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 불안과 성격 유형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Library Anxiety and Personality Trait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6 no.2, 2012년, pp.199 - 217  

오의경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서관 불안과 성격 유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49명의 대학 1학년생을 대상으로 도서관 불안(LAS)과 성격 유형(한국형 BFI)을 조사, 측정하였다. 도서관 불안은 2.57점이었고, 하위 영역별로는 기계적인 장벽, 정서적 장벽, 직원으로 인한 장벽, 도서관 지식에 대한 장벽, 도서관 안락함의 순으로 도서관 불안이 높았다. 성격 유형은 친화성이 3.65점으로 가장 높은 경향을 가지고 있었고, 다음으로 신경증, 외향성, 성실성, 개방성의 순서였다. 도서관 불안과 성격 유형의 상관관계 조사 결과, 신경증 성향이 높을수록 도서관 불안 수준도 높고, 특히, 도서관의 안락함 영역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성향이 도서관 불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연구에서는 다른 개인성향 변인을 사용한 연구, 개인 맞춤형 도서관 불안 해소 프로그램 개발 연구, 도서관 불안의 측면 보다는 정보 불안의 측면에서 측정도구 개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ibrary anxiety and personality traits. The library anxiety (LAS) and personality traits (the Korean BFI) were measured against 49 freshmen in the university. The library anxiety was average 2.57, 'mechanical barriers' score was the highest(2.91), sub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전 선행 연구에 비하여, 사용된 표본의 수가 비교적 작고 표본들의 동질성, 대표성 수준 또한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본 연구의 주요 측정 변인 중 하나인 성격유형은 이론적 배경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개인의 외적인 조건과 문화에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드러나는 특성들이므로, 표본의 수나 표본의 대표성과 동질성 등이 연구 결과를 왜곡시키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도서관 이용빈도, 도서관 이용교육 경험, 성별 등에 대한 조사는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성격 유형과 도서관 불안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불안 측정 결과와 관련하여 이전의 관련 연구와 측정치를 비교하고자 한다. 비교의 목적은 유사한 척도를 사용한 연구의 불안 점수들이 시간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밝히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과정은 도서관 불안이라는 요소가 저절로 해소될 수 있는 심리 경향인지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기도 하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심리학 분야에서 정의한 인간 행동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비교적 일관성 있는 반응 경향성인 ‘성격유형’에 따라 개인이 도서관 불안을 느끼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성격 유형과 도서관 불안은 어떤 의미 있는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여, 도서관 불안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데이터들을 도출해 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가설 설정

  • 이에 최근 김지현, 김복환, 하문선(2011)은 BFI를 번역한 후, 동일성 평정, 요인분석 등을 통하여 축약된 한국어 BFI를 제작하였다.2) 이것은 임상적 사용이 아닌 연구용으로 타당화된 유용한 도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ellon이 6,000여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에서 밝혀진 도서관 불안의 원인은 무엇인가? 당시 Mellon은 대학도서관에서 이용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담당자로서 재직하면서, 학생들이 도서관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일종의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아냈으며, 이러한 느낌을 ‘도서관 불안’이라고 명하였다. Mellon(1986)의 연구는 질적인 방법으로 수행되었고, 무려 6,000여명의 학생이 그 연구 대상이 되었으며, 연구 대상의 대부분이(75~85%) 도서관 불안을 느끼고 있으며, 불안의 원인으로는 ‘도서관에 대한 지식 부족’, ‘그리고 지식 부족에 대한 상대적인 무능력’과 ‘열등감정’ 등으로 밝혀졌다. 이 후, 1992년 Bostick(1992)에 의하여 도서관 불안 측정 도구인 LAS(Library Anxiety Scale)가 제작되었고, 동시에 도서관 불안이 측정되었으며, 이후 현재까지 도서관 이용상 가장 중요한 현상들 중 하나로 꾸준히 연구되고 있는 문헌정보학 주제 영역이기도 하다.
Jiao 등에 의하여 수행된 도서관 불안에 관한 선행 연구는 무엇을 다루었고, 개인의 성향과 도서관 불안 간에 관계가 있음을 더욱 일반화시키기 위해 무엇을 분석해야 하는가? 즉, 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정한 성향과 처한 환경에 따라서 도서관 불안을 느끼는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실제로 증명함으로써, 개인별 맞춤형 도서관 불안 해소 방안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 연구들은 보편적인 개인의 성향이라기보다는 특정적인 환경에서의 개인의 특성과 도서관 불안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들로, 개인의 성향과 도서관 불안 간에 관계가 있음을 더욱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의 성향을 나타내는 가장 보편적인 요인과 도서관 불안 간의 관계를 분석해 볼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고에서 대학의 신입생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연구의 대상으로 대학의 신입생들로 선정하였다. 신입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본격적인 대학생활에 앞서 신입생들의 도서관 불안과 도서관 불안과 관련된 성격 요인을 분석하고, 관계의 특성들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대학 생활을 효율적으로 해 나갈 수 있는 유효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에 사용하는 측정 도구로는 이미 잘 알려진 도서관 불안 측정 도구 ‘LAS(Library Anxiety Scale)’와 성격 유형 분석 도구 ‘한국형 BFI(Big Five Inventory)’를 사용하였고,1) 각각 도서관 불안과 성격 유형을 측정 조사한 후, 두 변인들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성격 유형과 도서관 불안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권나현. 2005. 디지털 도서관에서의 도서관 불안과 측정도구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2): 29-47.(Kwon, Na-Hyun. 2005. "Library anxiety and library anxiety scale in the digital library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8(2): 29-47.) 

  2. 김은정. 2010. 지각된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 우울증상과의 관계: 역기능적 도식과 회피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임상, 29(2): 407-425.(Kim, Eun-Jung.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behaviors and adolescent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9(2): 407-425.) 

  3. 김주환, 김은주, 홍세희. 2006. 한국 남녀 중학생 집단에서 자기결정성이 학업성취도에 주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0(1): 243-264.(Kim, Joo-Han, Kim, Eun-Joo, & Hong, Se-Hee. 2006.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1): 243-264.) 

  4. 김지현, 김복환, 하문선. 2011. 간편형 한국어 BFI(Big Five Inventory) 타당화 연구. 인간이해, 32(1): 47-65.(Kim, Ji-Hyeon, Kim, Bok-Hwan, & Ha, Moon Sun. 2011.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Big Five Inventory." Understanding People, 32(1): 47-65.) 

  5. 남태우, 황옥경. 2005. 도서관 불안 이론의 고찰. 한국정보관리학회지, 22(3): 71-84.(Nam, Tae-Woo, & Hwang, Ok-Gyung. 2005. "A study on the library anxiety."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22(3): 71-84.) 

  6. 남태우, 박현영. 2006.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도서관 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1): 151-168.(Nam, Tae-Woo, & Park, Hyun-Young. 2006. "A study on library anxiety of domestic undergraduate students."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1): 151-168.) 

  7. 박도순, 하대현, 성태제. 2000. 5요인 인성검사 요강(고등학교용). 서울: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Park, Do-Soon, Ha, Dae-Hyun, & Seong, Tae-Je. 2000. 5 Yoin Inseonggumsa Yogang (Godeunghakkyoyong). Seoul: Korean Association of Private Secondary School Principals.) 

  8. 박주범, 정동열. 2010. 디지털도서관 불안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4): 353-371.(Park, Joo-Bum, & Jeong, Dong-Youl.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brary anxiety sca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4): 353-371.) 

  9. 안창류, 채준호. 1997. NEO-PI-R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9(1): 443-473.(Ahn, Chang-Gyu, & Chae, Joon-Ho. 1997.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9(1): 443-473.) 

  10. 오의경. 2011. 정보활용능력 인지 수준과 도서관 불안 간의 관계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4): 123-137.(Oh, Eui-Kyung. 2011.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elf-cognition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and library anxie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4): 123-137.) 

  11. 유태용. 1998. 성격의 5요인과 학업수행간의 관계. 한국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98년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263-274.(Yoo, Tae-Yong. 1998. "The relationships between Big 5 personality factors and academic performance."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98 Yeoncha Daehoe Haksul Balpyo Nonmunzip, 263-274.) 

  12. 유태용, 민병모. 2001. 다양한 장면에서 수행을 예측하기 위한 5요인 성격모델의 사용가능성과 한계: 국내 연구결과의 통합분석. 한국심리학회: 산업 및 조직, 14(2): 115-134.(Yoo, Tae-Yong, & Min, Byung-Mo. 2001. "Predictability of Big-Five personality model to performance in a variety of settings and its limitation."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4(2): 115-134.) 

  13. 이경임, 안창규. 1996. NEO-PI-R의 임상적 활용. 한국심리학회: 상담과 심리치료, 8(1): 65-79.(Lee, Kyoung Im, & Ahn, Chang Gyu. 1996. "Clinical application of 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8(1): 65-79.) 

  14. 장혜란, 오의경. 2006.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불안 측정과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지, 23(3): 205-221.(Chang, Hye-Rhan, & Oh, Eui-Kyung. 2006.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library anxiety among academic library user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23(3): 205-221.) 

  15. 조애리. 1998.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탐색행동과 성격 5요인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Cho, Ae-Ri. 1998.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M.A.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6. Bostick, S. L. 1992.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ibrary Anxiety Scale. Ph.D. diss., Wayne State University. 

  17. Costa, P. T. & McCrae, R. R. 1992. NEO PI-R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8. Mellon, C. A. 1986. "Library anxiety: a grounded theory and its development."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47(2): 160-165. 

  19. Jiao, Q. G., Onwuegbuzie, Anthony J., & Lichtenstein, A. 1996. "Library anxiety: Characteristics of 'at-risk' college student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8(2): 151-163. 

  20. Jiao, Q. G., Onwuegbuzie, Anthony J., & Daley, Christine E. 1997. Factors Associated with Library Anxiet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16 895. 

  21. Jiao Q. G. & Onwuegbuzie, Anthony J. 1997. "Antecedents of library anxiety." The Library Quarterly, 67(4): 372-389. 

  22. Jiao, Q. G. & Onwuegbuzie, Anthony J. 1998. "Perfectionism and library anxiety among graduate students."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4(5): 365-371. 

  23. Jiao, Q. G. & Onwuegbuzie, Anthony J. 1999. "Self-perception and library anxiety: An empirical study." Library Review, 48(3): 140-147. 

  24. Jiao, Q. G. & Onwuegbuzie, Anthony J.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y Anxiety and Social Interdependence.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62 079. 

  25. Jiao, Q. G. & Onwuegbuzie, Anthony J. 2002a. "Dimensions of library anxiety and social interdependence: Implications for library services." Library Review, 51(2): 71-78. 

  26. Jiao, Q. G. & Onwuegbuzie, Anthony J. 2002b. Anxiety Expectation Mediation Model of Library Anxiet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78 613. 

  27. Jiao, Q. G. & Onwuegbuzie, Anthony J. 2004. "The 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library anxiety: The role of computer attitudes."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23(4): 138-144. 

  28. John, O. P. & Srivastava, S. 1999. "The big five trait taxonomy: History, measurement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In Pervie, L. A., & John, O. P., eds.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102-138. New York: Guilford. 

  29. Phares, E. J. 1984. Introduction to Personality. Columbus, OH: Charles E. Merrill. 

  30. Van Kampen, Doris J. 200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library anxiety scale." College & Research Libraries, 65(1): 28-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