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hizopus oryzae CCS01로 제조된 쌀누룩을 이용한 쌀-밀 막걸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Rice Makgeolli by Making of Rice Nuruk Prepared by Rhizopus oryzae CCS01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8 no.2, 2012년, pp.147 - 155  

서원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  조현국 (영농조합법인 오름주가) ,  이주영 (영농조합법인 오름주가) ,  김바오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  조계만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시판누룩에서 분리한 Rhizopus oryzae CCS01로 쌀누룩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쌀-밀 막걸리 제조하였다. 쌀누룩은 시판누룩보다 ${\alpha}$-amylase 활성은 약 1.8-2.4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쌀과 밀의 비율이 4:6일 때 알코올 생성량은 12.4% 있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시판누룩(산성, 진주 및 송학)으로 제조한 쌀-밀 막걸리의 pH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쌀누룩으로 제조한 쌀-밀 막걸리의 pH는 증가하였다. 한편 산도 및 당도, 알코올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특히 발효 종기 알코올 함량은 쌀누룩으로 제조한 쌀-밀 막걸리가 12.0%로 시판 누룩으로 제조한 막걸리보다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mprove of the quality of Korea traditional wheat-rice wine (makgeolli) production, we used a rice fermentation starter (rice nuruk) made by inoculation of Rhizopus oryzae CCS01 which was isolated and selected from commercial nuruk. Amylase activity of a rice nuruk was 1.8-2.4 times higher tha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쌀 위주의 막걸리 제조에서 벗어나 밀을 혼용하여 양조하는 양질의 막걸리를 개발하기 위해 시판누룩에서 Rhizopus sp.를 분리하고 동정하여 Rhizopus oryaze CCS01로 명명하고 이 균주로 밀이 아닌 개량누룩인 쌀누룩을 제조하여 쌀-밀 혼합 막걸리 양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 품질특성을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실험에 사용한 쌀과 도정밀의 일반성분 함량은 어떠하였는가? 본 실험에 사용한 쌀과 도정밀의 일반성분 함량은 Table 1과 같았다. 쌀은 수분 13.62 g/100 g, 회분 0.56 g/100 g, 조단백질 7.31 g/100 g, 조지방 0.63 g/100 g 및 탄수화물 77.88 g/100 g이었고 도정밀은 수분 12.93 g/100 g, 회분 1.28 g/100 g, 조단백질 13.79 g/100 g, 조지방 1.47 g/100 g, 탄수화물 70.53 g/100 g로 나타났다. 쌀은 도정밀보다 수분 및 탄수화물 함량이 높았으며, 회분,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막걸리란 무엇인가? 막걸리는 우리나라의 전통주로 천여 년 이상 양조되어 왔으며 탁주 또는 농주라고도 한다(Yang et al., 2011).
막걸리가 일반 술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 2011). 막걸리는 일반 술과 달리 각종 영양원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특히, 인체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비타민 B군을 비롯하여 lysine, leucine 및 arginine 등의 필수 아미노산, 풍미물질인 ethylacetate 및 amylacetate, ethylcaproate 등의 ester (Lee, 1994; Lee and Han, 2001)와 새콤한 맛을 내어 갈증을 해소시켜주는 유기산, 그리고 간 기능을 도와주는 acetylcholin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Wo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J.H., Jeon, J.A., Jung, S.T., Park, J.H., Park, S.Y., Lee, C.H., Kim, T.J., Choi, H.S., and Yeo, S.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ktanju fermented by using different nuruk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56-62. 

  2. Han, E.H., Lee, T.S., Noh, B.S., and Lee, D.S. 1997.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suing different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63-570. 

  3. Jeon, M.H. and Lee, W.J. 2011.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44-449. 

  4. Jin, T.Y., Chung, H.J., and Eun, J.B. 2000. The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jinyangju, a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14-418. 

  5. Jin, T.Y., Kim, E.S., Wang, S.J., and Wang, M.H. 2007.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yakju prepared with different of red yeast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09-314. 

  6. Jo, G.Y. and Lee, C.W. 199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fungi from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759-766. 

  7. Joo, O.S., Kang, S.T., Jeong, C.H., Lim, J.W., Park, Y.G., and Cho, K.M. 2011. Manufacturing of the enhances antioxidative wine using a ripe daebong persimmon (Dispyros kaki L). J. Appl. Biol. Chem. 54, 126- 134. 

  8. Kim, C.A., Lee, W.G., Lee, I.S., and Wang, M.H. 2008. Changes of phytochemical, sensory, and antioxidant activity characteristics in rice wine. yakju added with different ratio of Codonopsis lanceol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01-206. 

  9. Kim, G.M., Jung, W.J., Shin, J.H., Kang, M.J., and Sung, N.J. 2011a.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made with black garlic extract and sulgidd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759- 766. 

  10. Kim, J.Y. and Koh, J.S. 2004. Screening of brewing yeasts and saccharifying molds for foxtail millet-wine making.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78-84. 

  11. Kim, J.Y. and Yi, Y.H. 2010. pH, acidity, color, amino acids, reducing sugars, total sugars, and alcohol in puffed millet powder containing millet tak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27-732. 

  12. Kim, S.Y., Kim, E.K., Yoon, S.J., Jo, N.J., Jung, S.K., Kwon, S.H., Chang, Y.H., and Jeong, Y.H. 2011b.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cucumber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23-228. 

  13. Kim, Y.J., Ju, J.C., Kim, R.Y., Kim, W.T., Park, J.H., and Chun, S.S. 2011c. Cooking properties of fresh pasta using Korean wheat and durum rimachin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474-1481. 

  14. Kim, Y.J., Kim, R.Y., Park, J.H., Ju, J.C., Kim, W.T., and Chun, S.S.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Korean wheat semolin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837-842. 

  15. Kim, Y.S., Kim, M.Y., and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wheat white bread with substituted Nelumbo nucifera G. tea powder. Korean J. Food Nutr. 21, 448-456. 

  16. Korean Food Standard Codex. 2010. KFDA, 10. General test methods, Korea Foo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17. Kum, J.S., Lee, C.H., Baek, K.H., Lee, S.H., and Lee, H.Y. 1995. Influence of cultivar on rice starch and cooking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365-369. 

  18. Lee, G.H. 1994. The properties and new technologies of Korean medicinal wine and takju. J. Microbiol. Biotechnol. 7, 4036-4046. 

  19. Lee, J.W. and Shim,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during freezing storage. Food Eng. Prog. 14, 328-334. 

  20. Lee, T.S. and Han, E.H.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Rhizopus japonicus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691-698. 

  21. Lee, T.S. and Han, E.H. 2001.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oryzae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66-372. 

  22.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the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23. Min, J.H., Baek, S.Y., Lee, J.S., and Kim, H.K. 2011. Changes of yeasts and bacterial flora during the storage of Korean traditional makgeolli. Korean J. Mycol. 39, 151-153. 

  24. Park, K.T., Kim, M.Y., and Chun, S.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wet noodles with pomegranate cortex powder. Korean J. Cul. Res. 15, 128-136. 

  25. So, M.H. 1993.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amylase and protease in making wheat flour nuruk by Rhizopus japonicus T2. Korean J. Food Nutr. 6, 96-102. 

  26. So, M.H. 1999. Characteristics of a modified Nuruk made by inoculation of tractional Nuruk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Nutr. 12, 219- 225. 

  27. So, M.H. and Lee, Y.S. 2009.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f Rhizopus sp. ZB9 on the production of saccharifying amylase during the preparation of rice koji. Korean J. Food Nutr. 22, 644-649. 

  28. So, M.H., Lee, Y.S., and Noh, W.S. 1999.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akju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Nutr. 12, 427-432. 

  29. Woo, S.M., Shin, J.S., Seong, J.H., Yeo, S.H., Choi, J.H., Kim, T.Y., and Jeong, Y.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Takju by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01-307. 

  30. Yang, H.S., Hwang, S.J., Lee, S.H., and Eun, J.B. 2011.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dired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peel.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603-6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