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간호 섬망 선별 도구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Nursing Delirium Scal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3, 2012년, pp.414 - 423  

김경남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간호팀) ,  김철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노인의료센터) ,  김광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노인의료센터) ,  유현정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노인의료센터) ,  박시영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노인의료센터) ,  박연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test the validity of the Korean Nursing Delirium Scale (Nu-DESC) for older patients in hospital. Methods: The Korean Nu-DESC was developed based on the Nu-DESC (Gaudreau, 2005), and revised according to nursing records related to signs and symptom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Gaudreau 등(2005)의 도구를 기초로 일반 병동에서 간호사들이 바쁜 업무 속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원 노인 환자에게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섬망을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한국어판 간호 섬망 선별 도구를 개발한 후, 민감도와 특이도를 검증하여 향후 노인 입원환자의 섬망 조기 발견 및 효율적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근거중심 간호 실무 전략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어판 간호 섬망 선별 도구를 개발하고 도구의 민감도,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들이 일반 병동에서 노인 입원 환자의 섬망을 손쉽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한국어판 간호 섬망 선별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한 도구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간호사들이 섬망 징후 및 증상으로 관찰하여 간호 기록에 남긴 것들을 확인한 결과 섬망의 5가지 항목 중 부적절한 행동, 부적절한 의사소통과 지남력 장애가 많았다.
  • 본 연구에서는 타당하고 유용한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후향적 방법으로 간호 섬망 선별 도구의 예시문항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섬망 관련 징후와 증상을 확인하고, 전향적인 방법으로 섬망 선별 도구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산출하여 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섬망과 감별 진단이 필요한 치매, 우울, 다른 정신과적 질환자는 대상자 선정 기준에서 제외하였고 도구를 적용할 시점을 간호사 개인이 판단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Gaudreau 등(2005)의 Nu-DESC를 기초로 우리나라의 입원 노인에게 적합하도록 한국어판 간호 섬망 선별 도구를 개발하여, 민감도와 특이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 다른 연구원인 노인의학 전공 교수 2인, 간호학 전공 교수 1인, 간호부장 1인이 한국어 번역 문항의 정확성과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지 검토한 후 수정하였다. 이 내용을 영어와 한국어에 능통한 간호학 교수 1인이 다시 영어로 역 변역 한 후 원도구와 비교하여 변화 없이 정확히 번역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nfused Assessment Method의 단점은 무엇인가? , 2008; Wei, Fearing, Sternberg,&Inouye, 2008).그러나 이 도구는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사람만이 적용할 수 있으므로(Gaudreau et al., 2005;Inouyeet al., 2001; Lemiengreet al., 2006; Schuurmanset al., 2001) 의사나 훈련받은 전문가에 비해 섬망 증상에 대한 지식과 사정 능력이 부족한 간호사들이 선별에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Leung et al., 2008; Steis & Fick, 2008). 또한 CAM을 이용하여 환자의 섬망 여부를 선별하려면 장기간의 면담 기법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환자실이 아닌 일반 병동 간호사들이 일상적인 간호 업무에서 수행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을 수 있다(Gaudreau et al.; Leung et al.
섬망은 어떤 질병인가? , 2005). 특히, 섬망은 의식, 주의 집중, 지남력, 기억, 사고와 행동의 장애가 특징적인 급성 정신 건강 문제로(Ely et al., 2004;Kimet al.
섬망은 노인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섬망은 인지장애 지속(Lemiengreet al., 2006; Morandi, Jackson, & Ely, 2009), 사망률 증가(Ely et al., 2004; Kiely et al., 2009; Mccusker et al., 2011), 건강관련 삶의 질 저하(Pitkälä, Laurila, Strandberg,&Tilvis, 2006; Schreier, 2010) 등 노인 환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중환자실 재실 기간 및 총 재원기간 연장(Ely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las, M, C., Deutschman, C. S., Sullivan-Marx, E. M., Strumpf, N. E., Alston, R. P., & Richmond, T. S. (2007). Delirium in older patients in surgical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9, 147-154.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7.00160.x 

  2. Ely, E. W., Shintani, A., Truman, B., Speroff, T., Gordon, S. M., Harrell, F. E. jr., et al. (2004). Delirium as a predictor of mortality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1, 1753-1762. http://dx.doi.org/10.1001/jama. 291.14.1753 

  3. Forsgren, L. M., & Eriksson, M. (2010). Delirium-awareness, observations in intensive care units: A national survey of Swedish ICU head nurse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6, 296-303. http://dx.doi. org/10.1016/j.iccn.2010.07.003 

  4. Gaudreau, J. D., Gagnon, P., Harel, F., Tremblay, A., & Roy, M. A. (2005). Fast, systematic, and continuous delirium assessment in hospitalized patients: The nursing delirium screening scale. Journal of Pain Symptom Management, 29, 368-375. http://dx.doi.org/10.1016/j.jpainsym man.2004.07.009 

  5. Inouye, S. K. (1999). Predisposing and precipitating factors for delirium in hospitalized older patients. Dementia Geriatric Cognitive Disorder, 10, 393-400. http://dx.doi.org/10.1159/000017177 

  6. Inouye, S. K., Foreman, M. D., Mion, L. C., Katz, K. H., & Cooney, L. M. Jr. (2001). Nurses' recognition of delirium and its symptoms: Comparison of nurse and researcher rating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 2467-2473. http://dx.doi.org/10.1001/archinte.161.20.2467 

  7. Kiely, D. K., Marcantonio, E. R., Inouye, S. K., Shaffer, M. L., Bergmann, M. A., Yang, F. M., et al. (2009). Persistent delirium predicts greater mortalit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7, 55-61. http://dx. doi.org/10.1111/j.1532-5415.2008.02092.x 

  8. Kim, A. L. (2010). Delirium among elderly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9. Kim, K. H., Kho, D. H., Shin, J. Y., Choi, J. Y., Kim, E. S., & Kim, D. H. (2008). Risk factors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s.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21, 189-194. 

  10. Lemiengre, J., Nelis, T., Joosten, E., Braes, T., Foreman, M., Gastmans, C., et al. (2006). Detection of delirium by bedside nurses using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4, 685-689.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6.00667.x 

  11. Leung, J. M., Leung, V. W., Leung, C. M., & Pan, P. C. (2008). Clinical utility and validation of two instruments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Algorithm and the Chinese version of Nursing Delirium Screening Scale) to detect delirium in geriatric inpatient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30, 171-176. http://dx.doi.org/10.1016/j.genhosppsych. 2007. 12.007 

  12. McCusker, J., Cole, M. G., Voyer, P., Monette, J., Champoux, N., Ciampi, A., et al. (2011). Use of nurse-observed symptoms of delirium in long-term care: Effects on prevalence and outcomes of delirium.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3, 602-608. http://dx.doi.org/10.1017/S1041610210001900 

  13. Micek, S. T., Anand, N. J., Laible, B. R., Shannon, W. D., & Kollef, M. H. (2005). Delirium as detected by the CAM-ICU predicts restraint use among mechanically ventilated medical patients. Critical Care Medicine, 33, 1260-1265. http://dx.doi.org/10.1097/01.CCM.0000164540. 58515.BF 

  14. Milisen, K., Steeman, E., & Foreman, M. D. (2004).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of delirium in older patients with cancer.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13, 494-500. http://dx.doi.org/10.1111/j.1365-2354.2004.00545.x 

  15. Morandi, A., Jackson, J. C., & Ely, E. W. (2009).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21, 43-58. http://dx.doi.org/10.1080/09540260802675296 

  16. Ouimet, S., Kavanagh, B. P., Gottfried, S. B., & Skrobik, Y. (2007). Incidence, risk factors and consequences of ICU delirium. Intensive Care Medicine, 33, 66-73. http://dx.doi.org/10.1007/s00134-006-0399-8 

  17. Peterson, J. F., Pun, B. T., Dittus, R. S., Thomason, J. W., Jackson, J. C., Shintani, A. K., et al. (2006). Delirium and its motoric subtypes: A study of 614 critically ill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4, 479-484.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5.00621.x 

  18. Pisani, M. A., Murphy, T. E., Araujo, K. L., Slattum, P., Van Ness, P. H., & Inouye, S. K. (2009). Benzodiazepine and opioid use and the duration of intensive care unit delirium in an older population. Critical Care Medicine, 37, 177-183. http://dx.doi.org/10.1097/CCM.0b013e318192fcf9 

  19. Pitkala, K. H., Laurila, J. V., Strandberg, T. E., & Tilvis, R. S. (2006). Multi-component geriatric intervention for elderly inpatients with deliriu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and Medical Sciences, 61, 176-181. 

  20. Schreier, A. M. (2010). Nursing care, delirium, and pain management for the hospitalized older adult. Pain Management Nursing, 11, 177-185. http://dx.doi.org/10.1016/j.pmn.2009.07.002 

  21. Schuurmans, M. J., Duursma, S. A., & Shortridge-Baggett, L. M. (2001). Early recognition of delirium: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0, 721-729.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1.00548.x 

  22. Souder, E., & O'Sullivan, P. S. (2000). Nursing documentation versus standardized assessment of cognitive status in hospitalized medical patients. Applied Nursing Research, 13, 29-36. http://dx.doi.org/10.1016/S0897-1897(00)80016-6 

  23. Steis, M. R., & Fick, D. M. (2008). Are nurses recognizing delirium?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4, 40-48. 

  24. Swets, J. A. (1988). Measuring the accuracy of diagnostic systems. Science, 240, 1285-1293. http://dx.doi.org/10.1126/science.3287615 

  25. Trzepacz, P. T., Mittal, D., Torres, R., Kanary, K., Norton, J., & Jimerson, N. (2001). Validation of the delirium rating scale-revised-98: Comparison with the delirium rating scale and the cognitive test for delirium. The Journal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13, 229-242. http://dx.doi.org/10.1176/appi.neuropsych.13.2.229 

  26. Voyer, P., Richard, S., Doucet, L., Danjou, C., & Carmichael, P. H. (2008). Detection of delirium by nurses among long-term care residents with dementia. BMC Nursing, 7, 4. http://dx.doi.org/10.1186/1472-69557-4 

  27. Wei, L. A., Fearing, M. A., Sternberg, E. J., & Inouye, S. K. (2008).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A systematic review of current usag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6, 823-830. http://dx.doi. org/10.1111/j.1532-5415.2008.01674.x 

  28. Yang, Y. H. (2010). Comprehension and knowledge about delirium in nurses working at long-term care hospitals or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 312-320. 

  29. Yu, K. D., Lee, T. J., Suh, Y. W., Chung, S. H., Kim, E. Y., Kim, H. Y., et al. (2005). Delirium in acute elderly care unit: Preval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risk factors and prognostic significance. Journal of the Korea Geriatric Society, 9, 182-1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