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품종을 달리한 오디 추출물의 Resveratrol 및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

Composition of Resveratrol and Other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0 no.3, 2012년, pp.301 - 307  

최일숙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문용선 (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곽은정 (영남대학교 식품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디의 건강기능성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높여 이용성을 증가하기 위해 '대성뽕', '수원뽕', '청일뽕'의 오디 3종과 함께 블루베리, 딸기를 시료로 사용하여 기능성 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비교해 보았다. 시료 과실의 60% 에탄올 추출물의 총 phenol성 화합물, 총 flavonoid 함량 및 trans-resveratrol 함량은 '대성뽕'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수원뽕'이 높았으며, 총 anthocyanin 함량은 '대성뽕' 다음으로 블루베리가 높았다. 공시된 과실 추출물의 DPPH 및 ABTS free radical 소거능, FRAP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총 phenol성 화합물, 총 flavonoid, 총 anthocyanin 함량과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항산화 활성과 기능성 성분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국내산 '대성뽕' 품종 오디는 국제적 건강기능성 과실인 블루베리보다도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이 현저하게 높아 이의 추출물은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하여 오디 소비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high value added healthy functional resource from Korean mulberry, the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ree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blueberry and strawberry.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trans-resveratrol of 'Daesungp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성뽕’, ‘수원뽕’, ‘청일뽕’ 오디 및 최근 국내에서도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는 블루베리, vitamin C를 비롯한 phenol성 물질의 함유량이 높은 딸기 과실을 시료로 사용하여 이들 과실의 60% 에탄올 추출물의 phenol성 물질, flavonoid, resveratrol과 같은 기능성 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능을 측정하고 비교해 봄으로써 오디의 건강기능성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높여 이용성을 증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디를 한방에서 부르는 이름은? 베리류의 일종인 오디(Morus alba)는 뽕나무속(Moraceae), 뽕나무과(Morous)의 열매로서 한방에서는 상심(桑椹), 상실(桑實), 오심(烏椹) 등으로 불린다. 성숙한 오디는 검은색 또는 자홍색을 띄며 5-6월에 채취하여 식용이나 약용에 이용하였다.
오디 함유 성분 중 Resveratrol의 효능은? , 2011) 그 밖에 모세혈관 강화능이 있는 rutin, resveratrol과 같은 생리기능성 물질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Resveratrol(trans-3,5,4'-trihydroxystilbene)은 여러 식물에 존재하는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 계열의 polyphenol 물질로 혈소판응집 억제, 심혈관계질환 예방, 신경보호 작용, 항암 효과, 항비만 효과 등을 가지며, 포도껍질, 블루베리, 땅콩 등의 식물에서 발견된다. 최근에는 장수유전자를 활성화하는 물질로도 알려져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Baur et al.
활성산소종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2011). 활성산소종에는 일중 항산소(1O2), superoxide(O2・), hydroxyl radical(OH・) 등이 있으며 이들은 매우 불안정하므로 세포의 지질, 단백질, 핵산 등을 공격하여 세포기능을 손상시켜 그 결과 암, 염증, 심장질환 등의 질병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노화와 다양한 만성질환의 원인이 활성산소종에 기인한다는 학설이 인정됨에 따라 이들 활성산소종을 소거하는 항산화물질 및 이들 항산화물질을 다량 함유하는 소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Hog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rnous, A., D.P. Makris, and P. Kefalas. 2001. Effect of principal polyphenol components in relation to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aged red wines. J. Agric. Food Chem. 49:5736-5742. 

  2. Bae, S.H. and H.J. Suh.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five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in Korea. LWT-Food Sci. Technol. 40:955-962. 

  3. Baur, J.A., K.J. Pearson, and N.L. Price. 2006. Resveratrol improves health and survival of mice on a high-calorie diet. Nature 444:337-42. 

  4. Benzie, I.F. and J.J. Strain.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70-76. 

  5. Brand-Williams, W., M.E. Cuvelier, and C. Berset. 1995. Use of a free-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28:25-30. 

  6. Chang, S.W., H.J. Kim, J.H. Song, K.Y. Lee, I.H. Kim, and Y.T. Rho. 2011. Determination of several phenolic compounds in cultivars of grape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8: 328-334. 

  7. Chen, Z., C. Zhu, and Z. Han. 2011. Effects of aqueous chlorine dioxide treatment on nutritional components and shelf-life mulberry fruit (Morus alba L.). J. Biosci. Bioeng. 111:675-681. 

  8. Guo, C., J. Yang, J. Wei, Y. Li, J. Xu, and Y. Jiang. 2003. Antioxidant activities of peel, pulp, and seed fractions of common fruits as determined by FRAP assay. Nutr. Res. 23:1719-1726. 

  9. Hogan, S., H. Chung, L. Zhang, J. Li, Y. Lee, Y. Dai, and K. Zhou. 2010. Antiproliferative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anthocyanin-rich extract from acai. Food Chem. 118:208-214. 

  10. Kim, A.J., M.W. Kim, N.Y. Woo, S.Y. Kim, H.B. Kim, Y.H. Kim, Y.H. Lim, and M.H. Kim. 2004. Study o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capacity of mulberry fruit (Ficus-4x). Korean J. Food Sci. Technol. 36:995-1000. 

  11. Kim, E.O., Y.J. Lee, H.H. Leam, I.H. Seo, M.H. Yu, D.H. Kang, and S.W. Choi. 2010.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s from seven different Morus alba L.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467-1475. 

  12. Kim, H.B., H.S. Bang, H.W. Lee, Y.S. Seuk, and G.B. Sung. 1999.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 syncarp. Korean J. Seric. Sci. 41:123-128. 

  13. Kim, H.R., Y.H. Kwon, H.B. Kim, and B.H. Ahn. 2006.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and wine with varieti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209-214. 

  14. Kim, S.Y., K.J. Park, and W.C. Lee. 1998.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6:204-209. 

  15. Kim, T.W., Y.B. Kwon, J.H. Lee, I.S. Yang, J.K. Youn, H.S. Lee, and J.Y. Moon. 1996. A study on the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 Sci. 38:100-107. 

  16. Koca, I. and B. Karadeniz. 2009. Antioxidant properties of blackberry and blueberry fruits grown in the black sea region of Turkey. Sci. Hortic. 121:447-450. 

  17. Konic-Ristic, A., K. Savikin, G. Zdunic, T. Jankovic, Z. Juranic, N. Menkovic, and I. Stankovic. 2011. Biological 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different berry juices. Food Chem. 125:1412-1417. 

  18. Lou, H., Y. Hu, L. Zhang, P. Sung, and H. Lu. 2012.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the changes of total flavonoid, total phenols,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sugars during mulberry (Morus alba L.) fruits development by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RGB intensity values. LWT-Food Sci. Technol. 47:19-24. 

  19. Moyer, R.A., K.E. Hummer, C.E. Finn, B. Frei, and R.E. Wrolstad. 2002. Anthocyanins, phenolic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diverse small fruits: Vaccinium, Rubus, and Ribes. J. Agric. Food Chem. 50:519-525. 

  20. Nilsson, J., D. Pillai, G. Onning, C. Persson, A. Nilsson, and B. Akesson. 2005. Comparison of the 2,2'-azinobis-3-ethylbenzotiazoline- 6-sulfonic acid (ABTS)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methods to assess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in extracts of fruit and vegetable. Mol. Nutr. Food Res. 49:239-246. 

  21. Obon, J.M., M.C. Diaz-Garcia, and M.R. Castellar. 2011. Red fruit juice quality and authenticity control by HPLC. J. Food Compos. Anal. 24:760-771. 

  22. Park, S.W., Y.S. Jung, and K.C. Ko. 1997. Quantitative analysis of anthocyanins among mulberry cultivars and their pharmacological screening. J. Kor. Soc. Hort. Sci. 38:722-724. 

  23. Pincemail, J., C. Kevers, J. Tabart, J.O. Defraigne, and J. Dommes. 2012. Cultivars, culture conditions, and harvest time influence phenolic and ascorbic acid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strawberry (Fragaria ${\times}$ ananassa). J. Food Sci. 77:C205-210. 

  24. Prior, R.L., X. Wu, and K. Schaich. 2005. Standardized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 Agric. Food Chem. 53:4290-4302. 

  25. Re, R.,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1231-1237. 

  26. Shen, Y., L. Jin, P. Xiao, Y. Lu, and J. Bao. 2009.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tioxidant capacity in rice grain and their relations to grain color, size, and weight. J. Cereal Sci. 49:106-111. 

  27. Song, W., H.J. Wang, P. Bucheli, P.F. Zhang, D.Z. Wei, and Y.H. Lu. 2009. Phytochemical profiles of different mulberry (Morus sp.) species from China. J. Agric. Food Chem. 57:9133-9140. 

  28. Sung, G.B., H.B. Kim, I.P. Hong, S.H. Nam, and I.M. Chung. 2007. Characteristics of newly bred mulberry cultivar Daesungppong (Morus Lhou (Ser.) Koidz.) for mulberry fruit production. Korean J. Seric. Sci. 49:56-59. 

  29. Trela, B.C. and A.L. Waterhouse. 1996. Resveratrol: Isomeric molar absorptivities and stability. J. Agric. Food Chem. 44: 1253-1257. 

  30. Vinson, J.A., X. Su, L. Zubik, and P. Bose. 2001. Phenol antioxidant quantity and quality in Foods: Fruits. J. Agric. Food Chem. 49:5315-5321. 

  31. Wang, S.Y. and H. Jiao. 2000. Scavenging capacity of berry crops on superoxide radicals, hydrogen peroxide, hydroxyl radicals, and singlet oxygen. J. Agric. Food Chem. 48:5677-5684. 

  32. Zheng, Y., C.Y. Wang, S.Y. Wang, and W. Zheng. 2003. Effect of high-oxygen atmospheres on blueberry phenolics, anthocyanins, and antioxidant capacity. J. Agric. Food Chem. 51:7162-71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