sreenivasamurthy V, Krishnamurthy K, Swaminathan M. 1958. The effect of garlic on certain intestinal bacteria. Food Sci 7: 223-230. 

  16. Qiao L, Shiff SJ, Rigas B. 1997. Sulindac sulfide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colon cancer cell: diminished expression of the proliferation markers PCVA and KI-67. Cancer Lett 115: 229-234. 

  17. Fukushima S, Takada N, Hori T, Wamibuchi H. 1997. Cancer preventation by organosulfur compounds from garlic and onion. J Cell Biochem Suppl 27: 100-106. 

  18.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8-1200. 

  20. Pellegrin N, Roberta R, Min Y, Catherine RE.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thylenbenzothiazoline- 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 379-389. 

  21.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22. Chang JH. 2006.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various natural herb extract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 17. 

  23. Bang CS. 2007.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s from leafy vegetables.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Korea. p 24. 

  24. Lee SH, Hwang IG, Lee YR, Joung EM, Jeong HS, Lee HB.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ted radish (Raphanus sativus 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490-495. 

  25. Yang J, Meyers JK, Heide JV, Liu RH. 2004. Varietal differences in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onions. J Agric Food Chem 52: 6787-6793. 

  26. Bae JS, Kim TH. 2011.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Zingiber officinale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8: 390-396. 

  27. Lee JH. 1993. Studies on the content of phenolic substances on plant foods and their physiological effects in vitro.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 51-53. 

  28. Kang DY, Shin MO, Shon JH, Bae SJ. 2009.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elastrus orbiculatus. J Life Sci 19: 52-57. 

  29. Lim SJ. 2002.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utagenic effect of 15 vegetables. M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 p 48. 

  30.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31. Meller NJ, Rice-Evans C, Davies MJ, Gopinathan V, Milner A. 1993. A novel method for measuring antioxidant capacity and its application to monitoring the antioxidant status in premature neonates. Clin Sci 84: 407-412. 

  32. Moon GS, Ryu BM, Lee MJ. 2003.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uchu (Chinese chives) harvested at different ti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93-498. 

  33. Sachez-Gonazaez I, Jimenez-Escrig A, Saura-Calixto F. 2005.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coffees brewed using different procedures (Italian, espresso and filter). Food Chem 90: 133-139. 

  34. Ahn MS, Kim HJ, Seo MS. 2005.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three species of leeks (Allium tuberosub R.) ethanol extracts. Korean J Food Culture 20: 186-193. 

  35. Kim SJ, Park KH. 1995.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vegetable kimchi stuff.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16-220. 

  36. Lee EH, Jang KI, Bae IY, Lee H. 2011. Antibacterial effects of leek and garlic juice and powder in a mixed strains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518-523. 

  37. Hong JH, Lee MH, Kang MC, Hur SH. 2000.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Korean leek (Allium tuberosum). J Fd Hyg Safety 15: 235-240. 

  38. Son JY. 2010.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p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648-654. 

  39. Sohn HY, Kum EJ, Ryu HY, Jeon SJ, Kim NS, Son KH. 2006. Antifungal activity of fistulosides, steroidal saponins from Allium fistulosum L. J Life Sci 16: 310-314. 

  40. Jung MS, Lee GS, Chae HJ. 2004.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assay of ethanol extract of radish.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67-71. 

  41. Park KS, Kyung KH. 1992. Growth stim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by a radish compon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528-5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