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시판된장 및 재래된장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mmercial Doenjang and Traditional Doenjang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1, 2012년, pp.142 - 148  

안준배 (서원대학교 외식산업학과) ,  박진아 (서원대학교 외식산업학과) ,  조혜지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우인혜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상화 (서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금일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다양한 지역에서 판매 중인 22가지의 시판 된장을 구입하여 품질특성과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먼저 pH, 염농도, 당도는 각각 4.61~6.36, 0.90~1.00 및 0.97~1.10%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pH의 경우, 전남 지역의 된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염도와 당도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된장 색도의 경우 L, a 및 b 값은 각각 52.92~55.00, 0.03~0.62 및 -0.74~2.70의 범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18.71~25.78 mg GAE/$m{\ell}$,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6.43~14.38 및 2.46~7.08 mg AE/$m{\ell}$를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경남 지역의 된장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경북 지역의 된장이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전남 지역의 된장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강원지역의 된장이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경기 지역과 경북 지역의 된장이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지역별 된장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대두의 종류와 전분질 함량 그리고 된장의 발효조건 및 숙성기간의 차이 때문이라고 생각되며, 된장의 품질 및 기능성 향상을 위해 그리고 된장의 표준화를 위해 각각의 차이점에 대한 적절한 조건이 제시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and traditional Doenjangs from various regions of Korea. The pH, salinity, and brix degree of the samples tested ranged from 4.61~6.36, 0.90~1.00% and 0.97~1.10 $^{\circ}Bx$, respectively. The pH was highest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시판된장과 다양한 지역에서 구입한 재래된장의 일반 품질 특성을 분석하여 상호간 품질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먼저 사용된 된장의 동결건조 수율은 14.
  • 국내의 시판된장과 지역별 재래된장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여 상호간 비교하고자 하였다. 먼저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22개의 된장에서 18.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판매되고 있는 시판된장과 지역별 재래된장을 수집하여 된장의 일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효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내 된장의 표준화 및 품질 향상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다양한 지역에서 판매 중인 22가지의 시판 된장을 구입하여 품질특성과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먼저 pH, 염농도, 당도는 각각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두는 어떤 식품으로 이용되어 왔는가? 대두는 높은 단백질과 지방 함량으로 예로부터 밭에서 나는 고기라 알려져 있는데, 특히 전통적으로 채식 위주의 식생활을 하는 우리 민족에게는 중요한 단백질과 필수지방산의 급원 식품으로 사용되어 왔다(Park 등 2007). 그러나 대두는 특유의 비린 맛과 가스 발생 인자인 올리고당을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가공공정을 거쳐 두부, 두유, 콩나물과 같은 비발효식품과 간장, 청국장, 된장 등과 같은 발효 식품으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대두 발효 식품은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생성되어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게 되는데, 그 중 항산화 활성 물질은 대두 발효 식품에 함유된 중요한 생리 활성 물질이다(Pratt & Birac 1979; Park 등 2007).
된장의 주원료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대두 발효 식품으로 대표적인 전통 조미 식품인 된장은 대두를 주원료로 제조된 메주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제조한 발효 식품으로, 항암, 혈당 강하, 돌연변이 억제, 혈전용해능 등의 다양한 기능성 효과를 나타내며(Park 등 1990; Kim SH 1998; Lim 등 1999), 특히 대두로부터 전이된 tocopherol, isoflavones 및 phenolic acids 등의 항산화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Lee 등 2001; Park 등 2007). 또한 된장에 존재하는 isoflavones로는 daidzin, genistin 및 glycitin-6-o-glucoside가 존재하며, phenolic acids로는 6종이 존재하고, 그 중 caffeic acid가 가장 높은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mmerschmidt & Pratt 1978; Kim 등 1994).
된장을 항산화성분의 공급원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대두 발효 식품으로 대표적인 전통 조미 식품인 된장은 대두를 주원료로 제조된 메주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제조한 발효 식품으로, 항암, 혈당 강하, 돌연변이 억제, 혈전용해능 등의 다양한 기능성 효과를 나타내며(Park 등 1990; Kim SH 1998; Lim 등 1999), 특히 대두로부터 전이된 tocopherol, isoflavones 및 phenolic acids 등의 항산화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Lee 등 2001; Park 등 2007). 또한 된장에 존재하는 isoflavones로는 daidzin, genistin 및 glycitin-6-o-glucoside가 존재하며, phenolic acids로는 6종이 존재하고, 그 중 caffeic acid가 가장 높은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mmerschmidt & Pratt 1978; Kim 등 1994). 따라서 된장은 우리나라의 전통 식품으로 가장 흔하게 식단에 포함되어 소비자에게 공급되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성 성분 특히 항산화성분의 공급원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SC, Bog HJ. 2007. Consumption pattern and sensory evaluation of traditional Doenjang and commercial Doenjang. Korean J Food Cul 22:633-6443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1199-1203 

  3. Chang M, Kim IC, Chang HC. 2010. Effect of solar sal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16-124 

  4. Choi GN, Jeong CH, Kim JH, Kwak JH, Shin YH, Lee SC, Cho SH, Choi SG, Heo HJ. 2009.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water activit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owdered green tea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6:333-341 

  5. Choi SH, Kim YS. 2002. The sensory properties and flavor components of the white bread added with arrowroot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604-609 

  6. Chung SK, Choi DM, Joung YM, Shin DJ. 2010. Effect of reuse of Onggi containers on the quality of anchovy soy sauce. Korean J Food Preserv 17:223-229 

  7.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 Food Chem 50:4959-4964 

  8. Gramza A, Khokhar S, Yoko S, Swiglo AG, Hes M, Korczak J.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tea extracts in lipids and correlation with polyphenol content. Eur J Lipid Sci Technol 108:351-362 

  9. Hammerschmidt P, Pratt D. 1978. Phenolic antioxidants of dried soybean. J Food Sci 43:556-559 

  10. Hong JS, Park JR, Jeon JR, Cha MH, Kim J, Kim J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Doenjang prepared with Bacillus subtilis SS103.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363-369 

  11. Jo HW, Park JC. 2008.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the leaves of Angelica keiskei showing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Korean J Pharmacogn 39:146-149 

  12. Jung BM, Roh SB. 2004. Physicochemical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Doenjang and traditional green tea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32-139 

  13. Kim HE, Han SY, Jung JB, Ko JS, Kim YS. 2011a.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soybean paste) prepared with germinated regular soybean and black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3:361-368 

  14. Kim JW, Doo HS, Kwon TH, Kim YS, Shin DH. 2011b.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meju fermented with Aspergillus species and Bacillus subtili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8:397-406 

  15. Kim MH, Im SS, Yoo YB, Kim GE, Lee JH. 1994. Antioxidative materials in domestic meju and Doenjang 4. setar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J Korean Soc Food Nutr 23:792-798 

  16. Kim SH, Kim SJ, Kim BH, Kang SG, Jung ST. 2000. Fermentation of Doenjang prepared with sea sal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7-14 

  17. Kim SH. 1998. New Trends of studying on potential activities of Doen-Jang(fibrinolytic activity). Korea Soybean Digest 15:8-15 

  18. Kwon SH, Shon MY. 2004. Antioxidant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of traditional Doenjang during maturation periods. Korean J Food Preserv 11:461-467 

  19. Lee CH, Moon SY, Lee JC, Lee J. 2004.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ybean products extracts for application of animal produc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405-410 

  20. Lee CH, Youn Y, Song GS, Kim YS. 2011.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traditional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227-1234 

  21. Lee JJ, Cho CH, Kim JY, Kee DS, Kim HB.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substances extracted by alcohol from Chungkookjang powder. Korean J Microbiol 37:177-181 

  22. Lee JY, Mok CK. 2010.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ow salt soybean paste(Doenjang) during fermentation. Food Engin Prog 14:153-158 

  23. Lee SH, Hwang IG, Kim HY, Lee HK, Lee SH, Woo SH, Lee JS, Jeong HS. 2010. Starch properties of deahak waxy corn with different harvest ti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573-579 

  24. Lee SK, Kim ND, Kim HJ, Park JS. 2002. Development of traditional Doenjang improved in color. Korean J Sci Technol 34:400-406 

  25. Lee SM, Chang HC. 2009. Growth-inhibitory effect of the solar salt-Doenjang on cancer cells, AGS and HT-29.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664-1671 

  26. Lim SY, Park KY, Rhee SH. 1999. Anticencer effect of Doenjang in vitro sulforhodamine B(SRB) assay. J Korean Sor Food Sci Nutr 28:240-245 

  27. Mok CK, Song KT, Lee JY, Park YS, Lim SB. 2005.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enzyme activity of low salt soybean paste(Doenjang) during fermantation. Food Engin Prog 9:112-117 

  28. No JD, Lee DH, Lee DH, Choi SY, Kim NM, Lee JS. 2006. Changes of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during the fermentation of Doenjangs made by isolated Nuruk mold and commercial Nuruk mol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1025-1030 

  29. Oh HJ, Kim CS. 2007.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ermented soybean foods(Chungkukjang,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503-1510 

  30. Park JW, Lee YJ, Yoon S. 2007. Total flavonoids and phenolics in fermented soy products and their effects on antioxidant activities determined by different assays. Korean J Food Cul 22:353-358 

  31. Park KY, Moon SH, Baik HS, Cheigh HS. 1990. Antimutagenic effect of Doenjang(Korea fermented soy paste) toward aflatoxin B1. J Korean Soc Food Nutr 19:156-162 

  32. Pratt DE, Birac PM. 1979. Source of antioxidant activity of soybeans and products. J Food Sci 44:1720-1722 

  33. Ryu BM, Sugiyama K, Kim JS, Park MH, Moon GS. 2007. Studies on physi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usijang, fermented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37-1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