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면역증진 효능
Immunostimulating Effect of Mycelium Extract of Phellinus linteus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3 no.2 = no.169, 2012년, pp.157 - 162  

이병의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시용 (한국화학연구원) ,  김의한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  김영희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  곽경아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  송호연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munostimulating effect of mycelia extract of Phellinus linteus (PLM) on human monocyte THP-1 and rat peritoneal macrophage cell, we examined measuring cytokine secretion (IL-6 and TNF-${\alpha}$). The production of IL-6 and TNF-a in human monocyte THP-1 wa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버섯균사체 대량생산기법을 통하여 생산된 상황버섯 균사체를 활용하여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식품 및 사료첨가제 등을 개발하기 위하여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PLM)의 세포독성평가 및 면역증진효능을 조사하였다. 마우스 섬유아세포주 L-929 cell을 대상으로 실시한 세포독성 실험결과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PLM)은 10 µg/ml의 모든 농도에서 L-929 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 그러나 자실체를 이용한 인공재배는 수년의 시간이 소요되고 가격도 상당히 고가여서 대중화의 어려움이 많았으나 최근 버섯균사체에 생산기법이 발달하여 균사체를 이용한 상황버섯 기능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 등은 버섯균사체 대량생산 공정을 확립하고 표준화를 통해 생산된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면역 활성에 대한 기전작용을 연구하고 향후 균사체 추출물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뿐만 아니라 적용범위를 확대하여 사료첨가제 같이 신소재개발에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등균류 담자 균류에 속하는 버섯류의 생리활성 물질은 무엇인가? 1) 이 중 고등균류 담자 균류에 속하는 버섯류(basidiomycetes)는 맛과 영양, 독특한 향으로 식용으로 애용되고 있으며 또한 항암활성물질, 면역 증강물질 등 각종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이 보고 되어 있다. 버섯류로부터 유래된 생리활성 물질들은 대부분 beta-glucan 계 다당체(polysaccharide), 혹은 단백결합다당체 (protein bound polysaccharide)이며 일례로 표고버섯으로부터 분리된 Lentinan2)과 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Meshima3) 등은 현재 항암 및 면역요법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다당체는 면역세포인 T 세포와 B 세포의 활성에 관련되어 항암효과를 나타내며,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다당체의 구조 적 특징에 대해서도 보고되어 있다.
면역증강물질에 대한 탐색연구로 진행된 것은 무엇이 있는가? 면역계를 자극하여 항암효과나 숙주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면역증강물질에 대한 탐색연구는 고등식물(higher plant), 고등균류(higher fungi), bacteria, 조류(algae)등 식물계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조사되어 왔다. 1) 이 중 고등균류 담자 균류에 속하는 버섯류(basidiomycetes)는 맛과 영양, 독특한 향으로 식용으로 애용되고 있으며 또한 항암활성물질, 면역 증강물질 등 각종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이 보고 되어 있다.
버섯류의 이점은 무엇인가? 면역계를 자극하여 항암효과나 숙주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면역증강물질에 대한 탐색연구는 고등식물(higher plant), 고등균류(higher fungi), bacteria, 조류(algae)등 식물계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조사되어 왔다. 1) 이 중 고등균류 담자 균류에 속하는 버섯류(basidiomycetes)는 맛과 영양, 독특한 향으로 식용으로 애용되고 있으며 또한 항암활성물질, 면역 증강물질 등 각종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이 보고 되어 있다. 버섯류로부터 유래된 생리활성 물질들은 대부분 beta-glucan 계 다당체(polysaccharide), 혹은 단백결합다당체 (protein bound polysaccharide)이며 일례로 표고버섯으로부터 분리된 Lentinan2)과 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Meshima3) 등은 현재 항암 및 면역요법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Franz, G. (1989) Polysaccharides in pharmacy: current applications and future concepts. Planta Med. 55: 493-497. 

  2. Goro, C., Junji, Hamuro, Yukiko, Y. M., Yoshiko A. and Fumiko, F. (1970) Fraction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polysaccharides with marked antitumor activity, especially lentinan, from Lentinus edodes (Berk.) sing. (an Edible Mushroom). Cancer Res. 30: 2776-2781. 

  3. Han, M. W., Ko, K. S. and Chung, K. S. (1995) Liquid cultivation of Phellinus linteus mycelium and preparation of antitumor and immunostimulating substance. Korea Patent. 95-7860. 

  4. Kim, Y. S., Lee, B. E., Cho, K. B., Lee, Y. T. and Lee, D. J. (2000)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mushroom( Phellinus linteus) cultured on oak and mulberry. Kor. J. Immuno. 22: 165-171. 

  5. Song, C. H., Ra, K. S., Yang, B. K. and Jeon, Y. J. (1998)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Phellinus linteus. Kor. J. Mycol. 26: 86-90. 

  6. Oh, G. T., Han, S. B., Kim, H. M., Han, M. W. and Yoo, I. D. (1992)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Phellinus linteus extracts to B-lymphocyte. Arch. Pharm. Res. 15: 379-381. 

  7. Lee, J. H., Cho, S. M., Song, K. S., Hong, N. D. and Yoo, I. D. (1996) Characterization of carbohydrate-peptide linkage of acidic hetero-glycopeptide with immuno-stimulating activity from mycelium of Phellinus linteus. Chem. Pharm. Bull. 44: 1093-1095. 

  8. Song, K. S., Cho, S. M., Lee, J. H., Kim, H. M., Han, S. B., Ko, K. S. and Yoo, I. D. (1995) B-lymphocyte-stimulating polysaccharide from Mushroom Phellinus linteus. Chem. Pharm. Bull. 43: 2105-2108. 

  9. Lim, B. O., Hong, D. P., Yun, J. Y., Jeoung, Y. J., Lee, J. Y., Chung, H. G., Choi, D. K., Choi, W. S., Cho, B. G., Park, T. K. and Park, D. K. (2005) Immunoregulatory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Berk. et Curt) Teng extract on the cytokine production, T cell population and immunoglobulin E Level in murine mesenteric lymph node lymphocytes. Korean J. Med. Crop Sci. 13: 213-218. 

  10. Lee, J. H., Cho, S. M., Song, K. S., Han, S. B., Kim, H. M., Hong, N. D. and Yoo, I. D. (1996) Immunostimulation activity and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s from mycelium of Phellinus linteus. J. Microbiol. Biotechnol. 6: 213-218. 

  11. Ryu, H. S. (2011) Effects of a corn Extract on mouse splenocyte and cytokine production by peritoneal macroph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65-70. 

  12. Ioannidou, E. (2006) Therapeutic Modulation of Growth Factors and Cytokines in Regenerative Medicine, Curr. Pharm. Des. 12: 2397-2408 

  13. Molloy, R. G., Riordain, M. O., Holzheimer, R., Nestor, M., Collins, K., Mannick, J. A. and Rodrick, M. L. (1993) Mechanism of increased tumor necrosis factor production after thermal injury. J. Immunol. 151: 2142-2149. 

  14. Barnes, P. J. and Liew, F. Y. (1995) Nitric oxide and asthmatic inflammation. Immunol Today 16: 128-130. 

  15. 김헌, 김용대, 엄상용, 장연위, 김난식, 한윤수, 신경섭, 송 형근, 박순영, 김정수, 강종원 (2006) 금사상황버섯 추출물 의 혈중 IL-12, IFN- ${\gamma}$ , TNF- ${\alpha}$ 발현에 미치는 영향.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6: 245-249. 

  16. Lim, B. O., Hong, D. P., Yun, J. Y., Jeoung, Y, J., Lee, J. Y., Chung, H. G., Choi, D. K., Choi, W. S., Cho, B. G., Park, T. K. and Park, D. K. (2005) Immunoregulatory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Berk. Et Curt) Teng extract on the cytokine production, T cell population and immunoglobulin E level in murine mesenteric lymph node lymphocytes. Korean J. Med. Crop Sci. 13: 213-2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