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온 및 고온살균 사과주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Apple Juice according to the Sterilization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2, 2012년, pp.178 - 184  

이수진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혜림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승렬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윤경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살균 온도에 따른 사과주스의 이화학적 특성과 영양성분 및 기능성을 분석하였다. pH는 저온살균 사과주스가 고온살균 사과주스보다 약간 높았으며, 적정산도는 고온살균 사과주스가 저온살균 사과주스보다 높았다. 두 시료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동일하였으며, 색도는 고온살균 사과주스의 명도가 높았으며, 황색도와 적색도의 경우는 저온살균 사과주스가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환원당 함량은 고온살균 사과주스가 저온살균 사과주스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두 시료 모두 칼륨과 malic acid 함량이 가장 많았다. 유리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고온살균 사과주스가 높았으며,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의 함량이 그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저온살균 사과주스가 고온살균 사과주스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라디칼 소거능에서는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저온살균 사과주스가 고온살균 주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tyrosinase 저해 활성에서 저온살균 사과주스가 고온살균 사과주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사과주스 제조시 고온살균을 할 경우 농축으로 인해 일반성분의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날 수 있으나, 사과의 기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저온살균 방법이 고온살균 방법에 비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ochemical property, nutrient composition, and functionality of apple juice sterilized at a low temperature (LT, $70^{\circ}C$, 30 min) or a high temperature (HT, $100^{\circ}C$, 20 min) were analyzed. The pH of the apple juice that was sterilized at LT (pH 4.72) was 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열수 살균 조건에 따른 사과주스의 품질 변화에 관한 연구(8)가 보고되고 있으나, 사과주스 제조 방법에 따른 영양성과 기능성의 비교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농가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살균 조건을 제시하기 위해 저온살균 사과주스와 고온살균 사과주스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살균 온도에 따른 사과주스의 이화학적 특성과 영양성분 및 기능성을 분석하였다. pH는 저온살균 사과주스가 고온살균 사과주스보다 약간 높았으며, 적정산도는 고온살균 사과주스가 저온살균 사과주스보다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과의 영양 성분은 어떠한가? 사과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교목의 식물인 사과나무의 열매로서, 주성분은 탄수화물이며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기호도가 높아 한국인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과일이다. 이러한 사과는 주스 및 음료, 유제품, 사과쨈, 조미료 제품 등으로 가공하여 소비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인지도는 다소 낮지만 사과를 이용한 된장, 간장, 고추장 등과 같은 장류, 사과를 첨가한 국수, 칼국수 등 면류 등의 가공품으로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사과란 무엇인가? 사과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교목의 식물인 사과나무의 열매로서, 주성분은 탄수화물이며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기호도가 높아 한국인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과일이다. 이러한 사과는 주스 및 음료, 유제품, 사과쨈, 조미료 제품 등으로 가공하여 소비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인지도는 다소 낮지만 사과를 이용한 된장, 간장, 고추장 등과 같은 장류, 사과를 첨가한 국수, 칼국수 등 면류 등의 가공품으로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천연 과즙 음료들이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국내에서 수급이 가능하고 고품질 유지가 용이하여 주목받는 품목은 무엇인가? 이는 천연과즙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증대됨에 따라 더욱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사과주스의 경우는 원료의 대부분을 국내에서 수급이 가능하고 고품질 유지가 용이하여, 농산물 수입 개방화 등의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품목으로 주목받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uh MY (2010) Recognition and importance-satisfaction of apple processed products. Korean J Food Preserv, 17(2), 230-235 

  2. Whang HJ, Kim SS, Yoon KR (2000) Analysis of organic acid in Korean apple juice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2), 181-187 

  3. Kim TR, Whang HJ, Yoon KR (1996) Mineral contents of Korean apples and apple jui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90-98 

  4. Hong HD, Kim SS, Kim KT, Choi HD (1999) Changes in quality of domestic apple juice concentrates during long-term storag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3), 235-239 

  5. Lee JY, Hong SG, Cho SW (2000) Inhibition of enzymatic browning of apple juices by benzoic acid isolated from Peach (Prunus persica Batsch) seed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103-107 

  6. Whang HJ, Kim SS (1999) Analysis of mineral in Korean apple juice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Korean J Food Nutr, 12(4), 344-349 

  7. Kim CH, Whang HJ, Ku JE, Park KW, Yoon KR (2006) Free sugars contents of selected Korean apple cultiv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22-27 

  8. Park NY, Kim JW, Woo SC, Jeong YJ (2010) Quality changes in apple juice containing pulp upon sterilization by hot water. Korean J Food Preserv, 17(2), 230-235 

  9. Jang HR, Hong JY, Kim NJ, Kim MH, Shin SR, Yoon KY (2011) Comparison of nutrient con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neral and colored potato. Kor J Hort Sci Thechnol, 29, 144-150 

  10. Gancedo MC, Luh BS (1986)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s and sugar in tomato juice. J Food Sci, 51, 571-580 

  11. Yoon KY, Hong JY, Shin SR (2007)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the Elaeagnus multiflora Thunb.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14, 639-644 

  12.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 phoso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 

  13. Blois ML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24 

  14. Gutteridge JM (1984) Reactivity of hydroxyl and hydroxyl-like radicals discriminated by release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material from deoxy sugars, ncleosides and benzoate. J Biochem, 224, 761-767 

  15. Yagi A, Kanbara T, Morinobu N (1989)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a medica, 52, 517-519 

  16. Stripe F, Della Corte E (1986) The regulation of rat river xanthine oxidase. Conversion in vitro of the enzyme activity from dehydrogenase (type D) to oxidase (type O). J Biol Chem, 224, 3855-3863 

  17. Do YS, Whang HJ, Ku JE, Yoon KR (2005) Organic acids content of the selected Korean apple cultiv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6), 922-927 

  18. Evans RH, van Soestbergen W, Ristow KA (1983) Evaluation of apple juice authenticity by organic aicd analysis. J Assoc Off Anal Chem, 66, 1517-1520 

  19. Ichikawa S, Iino T, Sato S, Nakahara T, Mukataka S (2003) Improvement of production rate and yield of fumaric acid from maleic acid by heat treatment of Pseudomonas alcaligenes strain XD-1. Biochem Engineer J, 13, 7-13 

  20. Choi OJ, Park HR, Chough SH (1997) Variation of free sugar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of apples during the ripening period. Korean J Dietary Culture, 12, 149-153 

  21. Jang TO, Yoo YH, Hwang YC, Kim HK, Woo HC (2010)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istletoe(Viscum album) extracts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Korean J Soc Food Sci Nutr, 39(1), 20-24 

  22. Kim EY, Baik J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3. Kim HM, Hur W, Lee SY (2011) Polysaccharide extraction and comparison of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rom Tremella fuciformis and Auricularia auricula fruit body. Food Engineer Prog, 15, 6-14 

  24. Cho YJ, Chun SS, Choi C (1983) Inhibitory effect of condensed tannins isolated from korean green tea against xanthine oxidase. J Korean Soc Food Nutr, 22, 418-422 

  25. Jeon TW, Jo CR, Kim KH, Byun MW (2002)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nd xanthine oxidas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Schizandrae Fructus extract by gamma irradiation. Korean J Food Preserv, 9(4), 369-374 

  26. Choi JH, Kim JS, Jo BS, Kim JH, Park HJ (2011) Biological activity in functional cosmetic of purple sweet potato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8(3), 414-4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