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자생 엉겅퀴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활성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ctivity of Domestic Cirsium japonicum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6, 2012년, pp.739 - 744  

장미란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  홍은영 (CJ제일제당(주) 식품연구소) ,  정재훈 (삼육대학교 의명신경과학연구소) ,  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생분포가 높은 4가지 지역(경기, 강원, 전남 및 제주)에서 채집한 엉겅퀴를 에탄올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2가지 방법에 의한 환원력을 분석하여 새로운 자생식물 유래의 항산화제 소재개발에 있어 원물 최적화를 위하여 시행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많이 함유하고 있을수록 4가지 항산화능의 평가 역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유의적인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라 사료된 다. 엉겅퀴는 현재 잘 소비되는 식물자원은 아니지만 다양한 효능이 확인되고 있는 엉겅퀴를 이용한 소재 및 제품 개발을 위해서는 본 연구결과를 활용한 최적의 재배지역을 선정하고, 향후 재배기술 및 원물의 규격화를 위한 연구는 반드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irsium japonicum (Gyonggido (GG), Gangwondo (GW), Jeollanamdo (JN) and Jejudo (JJ)) were investigated for their antioxidative component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은 페놀성 물질 함량이 높을수록 소거활성이 증가되며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ABTS 소거활성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또한, 대부분의 페놀성 물질이 radical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만, radical의 기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페놀성 물질이 존재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모두를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자생분포가 높은 4가지 지역(경기, 강원, 전남 및 제주)에서 채집한 엉겅퀴를 에탄올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2가지 방법에 의한 환원력을 분석하여 새로운 자생식물 유래의 항산화제 소재개발에 있어 원물 최적화를 위하여 시행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많이 함유하고 있을수록 4가지 항산화능의 평가 역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엉겅퀴는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이년생 또는 다년생의 초본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 북반구 온대지역에서 주로 자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가시나물’, ‘항가새’라고도 하며 한방에서는 엉겅퀴 뿌리는 ‘대계근’이라고 부른다. 엉겅퀴 잎에는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있으나, 봄에 비교적 가시가 연한 어린잎과 부드러운 줄기는 살짝 데쳐서 나물이나 국으로 이용한다(1).
엉겅퀴의 지상부와 뿌리는 언제 채취하며 뿌리는 어떻게 사용되는가? 엉겅퀴 잎에는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있으나, 봄에 비교적 가시가 연한 어린잎과 부드러운 줄기는 살짝 데쳐서 나물이나 국으로 이용한다(1). 여름 및 가을에 꽃이 필 때 지상부를 채취하고, 뿌리는 경혈, 지혈, 소종의 효능이 있어 가을철에 채취해서 건조한 후 토혈, 혈뇨, 대하, 간염, 고혈압의 치료에 사용한다(2,3)
엉겅퀴는 주로 어떤 지역에서 자생하는가?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이년생 또는 다년생의 초본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 북반구 온대지역에서 주로 자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가시나물’, ‘항가새’라고도 하며 한방에서는 엉겅퀴 뿌리는 ‘대계근’이라고 부른다. 엉겅퀴 잎에는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있으나, 봄에 비교적 가시가 연한 어린잎과 부드러운 줄기는 살짝 데쳐서 나물이나 국으로 이용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YJ. 1987. Cultivation and Utilization of Wild Edible . Osung Press, Seoul, Korea. p 337. 

  2. Lee SJ. 1966. Korean Folk Medicine .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 145-146. 

  3. Ishida H, Umino T, Tsuji K, Kosuge T. 1987. Studies on antihemorrhagic substance in herbs classified as hemostatics in Chinese medicine VII. On the antihemorrahgic principle in Cirsium japonicum DC. Chem Pharm Bull 35: 861-864. 

  4. Kim SJ, Kim GH. 2003. Identification for flavones in different parts of Cirsium japonicum. J Food Sci Nutr 8: 330-335. 

  5. Fang J, Xia C, Cao Z, Zheng JZ, Reed E, Jiang BH. 2005. Apigenin inhibits VEGF and HIF-1 expression via PI3K/ AKT/p70S6K1 and HDM2/p53 pathways. FASEB J 19:3423. 

  6. Lee HK, Kim JS, Kim NY, Kim MJ, Park SU, Yu CY. 2003. An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ITAMURA. Kor J Medicinal Crop Sci 11: 53-61. 

  7. Lee MK, Moon HC, Lee JH, Kim JD, Yu CY, Lee HY. 2002. Screening of immune enhancing activities in medicinal herbs, Compositae . Kor J Medicinal Crop Sci 10: 51-57. 

  8. Liu S, Luo X, Li D, Zhang J, Qui D, Liu W, She L, Yang Z. 2006. Tumor inhibition and improved immunity in mice treated with flavone from Cirsium japonicum DC. Int Immunopharmacol 6: 1387-1393. 

  9. Park HK, Yoon SY, Choi JH, Ko HS, Suh YW, Lee YS, Kim GH, Chung MS, Cheong JH. 2006. The antidepressant effects of Cirsium japonicum in ICR mice. J Pharm Soc Korea 50: 429-435. 

  10. Lim DK, Choi U, Shin DH. 1996.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83-89. 

  11.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2. Ko SH, Kim SI, Han YS. 2008.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 supplemented with low grade dried-persimmon extracts. Kor J Food Cookery Sci 24: 735-741. 

  1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4.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5.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Jpn J Nutr 44: 307-315. 

  16.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7. Beecher GR. 2003. Overview of dietary flavonoids: nomenclature, occurrence and intake. J Nutr 133: 3248S-3254S. 

  18. Jeong JA, Kwon SH, Lee CH. 2007.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erial and underground parts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ferns. Kor J Plant Res 20: 185-192. 

  19. Villano D, Fernandez-Pachon MS, Moya ML, Troncoso AM, Garcia-Parrilla MC. 2007.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polyphenolic compounds towards DPPH free radical. Talanta 71: 230-235. 

  20. Choi Y, Jeong HS, Lee J.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Food Chem 103: 130-138. 

  21. Park SII, Kim KS.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flavonoids from Salicornia herbacea L. J Kor Soc Appl Biol Chem 47: 120-123. 

  22. Wang MF, Shao Y, Li JG, Zhu NQ, Rangarajan M, Lavoic EJ, Ho CT. 1998.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via officinalis). J Agric Food Chem 46: 4869-4873. 

  23. Kim I, Jeong C, Park S, Shim K. 2011.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jujube (Zizyphus jujuba) fruit and leaf. Korean J Food Preserv 18: 341-3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