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체 대장암 세포주 SW480에서 재배 와송의 세포 사멸 유도 효과
Cultivated Orostachys japonicus Induces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3, 2012년, pp.317 - 323  

김재용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은정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원영선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주혜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동영 (순천대학교 원예학과) ,  서권일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배 와송의 항암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SW480 대장암세포에서 재배 와송 추출물의 apoptosis 유도 효과 및 그 기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재배 와송과 천연 와송 메탄올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재배 와송은 천연 와송과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농도 300 ${\mu}g$/mL의 재배 와송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천연 와송 메탄올 추출물 보다 더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재배 와송 메탄올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은 각각의 물,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 중 와송 클로로포름 분획물에서 암세포의 증식 억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와송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apoptosis 유도 효과는 Sub-G1기의 함량 증가와 핵의 응축 및 apoptotic bodies 생성 그리고 DNA 분절을 통해 나타났다. 한편, 와송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caspase 활성은 caspase inhibitor 처리군에서 암세포의 증식 억제효과가 확연히 저해됨을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caspase 활성 중 caspase-3 및 -9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와송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apoptosis 관련 단백질들인 Bid, Bcl-2 및 PARP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tBid 및 Bax 단백질의 발현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본 연구 결과, 재배 와송과 천연 와송은 유사한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재배 와송의 클로로포름 추출물은 caspase 의존적인 경로를 통해 apoptosis를 일으켜 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anticancer activities and the mechanism of chloroform fractions from cultivated Orostachys japonicus (CFCOJ) in human colon cancer cells. CFCOJ markedly decreased viable cell numbers in both a dose-dependent and time-dependent manner within SW480 cells. Ce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재배 와송이 천연 와송과 같이 뛰어난 항암 및 생리활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재배 와송의 효능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세포에서 재배 와송과 천연 와송의 항암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재배 와송 분획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및 apoptosis 유도 효과를 조사하였다.
  • 재배 와송의 항암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SW480 대장암세포에서 재배 와송 추출물의 apoptosis 유도 효과 및 그 기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재배 와송과 천연 와송 메탄올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재배 와송은 천연 와송과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농도 300 µg/mL의 재배 와송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천연 와송 메탄올 추출물 보다 더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와송이란 무엇인가? 와송(Orostachys japonicus)은 암송, 옥송, 작엽하초, 바위솔 등으로도 불리는 돌나무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 오래된 기와지붕이나 산위의 바위에서 자란다(9).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fatty acid ester류, flavonoid류, triterpenoid류, sterol류 및 aromatic acid류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어 (10-13), 면역(14), 항산화(15,16), 항균(17), 항고지혈증(18) 및 항당뇨 효과(19) 등 다양한 약리적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와송은 어떠한 생리 활성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는가? 와송(Orostachys japonicus)은 암송, 옥송, 작엽하초, 바위솔 등으로도 불리는 돌나무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 오래된 기와지붕이나 산위의 바위에서 자란다(9).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fatty acid ester류, flavonoid류, triterpenoid류, sterol류 및 aromatic acid류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어 (10-13), 면역(14), 항산화(15,16), 항균(17), 항고지혈증(18) 및 항당뇨 효과(19) 등 다양한 약리적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와송 추출물이 인간 급성 전골수성백혈병세포주인 HL60 세포에서 p53 단백질 발현을 통해 apoptosis를 유도하며(20), HT-29 대장암 세포에서 세포주기 억제를 통해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고 보고되고 있고(21,22), 위암, 간암, 자궁경부암 및 폐암 세포 등 다양한 암세포에서도 유사한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23).
대장암 치료 방법의 종류와 그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 중 대장암은 매년 그 발생증가율이 평균 암 발생증가율의 두배 이상으로 높은 발생빈도를 나타내고 있어 그 심각성이 대두 되고 있다(3-5). 대장암의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수술 이외에 화학 요법, 방사선요법 등이 행해지고 있으나, 이는 면역기능저하, 유전자 손상 및 탈모와 같은 여러 부작용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어 효과적인 치료에 많은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6,7). 이로 인해 안전성이 높고 항암 효과가 높은 천연 자원 소재의 항암제에 관한 개발이 요구되어 현재 안전성이 높은 생리활성물질 탐색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개발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im SH. Effects of the combination of Umbilicaria esculenta extract and anticancer drugs on human cancer cells. MS Thesis, Energy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Shiheung, Korea (2010) 

  2. Lanier J. Alarming increase in Alaska natives. Int. J. Cancer. 18: 409-412 (2006) 

  3. Stewart BW, Kleihues P. World Cancer Report. IARC Press, Lyon, France. pp. 183-187 (2003) 

  4. Boyle P, Ferlay J.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Europe, 2004. Ann. Oncol. 16: 481-488 (2005) 

  5. Jemal A, Murray T, Samuels A, Ghafoor A, Ward E, Thun MJ. Cancer statistics, 2003. CA. Cancer J. Clin. 53: 5-26 (2003) 

  6. Andersen C, Adamsen L, Moeller T, Midtgaard J, Quist M, Tveteraas A, Rorth M. The effect of a multidimensional exercise programme on symptoms and side-effects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The use of semi-structured diaries. Eur. J. Oncol. Nurs. 10: 247-262 (2006) 

  7. Shariati A, Haghighi S, Fayyazi S, Tabesh H, Kalboland MM. The effect of exercise on the severity of the fatigue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chemotherapy in Ahwaz. Iran J. Nurs. Midwifery Res. 15: 145-149 (2010) 

  8. Park KU, Kim JY, Seo KI. Antioxidative and cytotoxicity activities against human colon cancer cells exhibited by edible crude saponins from soybean cake. Korean J. Food Preserv. 16: 754-758 (2009) 

  9. Lee SJ, Song EJ, Lee SY, Kim KBWR, Kim SJ, Yoon SY, Lee CJ, Ahn DH.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stem and root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nd their heat and pH Stabil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71-1579 (2009) 

  10. Choi SY, Kim JG, Sung NJ.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racteristics and NDMA formation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148-156 (2008) 

  11. Park HJ, Young HS, Kim JO, Rhee SH, Choi JS. A study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ean J. Pharmacogn. 22: 78-84 (1991) 

  12. Park JG, Park JC, Hur JM, Park SJ, Choi DR, Shin DY, Park KY, Cho HW, Kim MS. Phenolic compounds from Orostachys japonicus having anti-HIV-1 protease activity. Nat. Prod. Sci. 6: 117-121 (2000) 

  13. Park HJ, Lim SC, Lee MS, Young HS. Triterpene and steroids from Orostachys japonicus. Korean J. Pharmacogn. 25: 20-24 (1994) 

  14. Kwon J, Han KS. Effec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on the immune system.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315-320 (2004) 

  15. Choi SY, Chung MJ, Sung NJ.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bility of m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ccording to harvest ti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157-164 (2008) 

  16. Lee SJ, Seo JK, Shin JH, Lee HJ, Sung NJ. Antioxidant activity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ccording to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05-611 (2008) 

  17. Yoon SY, Lee SY, Kim KBWR, Song EJ, Kim SJ, Lee SJ, Lee CJ, Ahn DH.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Orostachys japonic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18 (2009) 

  18. Kim SG, Choi JW, Park HJ, Lee SM, Jung HJ.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the flavonoid-rich fraction from the methanol extrect of Orostachy japonicus in rats. Korean J. Pharmacogn. 40: 51-58 (2009) 

  19. Zhang GF. Anti-diabetic potential of Orostachys japonicu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es mellitus rats.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2008) 

  20. Oh CH, Bae JB, Kim NS, Jeon H, Han KS. Effect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on apoptosis induction of human leukemia HL60 Cells. Korean J. Pharmacogn. 40: 118-122 (2009) 

  21. Choi SD, Nam SH. Cytotoxicitie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gainst cancer cell lines. J. Industrial Technology Res. Inst. 12: 25-30 (2005) 

  22. Ryu DS, Baek GO, Kim EY, Kim KH, Lee DS. Effects of polysaccharides derived from Orostachys japonicus on induction of cell cycle arrest and apoptotic cell death in human colon cancer cells. BMB Reports 43: 750-755 (2010) 

  23. Kim KH, Kim EY, Kim YO, Baek GO, Kim HB, Lee DS.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polysaccharides and oligosaccharides of Orostachys japonicus. Korean J. Microbiol. 40: 334-341 (2004) 

  24. Shin DY, Lee YM, Kim HJ. Anatomy and artificial seed propagation in anti-cancer plant Orostachys japonicus A. Berher. Korean J. Crop. Sci. 39: 146-157 (1994) 

  25. Papazisis KT, Geromichalos GD, Dimitriadis KA, Kortsaris AH. Optimization of the sulforhodamine B colorimetric assay. J. Immunol. Methods 208: 151-158 (1997) 

  26. Wan CK, Wang C, Cheung HY, Yang MS, Fong WF. Triptolide induces Bcl-2 cleavage and mitochondria dependent apoptosis in p53-dependent HL-60 cells. Cancer Lett. 241: 1-11. (2005) 

  27. Kim SY. Cytotoxicites and the mechanism by celastrol o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Korea (2008) 

  28. Dejeana LM, Martinez-Caballero S, Manon S, Kinnally KW. Regulation of the mitochondrial apoptosis-induced channel, MAC, by BCL-2 family proteins. Biochim. Biophys. Acta 1762: 191-201 (2006) 

  29. Gross A, Yin XM, Wang K, Wei MC, Jockel J, Milliman C, Erdju-ment-Bromage H, Tempst P, Korsmeyer SJ. Caspase cleaved BID targets mitochondria and is required for cytochrome c release, while BCL-XL prevents this release but not tumor necrosis factor-R1/Fas death. J. Biol. Chem. 274: 1156-1163 (1999) 

  30. Wang C, Youle RJ. The role of mitochondria in apoptosis. Annu. Rev. Genet. 43: 95-118 (2009) 

  31. Kischkel FC, Lawrence DA, Tinel A, LeBlanc H, Virmani A, Schow P, Gazdar A, Blenis J, Arnott D, Ashkenazi A. Death recetor recruitment of endogenous caspase-10 and apoptosis initiation in the absence of caspase-8. J. Biol. Chem. 276: 46639-46646 (2001) 

  32. Meng L, Sefah K, O'Donoghue MB, Zhu G, Shangguan D, Noorali A, Chen Y, Zhou L, Tan W. Silencing of PTK7 in Colon Cancer cells : Caspase-10-dependent apoptosis via mitochondrial pathway. PLoS ONE 5: e14018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