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융합시대 취약계층에 대한 정보격차 해소 방안
A Study on Efficient Policies of solving the Digital Divide for Weak Layers in the Smart Phone Convergence Era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0 no.1, 2012년, pp.29 - 38  

강월석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양해술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롭게 다가오고 급변하는 스마트 융합환경속에서 정보격차 해소 이슈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전통적인 정보격차의 개념과 범주에 대해 정의하고 그동안 정부가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펼쳐온 노력 사항에 대해 알아보고 해외주요 국가들의 스마트 융합환경속에서의 정보격차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외 주요국과 한국과의 스마트폰 환경 하에서의 장노년층, 장애인, 저소득층등 취약 계층별 정보 격차 현상에 대해 살펴보고 특별한 차별점을 인식하려 노력하였다. 이에 따른 시사점 분석을 통해 필요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 그 달성을 위해 우리 정부나 산업계, 학계, 사회단체 등에서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인가를 제시하였다. 정보통신 일등국가로서의 위치를 계속 유지해나가는 것은 전 국민이 평등하게 정보를 공유하여 모두가 삶이 행복한 사회를 구현할 때 비로소 가능해 지는 것이라고 믿는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전략안이나 제언이 정부의 정보통신정책 마련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smart convergence occurs, solving the digital divide issue for weak layers such as the elderly, handicapped and poor groups is becoming an emerging issue. This study aims to promote information service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weak layers and to bridge the digital divide among 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 조치법 제2조2항에 의해 사업초기에 시장 진입이 어려운 벤처기업들에 대해 적법한 절차에 의거 인적, 물적, 기술적, 마케팅적 홍보, 세무적 지원을 해주고 있다[9]. 과거 산업화 과정에서 닦고 경험한 노하우를 이용하여 새로운 기회에 도전하고자 하는 장노년층에게 벤처기업창업의 기회를 최대한 지원해주는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다. 해당분야 능력을 보유한 장노년층의 장점 및 경험을 살려 취업 및 창업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한 교육과정도 개설 실시한다.
  • 세계 IT 선도 국가를 지향하므로서 국가경쟁력 유지 및 향상을 기하는 정책을 펴 왔을 뿐만 아니라 취약계층에 대한 정보격차 해소가 궁극적으로 정보통신 강국으로 발돋움 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사례를 조사 분석해보고 그 추세에 따른 국내 정보격차 해소 정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 출산율이 매우 저조하고 고령화 속도는 OECD 국가 중 가장 빨라 머지않은 미래에 장노년층의 전체 인구 중 비중이 매우 높아질 한국의 입장에서 이들 계층에 대한 선제적인 정보격차 해소 노력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12].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의 제시 내용들을 그대로 준용하되 최근 정부나 기업들에서 준비하고 있는 스마트워크 환경에 맞는 실제적인 정책 대응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스마트폰 사용량이 폭증 하면서 이를 둘러싼 생태계 변화속에서 정보격차 해소 이슈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정보격차의 개념과 범주에 대해 정의하고 그동안 정부가 펼쳐온 정보격차 해소 노력 사항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미국과 일본등 주요 국가들의 스마트 융합환경속에서의 정보격차 현황 및 노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외 주요국과 한국과의 스마트폰 환경 하에서의 취약 계층별 정보 격차 현상에 대해 살펴보고 특별한 차별점을 인식하려 노력하였다.
  • 사실상 이러한 내용들을 가지고 과거 PC환경이나 유무선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도구나 시설의 손쉬운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접근성 향상 방법, 이용능력 증진 및 정보화 유용성 인식제고를 위한 정보화 교육 채널 확대 등의 교육강화안, IT의 활용을 통해 경제 활동이 가능해 지고 인간다운 삶이 보장 되도록 하는 방안 등 무수한 방법론이 그동안 정부, 학계 등에서 제시되어 왔다. 새로운 환경 속에서의 실현 가능한 안에 대한 구체적인 제시가 없었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거의 연구나 정책 방안들을 그대로 새로운 스마트융합 환경에서 보다 더 확대 적용하는 가운데 그보다 더욱더 진화된 방식에 의한 정보격차해소 방안과 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취약계층중에서도 정보 격차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잣대가 연령을 기준으로 한 세대 차이라는 기존 연구 결과에[1][22] 주목하여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 되고 있는 한국이 미래 정보통신 강국으로 계속 유지되기 위해 절실히 필요하다 생각되는 연령, 세대 차이와 연결되는 장노년층에 대해 스마트 융합 한경 하에서 주요 정부나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워크 환경에 맞는 정보격차해소 정책 방안을 제시 해보고자 한다.
  • 새로운 환경 속에서의 실현 가능한 안에 대한 구체적인 제시가 없었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거의 연구나 정책 방안들을 그대로 새로운 스마트융합 환경에서 보다 더 확대 적용하는 가운데 그보다 더욱더 진화된 방식에 의한 정보격차해소 방안과 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취약계층중에서도 정보 격차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잣대가 연령을 기준으로 한 세대 차이라는 기존 연구 결과에[1][22] 주목하여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 되고 있는 한국이 미래 정보통신 강국으로 계속 유지되기 위해 절실히 필요하다 생각되는 연령, 세대 차이와 연결되는 장노년층에 대해 스마트 융합 한경 하에서 주요 정부나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워크 환경에 맞는 정보격차해소 정책 방안을 제시 해보고자 한다. 스마트정보문화확립, 스마트실버비즈니스센터, 스마트실버워크센터, 스마트실버재택근무제도, 스마트실버 교육센터 마련의 5가지 안을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정보격차의 개념과 범주에 대해 정의하고 그동안 정부가 펼쳐온 정보격차 해소 노력 사항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미국과 일본등 주요 국가들의 스마트 융합환경속에서의 정보격차 현황 및 노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외 주요국과 한국과의 스마트폰 환경 하에서의 취약 계층별 정보 격차 현상에 대해 살펴보고 특별한 차별점을 인식하려 노력하였다. 고령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국가적 상황에서 주요국과의 비교를 통해 취약계층 중 특히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률이 상당히 열세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ECD보고서는 정보격차를 무엇으로 정의하고 있는가? 미 상무부는 정보격차 실태보고서에서 정보격차를 “신기술에 접근하는 집단과 그렇지 못하는 집단 간의 격차, 정보접근능력을 가진 자 와 가지지 못한 자 사이의 분할”로 정의하였다. OECD보고서는 “서로 다른 사회경제적 수준에 있는 개인, 가구, 기업, 지역들 간에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접근기회와 다양한 활동을 위한 인터넷 이용에서의 차이”로 정의하고 있다. 한국은 2001년 제정된 ‘정보격차 해소에 관한 법률’에서 정보격차를 “경제적․지역적․신체적 또는 사회적 여건으로 인하여 정보통신망을 통한 정보통신서비스에 접근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기회에 있어서의 차이”로 규정, 정보격차를 정보 네트워크에 접근한 자와 그렇지 못한자 사이의 격차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4].
정보격차의 역량 격차는 무엇을 말하는가? 접근격차는 컴퓨터, 인터넷등 정보통신 인프라 접근 수준을 말하며 다양한 정보통신기기 보유 정도, PC 기종, 인터넷 접속속도, 컴퓨터, 인터넷 접근 가능 정도를 말한다. 역량 격차는 컴퓨터 및 인터넷 사용능력 수준 격차를 말한다. 양적 활용 격차는 컴퓨터, 인터넷의 양적 사용 수준의 격차를 말하고 질적 활용격차는 컴퓨터, 인터넷 사용의 질적 사용 수준의 격차로서 업무나 학업, 가사, 여가, 사회활동, 의사소통 및 대인 관계 형성 등 일상생활 부문별 도움 정도, 세부 권장 용도별 이용 정도 등을 말한다[18].
미 상무부는 정보격차 실태보고서에서 정보격차를 무엇이라 정의했는가? 정보격차(Digital Divide)라는 용어가 세상에 등장한 것은 1995년 뉴욕타임즈 저널리스트인 Gary Andrew Pole이 Schoolnet Programs라는 기사에서 처음으로 언급하기 시작하면서 부터였다. 미 상무부는 정보격차 실태보고서에서 정보격차를 “신기술에 접근하는 집단과 그렇지 못하는 집단 간의 격차, 정보접근능력을 가진 자 와 가지지 못한 자 사이의 분할”로 정의하였다. OECD보고서는 “서로 다른 사회경제적 수준에 있는 개인, 가구, 기업, 지역들 간에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접근기회와 다양한 활동을 위한 인터넷 이용에서의 차이”로 정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