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파껍질로부터 Flavonoid 물질의 추출조건 최적화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of Flavonoids from Onion Peels vi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5, 2012년, pp.695 - 699  

전선영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백정화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은정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차용준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양파가공부산물인 양파껍질로부터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유효성분인 flavonoid 물질의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양파껍질의 일반성분은 수분 4.68%, 회분 6.67%, 조단백질 및 조지방이 5.03%, 0.71%이었고, 무기질은 Ca이 20.07 g/kg으로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고 K이 5.54 g/kg, Mg 2.17 g/kg의 순으로 함량이 많았다. 중심합성계획법에 의한 flavonoid 물질의 최적 추출조건은 다중회귀분석 및 능선분석 결과, 결정계수는 0.772이었으며, 적합결여검증(p>0.05)에서는 0.278, 전체적인 모형에서 유의성(p<0.05)을 보여 반응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최대점을 만족하는 각 변수의 조건은 추출용매의 농도는 70%, 추출온도 $40^{\circ}C$, 추출용매의 pH 5.3, 원료에 대한 추출용매의 비율은 1:63(w/v)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et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 of flavonoids from onion peels as a by-product generated from the onion industry without suitable processing. Four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extraction conditions, which are solvent concentration ($X_1$), ext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파가공부산물인 양파껍질로부터 기능성식품 소재를 개발하고자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해 유효성분인 flavonoid 물질의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고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양파가공부산물인 양파껍질로부터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유효성분인 flavonoid 물질의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색을 가진 마른 껍질인 양파의 특징은 무엇인가? 5%에 달하는 quercetin이 있다(5,6). 또한 흰색보다는 색을 가진 마른 껍질이 특별히 flavonoid 함량이 높아 2.5~6.5%의 quercetin을 포함한다고 보고되고 있다(7). Bang과 Cho(8)는 양파껍질과 육질의 에탄올 추출구가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양파 에탄올 추출구가 혈장과 간의 총 지방,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의 농도 저하에 있어서 그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9).
양파는 어떤 식품인가? 양파(Allium cepa L.)는 quercetin, quercitrin, rutin 등의 flavonoid 물질이 풍부한 대표적인 식품이다(1). Flavonoid는 과일, 야채, 견과류를 비롯한 식물의 줄기, 뿌리, 껍질에 분포하는 색소성분의 하나로서 diphenylprogane(C6-C3-C6)을 기본골격으로 한 phenol계 화합물의 총칭으로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2).
flavonoid는 어떤 형태로 존재하고 있는가? Flavonoid는 과일, 야채, 견과류를 비롯한 식물의 줄기, 뿌리, 껍질에 분포하는 색소성분의 하나로서 diphenylprogane(C6-C3-C6)을 기본골격으로 한 phenol계 화합물의 총칭으로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2). 이러한 flavonoid는 유리상태로 존재하나 대개의 경우 당류와 결합한 배당체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으며, 이 배당체를 형성하고 있는 당류는 산, 알칼리, 효소 등에 의해서 쉽게 가수분해 되며, 배당체의 경우 보다 유리 상태가 생리활성능력이 더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ugusti KT. 1996. Therapeutic values onions (Allium cepa L.) and garlic (Allium sativum L). Indian J Exp Biol 34: 634-640. 

  2. Manach C, Scalbert A, Morand C, Remesy C, Jimenez L. 2004. Polyphenols: food sources and bioavilability. Am J Clin Nutr 79: 727-747. 

  3. Bilyk AD, Sapers GM. 1985. Distribution of quercetin and kaemferol in lettuce, kale, chive, garlic chive, leek, horseradish, red radish and red cabbage tissues. J Agric Food Chem 33: 226. 

  4. Kumamoto H, Matsubara Y, Iizuka Y, Okamoto K. 1985. Structure and hypotensive effect of flavonoid glycosides in Kinkan (Fortunella japonica) peelings. Agric Biol Chem 49: 2613-2618. 

  5. Leighton T, Ginther C, Fluss L, Harter WK, Cansado J, Nortario V. 1992.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quercetin and quercetin glycosides in allium vegetables. In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ACS, Washington, DC, USA. p 220. 

  6. Hermann K. 1976. Flavonoids and flavones in food plants: a review. J Food Tech 11: 433-488. 

  7. Bilyk AD, Cooper PL, Sapers GM. 1984. Varietal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quercetin and kaempferol in onion (Allium cepa L.) tissue. J Agric Food Chem 32: 274-276. 

  8. Bang HA, Cho JS. 1998. Antioxidant effects on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onion peel and onion flesh. J Korean Diet Assoc 4: 14-19. 

  9. Bravo L, Abia R, Eastwood MA, Saura-calixto F. 1994. Degradation of polyphenols (catechin and tannic acid) in the rat intestinal tract. Effect on colonic fermantation and fecal output. Br J Nutr 71: 933-946. 

  10. Kwak HJ, Kwon YJ, Jeong PH, Kwon JH, Kim HK. 2000.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onion (Allium cep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49-355. 

  11. Ra KS, Bae SH, Son HS, Chung SH, Suh HJ. 1998. Inhibition of xanthin oxidase by flavonols from onion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693-697. 

  12. Jang HS. 2009. Quality stability of concentrated onion extracts having biological activity during storage. M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Korea. p 4. 

  13.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69-74. 

  14. KFDA. 2009. Korea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676-683. 

  15. Gontard N, Guilbert S, Cuq JL. 1992. Edible whet gluten film in influence of the main process variables on film properti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Food Sci 57: 190-196. 

  16. Lee GD, Lee JE, Kwon JH. 2000. Applicatio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 food industry. Food and Industry 33: 33-45. 

  17. SAS Institute, Inc. 1990.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18. KFDA. 2008. Health functional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Vol III, p 3.6.3-1,2. 

  19. Jeong CH, Kim JH, Shim KH. 2006. Chemical components of yellow and red on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08-712. 

  20. Lim TS, Do JR, Kwon OJ, Kim HK. 2007. Monitoring on extraction yield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onion (Allium cepa) extracts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05-110. 

  21. Park NY, Kwon JH, Kim HK. 1998.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morifoliu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189-1196. 

  22. Kim HK, Kim MO, Choi MG, Kim KH. 2003. Optimization of microwave extraction conditions for Flammulina velutipe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22-228. 

  23. Woo KS, Lee SH, Noh JW, Hwang IG, Lee YR, Park HJ, Lee JS, Kang TS, Jeong HS. 2009.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dried jujub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24-251. 

  24. Seong NK. 1991. SAT/STAT-Regression analysis. 3rd ed. Free Academy, Seoul, Korea. p 214-2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