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장태 신속 대두발효 종균으로의 Enterococcus faecium
Rapid Fermentation Starter Enterococcus faecium of Soybean for Soy-Sauce Like Produ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1, 2012년, pp.188 - 195  

이영덕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박종현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풍미가 강력하고 신속발효가 되는 청국장의 우점종인 젖산균 Enterococcus spp.를 발효종균으로 활용하여 재래식 간장모양의 풍미를 가지는 대두발효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119종의 Enterococcus spp. 중에서 protease 활성이 높은 8종을 선발하여 E. faecium 4종, E. faecalis 3종, E. gallinarium 1종으로 동정하였다. 8종의 항생제에 내성이 낮았고, vancomycin 유전자도 없으며, 5% NaCl 함유 배지에서도 protease 분비가 우수한 E. faecium O24를 발효 종균으로 선정하였다. 증자한 대두 백태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발효생성 조미 아미노산 중 80 mg% glutamic acid, aspartic acid를 생성시켰으며, lactic acid와 여러 유기산을 생성하였다. Z. rouxii와 C. versatilis와의 혼합배양으로 간장 고유취인 maltol, guaiacol 등의 향기성분도 합성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청국장 젖산균인 Enterococcus spp.는 신속하게 다양한 향미성분을 생산하여 간장태의 대두 발효의 종균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produce rapidly the traditional Kanjang soy sauce-like product with rich flavors, lactic acid bacteria of Enterococcus spp. isolated from Chungkukjang was used as one of starter cultures. Among 119 Enterococcus spp., eight strains were selected by protease-secreting activities and identified a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풍미가 강하고 신속하게 발효되는 청국장의 우점종인 Enterococcus spp.를 대두백태에 적용한 controlled fermentation에 의하여 전통 재래간장 제조용의 발효 종균으로 사용 가능한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풍미가 강력하고 신속발효가 되는 청국장의 우점종인 젖산균 Enterococcus spp.를 발효종균으로 활용하여 재래식 간장모양의 풍미를 가지는 대두발효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119종의 Enterococcus spp.
  • 본 발효에 사용될 다양한 Enterococcus spp.의 항생제 내성 특성과 vancomycin 내성 유전자 보유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될 protease 역가가 우수한 8주에 Enterococcus sp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발효에 의하여 생산되고 있는 천연조미료 양조간장의 특징은 무엇인가? 현재 발효에 의하여 생산되고 있는 천연조미료 양조간장은 분해 펩타이드, 알코올, 유기산들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고, 향이 좋은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Choi 등 1998). 그러나 이를 생산하기 위한 시설 장치에 대한 비용이 많이 들고, 6개월에 이르는 발효기간이 산업적 대량 생산의 장해요인이 되고 있다.
현재 발효에 의하여 생산되고 있는 천연조미료 양조간장을 대량 생산하는 데 있어서 장애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현재 발효에 의하여 생산되고 있는 천연조미료 양조간장은 분해 펩타이드, 알코올, 유기산들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고, 향이 좋은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Choi 등 1998). 그러나 이를 생산하기 위한 시설 장치에 대한 비용이 많이 들고, 6개월에 이르는 발효기간이 산업적 대량 생산의 장해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재래식 간장도 양조간장의 형태라고 볼 수 있는데, 우리 간장맛은 현재 양조간장과는 또 다르게 염미, 감미, 고미, 신미, 지미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 맛의 조화에 의해 간장맛의 좋고 나쁨이 좌우된다고 한다.
재래식 간장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특히 lactic acid, NaCl, fumaric acid, succinic acid, tyrosine, tartaric acid, glycine, malonic acid, malic acid, tryptophan의 순서로 기여하고 있다고 한다(Kim 등 1895). 이와 같이 재래식 간장은 발효기간이 길어지므로 복잡한 발효 과정에서 많은 미생물이 관여되어 풍부한 풍미가 발현되지만, 원료, 발효 조건 등에 의하여 품질이 일정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 균주들은 Staphylococcus vitulus, Bacillus subtilis, 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n Omar N, Castro A, Lucas R, Abriouel H, Yousif NM, Franz CM, Holzapfel WH, Perez-Pulido R, Martinez-Canamero M, Galvez A. 2004. Functional and safety aspects of enterococci isolated from different Spanish foods. Sys Appl Microbiol 27:118-130 

  2. Choi KS, Choi JD, Chung HC, Kwon KI, Im MH, Kim YH, Kim WS. 2000. Effects of mashing proportion of soybean to salt brine on Kanjang(soy sauce) qual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2:174-180 

  3. Choi SB, Kwon OS, Nam HS, Shin ZI, Yang HC. 1992. Optimization for the alcohol fermentation of hydrolyzed vegetable protein(HVP) soy sauce by Saccharomyces rouxii. Korean J Food Sci Technol 24:330-334 

  4. Choi SH, Kim SH, Hong SS, Kim HY, Lee BG, Jang YS. 1998. A study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traditional Kanjang and Doenjang, and the deveolpment of process for functional food. Korea Food Reserach Institute, Report GA0042-0983 

  5. Chow JW, Kuritza A, Shlase DM, Green M, Sahm DF, Zervos MJ. 1993. Clonal spread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ium between patients in three hospitals in two states. J Clin Microbiol 31:1609-1611 

  6. Chung SK, Lee KS, Lee DS. 2006. Fermentation of Kangjang, Korean soy sauce, in porosity-controlled earthenwares with changing the mixing ratio of raw soi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215-221 

  7. Dukta-Malen S, Evers S, Courvalin P. 1995. Detection of glycopeptide resistance genotypes and identification to the species level of clinically relevant enterococci by PCR. J Clin Micribiol 33:24-27 

  8. Foulquie Moreno MR, sarantinopoulos P, De Vuyst L. 2006. The role and application of enterococci in food and health. Int J Food Microbiol 10:1-24 

  9. Franz CMAP, Stiles ME, Schleifer KH, Holzapfel WH. 2003. Enterococci in foods- A conundrum for food safety. Int J Food Microbiol 88:105-122 

  10. Jett BD, Huycke MM, Gilnore MS. 1994. Virulence of enterococci. Clin Microbiol Rev 7:462-478 

  11. Ju HK, Ro SK, Im MH. 1972. Studies on the fermentation of soy sauce by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4:276-284 

  12. Kang TM. 2008. Enterococcus microflora analysis for foods and antibiotic resistance. Master of Science Thesis, Kyungwon Uni. Seongnam. Korea 

  13. Kataoka S. 2005. Functional effects of Japanese style fermented soy sauce(Shoyu) and its components. J Biosci Bioeng 100:227-234 

  14. Ke D, Picard FJ, Martineau F, Menard C, Roy PH, Ouellette M, Bergeron MG. 1999. Development of a PCR assay for rapid detection of enterococci. J Clin Microbiol 37:3497-3503 

  15. Kim JG, Chung YG, Yang SH. 1985. Effective components on the taste of ordinary Korean soy sauce.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3:285-287 

  16. Kim JG. 2004.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Korean J Environ Health 30:22-28 

  17. Kim JK. 2002.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of soy-fermented foods. Korea Soybeans Digest 19:1-7 

  18.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Health Functional Food Code. 2010. 

  19. Kwon DJ, Ha DM. 1994. The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the production of volatile organic acids by Zygosacchromyces rouxii, a soy sauce yeast.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2:120-125 

  20. Lee JS, Kwon SJ, Jung SY, Choi YJ, Yoo JY, Chung DH. 1996. Changes of major components, enzyme activities, and microorganisms during ripening of traditional Doenjang and Gochujang.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4:247-253 

  21. Lee JS, Yi SH, Ahn C, Yoo JY. 1997. Enzyme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yeasts from traditional Meju.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448-453 

  22. Manolopoulou E, Sarantinopoulos P, Zoidou E, Aktypis A, Kandarakis IG, Anifantakis EM. 2003. Evolution of microbial populations during traditional Feta cheese manufacture and ripening. Int J Food Microbiol 82:153-161 

  23. Moellering RC. 1995. Enterococcus species, Streptococcus bovis and Leuconostoc. In: GL Mandel, JE Bennett, R Dolin, M Douglas, and K Bennett(eds), A Principles and Practice of Infectious Disease, 4th ed., pp. 1826-1835, Churchill Living Stone, New York 

  24.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 2008.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approved standards M2-A9 and M7-A7 8th ed. CLSI document. CLSI, Wayne, Pennsylvania 19087-1898, USA 

  25. Ryu BH, Cho KJ, Chae YJ, Jin SH. 1993. Continuous rapid fermentation of soy sauce by immobilized Zygosaccharomyces rouxii BH-90 and Candida versatilis BH-91 using column type reactor.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1:366-372 

  26. Ryu BH, Kim SJ, Shin DB. 1992. Lactic acid, ethylalcohol and 4-ethylguaiacol contents of rapid fermentation of sardine soy sauce prepared by using immobilized whole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456-462 

  27. Toye B, Shymanski J, Bobrowska M, Woods W, Ramotar K. 1997.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significance of enterococci intrinsically resustant to vancomycin(prossessing the vanC genotype). J Clin Microbiol 35:3166-3170 

  28. Van Caeseele P, Giercke S, Wylie J, Boyd D, Mulvey M, Amin S, Ofner-Agostini M. 2001. Indentification of the first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alis harbouring vanE in Canada. Can Commum Dis Rep 27:101-104 

  29. Yoo SK, Cho WH, Kang SM, Lee SH. 199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in Korean soybean paste and soybean sauce.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7:113-117 

  30. Yoon MY. 2008. Evalu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as starter cultures for fermented soymilk. Ph D. Thesis, Korea Uni.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