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온과 토양요인을 고려한 난지형 마늘 재배적지 분석
Assessing Southern-type Garlic Suitability with regards to Soil and Temperature Condition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2, 2012년, pp.266 - 271  

김용완 (경상대학교 대학원) ,  장민원 (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홍석영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김이현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난지형 마늘의 생육시기별 기온을 고려하고 토양조건을 반영하여 난지형 마늘의 재배적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난지형 마늘의 재배적지는 영 호남지방을 중심으로 분포되었다. 그 중 최적지와 적지로 분류된 면적이 많은 지역은 나주시 14,058 ha, 정읍시 13,845 ha, 고창군 12,278 ha, 진주시 11,055 ha, 창녕군 9,713 ha 등으로 나타났으며, 난지형 마늘 주생산지의 경우 무안군이 5,216 ha, 해남군 5,092 ha, 고흥군 3,212 ha, 신안군 2,253 ha, 남해군 958 ha로 각각 분석되었다. 그리고 토지이용조건을 추가로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와 주생산지의 실제 난지형 마늘재배면적을 비교한 결과 고흥군과 신안군이 실제 재배면적과 비슷하게 분석되었으며 해남군과 무안군은 실제재배면적보다 크게 나타났고 남해군의 경우는 분석결과가 작게 나타났다. 작물 재배는 여러 가지 생육조건과 사회적 영향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므로 난지형 마늘의 실제 주생산지와 본 연구에서 나타난 난지형 마늘 재배적지는 다소 차이가 있다. 하지만 향후 우리나라에서 난지형 마늘 재배 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재배적지 분석결과를 이용하게 되면 난지형 마늘의 효율적인 재배가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되며 보다 효율적인 재배적지 분석을 위해서는 차후 토양과 기온조건 외에도 농업수리 등 다른 변수들도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land suitability for southern-type garlic cultivation associated with both temperature and soil constraints. The suit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hourly temperature data from 2001 to 2010 at all fifty seven meteorological stations and the soil-ba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난지형 마늘의 생육시기별 기온을 고려하고 토양조건을 반영하여 난지형 마늘의 재배적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난지형 마늘의 재배적지는 영·호남지방을 중심으로 분포되었다.
  • 마늘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생산되는 대표적인 조미채소로 2011년에 전국 재배면적이 24,035 ha, 총생산량은 295,002 ton에 달한다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1). 본 연구에서는 난지형 마늘을 대상작물로 선정하여 재배적지를 분석하였다. 난지형 마늘은 한 지형과는 달리 월동기가 없어 발아 후 겨울철기온 1℃ 이내에서도 영양생육을 하고 봄이 되면 구가 형성된다.
  • 기온조건에 제약을 받는 난지형 마늘은 온난화 되는 한반도 기후변화에 따라 그 재배가능지역이 바뀌고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데 현재와 미래의 적지분석을 위해서는 토양요인과 더불어 기온요인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난지형 마늘을 대상으로 토양조건과 기온조건을 모두 고려하는 재배적지 분석 기법을 정립하고, 최근 10년간의 기온자료를 사용하여 난지형 마늘의 생육시기별 재배가능지역을 지도화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마늘은 어떻게 나뉘어 있는가? 마늘은 우리나라 중부와 남부지방에서 널리 재배되는 대표적인 월동 작물이다. 우리나라에서 마늘은 크게 남해안 및 제주도 등 기온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재배되는 난지형 마늘과 의성, 단양 등 비교적 기온이 낮은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재배되는 한지형 마늘로 나뉜다 (Ha, 2003; Shin et al. 2004).
난지형 마늘 재배의 주산지는 어디인가? 2004). 난지형 마늘 재배의 주산지는 신안, 무안, 해남, 고흥, 남해 등이며 마늘 재배면적의 80% 정도를 점유하고 있다 (Nam et al., 2008).
난지형 마늘의 재배적지를 분석한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는 난지형 마늘의 생육시기별 기온을 고려하고 토양조건을 반영하여 난지형 마늘의 재배적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난지형 마늘의 재배적지는 영 호남지방을 중심으로 분포되었다. 그 중 최적지와 적지로 분류된 면적이 많은 지역은 나주시 14,058 ha, 정읍시 13,845 ha, 고창군 12,278 ha, 진주시 11,055 ha, 창녕군 9,713 ha 등으로 나타났으며, 난지형 마늘 주생산지의 경우 무안군이 5,216 ha, 해남군 5,092 ha, 고흥군 3,212 ha, 신안군 2,253 ha, 남해군 958 ha로 각각 분석되었다. 그리고 토지이용조건을 추가로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와 주생산지의 실제 난지형 마늘재배면적을 비교한 결과 고흥군과 신안군이 실제 재배면적과 비슷하게 분석되었으며 해남군과 무안군은 실제재배면적보다 크게 나타났고 남해군의 경우는 분석결과가 작게 나타났다. 작물 재배는 여러 가지 생육조건과 사회적 영향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므로 난지형 마늘의 실제 주생산지와 본 연구에서 나타난 난지형 마늘 재배적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a, J.S.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crops and climate elements in Korea -The case of early rice, garlic, winter Chinese cabbage. Master Thesis. Konkuk University, Korea. 

  2. Jang, D.H. and J.H. Park. 2008. A change on the distribution of kiwifruit cultivation due to temperature rising in the Jeonnam Southern Coast. J. Korean Geomorpholog. Asso. 15(1):83-92. (in Korean) 

  3. Kim, H., H.J. Kim, S M. Choi, and S H. Lee. 2011. A GIS-based analysis for suitable site of Chisandra chinensis cultivation - Focused on Jangsu County fores. J. Agri. Life Sci. 45(1):41-47. 

  4. Kim, S.O., U.R. Chung, S.H. Kim, I.M. Choi, and J.I. Yun. 2009. The suitable region and site for 'Fuji' apple under the projected climate in South Korea. Korean J. Agri. Forest Meteoro. 11(4):162-173. 

  5. Kim, T.J. and G.S. Lee. 2006. The site analysis for crop cultivation using GIS-bsed AHP method. Korean Soc. Civil Eng. 26(4D):695-702. 

  6. Kim, Y.W., S.Y. Hong, and M.W. Jang. 2011. Comparison between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of temperature data for garlic cultivation. J. Korean Soc. Agri. Eng. 53(5):1-7. 

  7.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1. Production of vegetable. Http://www.kosis.kr. Accessed 1 Jun. 2011. 

  8. Kwak, T.S., J.H. Ki, Y.E. Kim, H.M. Jeon, and S.J. Kim. 2008. A study of GIS prediction model of domestic fruit cultivation location changes by the global warming - Six tropical and sub-tropical fruits -. J. Spat. Infor. Sys. Soc. Korea 10(3):93-106. (in Korean) 

  9. Lee, G.S., T.J. Kim, and S.M. Sim. 2007. The selection of suitability area for black raspberry cultivation considering GIS-based soil erosion characteristics. Korean Soc. Civil Eng. 27(5D):673-678. 

  10. Namhae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NATC). 2011. New year practical education for farmers 46. 

  11. Nam, S.S., I.H. Choi, J.K. Bang, K.H. Kang, and C.D. Jeong. 2008. Studies on cultivation method using large bulbils of 'Namdo' cultivar in southern type garlic. Treat. Crop Res. 9(9):477-492. 

  12. Shin J.H., J.C. Ju, O.C. Kwen, S.M. Yang, S.J. Lee, and N.J. Sung. 2004.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Korean J. Food Nutrition. 17(3):237-2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