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삼덩굴 메탄올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및 항암 활성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Humulus japonicu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2, 2012년, pp.357 - 361  

이연리 (대전보건대학 식품영양과) ,  김기연 (대전보건대학 전통조리과) ,  이상훈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민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혜진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potential of Humulus japonicu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ntitumor activities were measured.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Humulus japonicus were $30.13{\pm}1.13$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환삼덩굴에 관한 연구로는 환삼덩굴의 항산화성(Park 등 1994)과 식용유지의 항산화 및 항돌연변이에 대한 효과(Park 등 1995)에 대하여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물자원으로 풍부하게 존재하는 환삼덩굴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다양한 항산화 활성 및 항암활성을 측정하여 기능성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 Values followed by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삼덩굴의 분포지역은?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은 삼과에 속하는 1년초로서, 7∼8월에 개화하는 자웅이주의 식물이며, 우리나라 전역과 동아시아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혈압강하작용, 이뇨작용, 항균작용들이 알려져 있다(Park 등 2000).
환삼덩굴은 무엇인가?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은 삼과에 속하는 1년초로서, 7∼8월에 개화하는 자웅이주의 식물이며, 우리나라 전역과 동아시아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혈압강하작용, 이뇨작용, 항균작용들이 알려져 있다(Park 등 2000).
환삼덩굴의 약리작용은 어떤 것이 있는가?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은 삼과에 속하는 1년초로서, 7∼8월에 개화하는 자웅이주의 식물이며, 우리나라 전역과 동아시아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혈압강하작용, 이뇨작용, 항균작용들이 알려져 있다(Park 등 2000). 환삼덩굴에 관한 연구로는 환삼덩굴의 항산화성(Park 등 1994)과 식용유지의 항산화 및 항돌연변이에 대한 효과(Park 등 1995)에 대하여 보고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1199-1203 

  2. Bloknina O, Virolainen E, Fagerstedt KV. 2003. Antioxidants, oxidative damage and oxygen deprivation stress. Ann Bot 91:179-194 

  3. Choi Y, Kim MH, Shin JJ, Park JM,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723-727 

  4.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5. Do JR, Kim Kj, Jo Jh, Kim YM, Kim BS, Kim HK, Lim SD, Lee SW. 2005. Antimicrobial, anti-hypetens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206-213 

  6. Duh PD, Tu YY, Yen GC.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Harng Jyur(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Lebensm Wiss Technol 32:269-277 

  7. Halliwell B, Gutteride JMC, Aruoma OI. 1987. The deoxyibose method: A simple test tube assay for determination of rate constants for reaction of hydroxyl radicals. Anal Biochem 165:215-219 

  8. Hochestein P, Atallah AS. 1988. The nature of oxidant and antioxidant systems in the inhibition of mutation and cancer. Mutation Res 202:363-375 

  9. Ishiyanma M, Tominaga H, Shiga M, Sasamoto K, Ohkura Y, Ueno KA. 1996. Combined assay of cell viability and in vitro cytotoxicity with a highly water-soluble tetrazoliumsalt, neutral red and crystal violet. Biol Pharm Bull 19: 1518-1520 

  10.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y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555-559 

  11. Jo JE, Kim KH, Kim MS, Choi JE, Byun MW, Yook HS. 2011. Antioxidant activity from different root parts of 6-year-old Panax ginseng C.A. Meyer(Yun-poo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493-499 

  12. Jung HK, Kim YJ, Park BK, Park SC, Jeong YS, Hong JH. 2007.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for screening phytobiotic materi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235-1240 

  13. Jung SJ, Lee JH, Song HN, Seong NS, Lee SE, Baek NI.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135-140 

  14. Kim BM, Jun JY, Park YB, Jeong IH.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seawee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1097-1101 

  15.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333-338 

  16. Lee HJ, Kim MJ, Park JH, Park EJ. 2012. Antioxidative and antigenotoxic activity of white and yellow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289-294 

  17. Lee KJ, Park MH, Park YH, Lim SH, Kim KH, Kim YG, Ahn YS, Kim HY. 2011.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c oxide production of ethanol extracts from Astragali membranaceus Bunge and A. membranaceus Bunge var. mongholicus Hisiao. J Korean Soc Food Sci Nut 40:1793-1796 

  18. Lee SH, Kim A, Lee JH, Kim MH, Lee BS, Jee YT, Bin JH, Ha JM. 2011. Effects of minerals added to medicinal plant extracts on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lcohol metabolism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393-400 

  19. Lee SJ, Chung HY, Lee IK, Yoo ID. 199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from ethanol extracts of Artemisia vulgari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1:815-822 

  20. Lee YM, Bae JH, Jung HY, Kim JH, Park DS.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29-36 

  21. Min DR, Park SY, Chin KB. 2010. Evaluation of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stem and red cabbage, and their application to pork patti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 J Food Sci Ani Resour 30:291-297 

  22. Nam SH, Kang MY. 2000. Screening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141-147 

  23. Osborn-Barnes HT, Akoh CC. 2003. Effect of ${\alpha}$ -tocopherol, ${\beta}$ - carotene, and isoflavones on lipid oxidation of structured lipid-based emulsions. J Agric Food Chem 51:6856-6860 

  24. Park SW, Chung SK, Park JC. 2000. Active 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leteolin-7-O- ${\beta}$ -D-glucoside isolated from Humulus japonic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106-110 

  25. Park SW, Kim SH, Chung SK. 1995. Antimutagenic effects and isolation of flavonoids from Humulus japonicus. Kor J Food Sci Technol 29:897-901 

  26. Park SW, Woo CJ, Chung SK, Chung KT. 1994.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es of solvent fraction from Humulus japonicus. Kor J Food Sci Technol 26:464-470 

  27. Park SY, Kim JW. 1992. Screening and isolation of the antitumor agents from medicinal plants (I). Korean J Pharmacogn 23:264-267 

  28. Reiter RJ. 1995. Oxidative process and antioxidative defense mechanism in the aging brain. FASEB J 9:526-533 

  29. Shi J, Gong J, Liu J, Wu X, Zhang Y. 2009. Antioxidant capacity of extract from edible flowers of Prunus mume in China and its active components. LWT-Food Sci Technol 42:477-482 

  30. Yen GC, Hsieh CL. 1998.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Du-zhong(Eucommia ulmoides) toward various lipid peroxidation models in vitro. J Agric Food Chem 46:3431-3436 

  31. Yoon KY, Lee SH, Shin SR. 2005.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arcodon aspr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942-9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