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동향
Occurrence Trends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in Paddy Field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잡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v.32 no.2, 2012년, pp.121 - 126  

이인용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박중수 (경기도 농업기술원) ,  서영호 (강원도 농업기술원) ,  김은정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이순계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  조승현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  권오도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  김상국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정완규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  박태선 (국립식량과학원) ,  김창석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이정란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문병철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강충길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박재읍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면적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과 전국 8개 도 농업기술원과 공동으로 조사하였다. 8개 도 농업기술원에서 2011년 8월에 논토양을 채취하여 피라조설퓨론에틸 피리미노박메틸입제를 30kg $ha^{-1}$ 처리하여 설포닐우레아(SU)계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발생면적을 추산하였다. 전국 벼 재배면적(유기 및 친환경농업 벼 재배면적 제외)의 20.9%인 167,081ha에서 SU계 저항성 논잡초가 발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008년과 대비하여 본 결과 60,130ha가 늘어났다. 발생비율을 보면, 충청남도가 논 면적의 47.6%로 제일 많이 발생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전라남도로 36.9%, 충청북도 25.7%, 강원도 20.3%, 경기도 13.0% 순이었다.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중 발생면적이 가장 넓은 초종은 물달개비로서 65,313ha로 전체 39.1%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올챙이고랭이, 알방동사니 순이었다. 이들 3초종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발생하여 제일 문제되는 잡초들이다. 그리고 미국외풀 13,964ha(8.4%), 강피 5.1%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and eight province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investigated the occurring area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in paddy field of Korea. In order to estimate the occurring areas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we collected paddy soils on August, 201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촌진흥청에서는 2010년 8개 도 농업기술원과 공동으로 제초제 저항성 잡초 발생 모니터링 프로젝트를 긴급히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들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발생면적을 보고하여, 효율적인 방제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조사한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제로 설포닐우레아(SU)계 제초제에 대해 저항성을 보인 최초의 잡초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농경지에 사용하는 제초제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 문제를 Kim(1984)이 처음으로 제기한 이후 실제로 논에서 설포닐우레아(SU)계 제초제에 대해 저항성을 보인 잡초로는 1999년에 보고된 물옥잠이 최초이다(Park 등 1999).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저항성 물옥잠이 발생된 이후에 보고된 저항성 잡초는 무엇이 있는가? 1999년 충남 서산 간척지에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저항성 물옥잠이 발생된 이후 물달개비, 알방동사니, 올챙이고랭이 등이 계속적으로 보고되었다(Im 등 2003; Kwon 등 2002; Kwon 등 2009; Park 등 2002, 2009, 2001). 이 뿐만 아니라 2010년에는 전북 김제에서 화본과잡초 방제용인 ACCase 제초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강피가 출현하여 제초제 저항성잡초의 발생 양상이 다양해졌다(Im 2009; Lim 등 2010, 2009; Park 등 2010).
2010년 저항성 논잡초의 발생 모니터링 프로젝트를 수행한 기관은 어디인가? 이들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발생조사는 2008년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잡초관리과에서 조사된 이후(106,951ha) 어느 기관에서도 조사 및 보고된 바가 없어 지역별, 초종별로 어느 정도 발생이 진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2010년 8개 도 농업기술원과 공동으로 제초제 저항성 잡초 발생 모니터링 프로젝트를 긴급히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들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발생면적을 보고하여, 효율적인 방제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조사한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Im, I. B. 2009. Control and emergence of herbicides resistant Echinochloa oryzicola in paddy field of Korea. Korean J. Weed Sci. 29 (Supp. 2):103-104. 

  2. Im, I. B. 2010. Control and emergence of sulfonylurea herbicides resistant Lemna paucicostata in paddy field of Korea. Korean J. Weed Sci. 30 (Supp. 1): 60-61. 

  3. Im, I. B., S. Kim, J. G. Kang, and S. Y. Na. 2003. Weed control of small flatsedge (Cyperus difformis L.) with resistant response to sulfonylurea herbicides in the paddy of Korea. Korean J. Weed Sci. 23(1):63-70. 

  4. Kwon, O. D., Y. I. Kuk, D. J. Lee, H. R. Shin, I. J. Park, E. B. Kim, and J. O. Guh. 2002. Growth and yield of rice as affected by competitive period of resistant Monochoria vaginalis biotypes to sulfonylurea herbicides. Korean J. Weed Sci. 22(2): 147-153. 

  5. Kwon, O. D., Y. I. Kuk, S. H. Cho, and H. R. Shin. 2009. Control of sulfonyluera-resistant biotype of Eleocharis acicularis in paddy fields in Jeonnam province, Korea. Korean J. Weed Sci. 29 (Supp. 1):32-34. 

  6. Kim, K. U. 1984. Resistance of plants to herbicide. Korean J. Weed Sci. 4(1):96-106. 

  7. Lim, S. H., J. S. Song, C. Zhang, and D. S. Kim. 2010. ACCase inhibitor cyhalofop-butyl resistance in Echinochloa oryzicola collected in Chungnam and Jeonbuk province, Korea. Korean J. Weed Sci. 30 (Supp. 1):45-46. 

  8. Lim S. U., M. W. Park, M. J. Yook, and D. S. Kim. 2009. Resistance to ACCase inhibitor cyhalofopbutyl in Echinochloa crus-galli var. crus-galli collected in Seosan, Korea. Korean J. Weed Sci 29(2):178-184. 

  9. Miyahara M., J. O. Guh, and D. J. Lee. 1998. Occurrence of resistant weeds to sulfonylurea herbicides in Japan. Korean J. Weed Sci. 18(3):268-279. 

  10. Park, T. S., B. I. Ku, S. K. Kang, M. K. Choi, H. K. Park, K. B. Lee, and J. K. Ko. 2010. Response of the resistant biotype of Echinochloa oryzoides to ACCase and ALS inhibitore, and effect of alternative herbicides. Korean J. Weed Sci. 30(3): 291-299. 

  11. Park, T. S., B. C. Moon, S. M. Oh, and K. U. Kim. 2002. Whole plant response and Acetolactate synthase activity of sulfonylurea-resistant Monochoria korsakowii occurred in paddy fields of Korea. Korean J. Weed Sci. 222(4):359-367. 

  12. Park, T. S., C. K. Kang, J. E. Park, B. I. Ku, H. K. Park, M. G. Choi, W. Y. Choi, Y. D. Kim, and J. K. Ko. 2009.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sulfonylurea-resistant biotype of Scirpus planiculmis in reclaimed paddy fields, Korea. Korean J. Weed Sci. 29 (Supp. 1):35-37. 

  13. Park, T. S., C. S. Kim, B. C. Moon, I. Y. Lee, S. T. Lim, J. E. Park, and K. U. Kim. 2001. Occurrence and control of Lindernia dubia (L.) Pennell var. dubia, sulfonylurea resistant biotype in paddy fields in southern areas of Korea. Korean J. Weed Sci. 21(1):33-41. 

  14. Park, T. S., C. S. Kim, J. E. Park, Y. K. Oh, and K. U. Kim. 1999. Sulfonylurea-resistant biotype of Monochoria korsakowii in reclaimed paddy fields in Seosan, Korea. Korean J. Weed Sci. 19(4):340- 344. 

  15. Park, T. S., I. Y. Lee, K. Y. Seong, H. S. Cho, H. K. Park, J. K. Ko, and U. G. Kang. 2011. Status and prospect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in rice field of Korea. Korean J. Weed Sci. 31(2):119-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