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한 지역 현생 화강암류의 연대측정 결과 정리
Review of Radiometric Ages for Phanerozoic Granitoids in Southern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1 no.2 = no.68, 2012년, pp.173 - 192  

정창식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오창센터) ,  김남훈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오창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한 지역에 분포하는 현생 화강암류의 연대측정 결과를 정리하였다. 경기육괴 29개, 옥천대 36개, 영남육괴 13개, 경상분지 20개 등 총 98개 지점의 연대에 대하여 보고된 자료를 검토하여 신뢰도를 평가하고 가장 대표성 있는 자료를 선별하였다. 고생대 화강암으로는 경상분지 북부에 장사리와 영덕 암체가 분포하고 있으며 영덕 암체 내에 포획암으로 잡혀 있는 섬록암의 최고연대가 265 Ma까지 보고되므로 시추코어 자료와 함께 고려할 때 페름기 초부터 한반도 남동부에서 섭입환경과 연관되어 활발한 화성활동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트라이아스기 초기에는 영남육괴 상주-김천-안동-청송 지역에서 역시 섭입 환경과 관련된 토날라이트-트론제마이트-화강섬록암-몬조나이트질의 화성활동이 일어났다. 트라이아스기 후기에는 경기육괴 남서부와 옥천대 중부를 중심으로 후충돌형 쇼쇼나이트 내지 high-K 계열 화강암과 A-형 알칼리 화강암의 관입이 있었다. 쥬라기 초기 화강암류는 영남육괴 중부와 경기육괴 북동부 설악산 지역, 경상분지 북부에 분포하며 경기육괴 나머지 지역과 옥천대 지역에는 쥬라기 중기 화강암류가 주를 이룬다. 이러한 차이는 쥬라기 초기와 중기에 해구의 위치, 해양판의 침강각 또는 섭입각도가 달랐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쥬라기 후기부터 백악기 초까지의 화성활동 휴지기를 거쳐 백악기 후기부터 경상분지 내에서 집중적인 화강암의 관입이 있었다. 경상분지 밖에서는 110 Ma 내외에 경기육괴 남서부와 중부에서, 또 90 Ma 내외에 설악산, 무암사, 월악산, 속리산 지역 등 경기육괴 북동부와 옥천대 중부에서 화강암의 관입이 일어났는데, 선백악기 화강암류에 비해 지하 천부에 정치하였다. 고제3기 화강암은 경주 지역을 중심으로 동해안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 age data were reviewed for 98 sites of Phanerozoic granitoid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ubduction-related granitic magmatism has occurred in southeastern Korea since Early Permian. In the middle part of the Yeongnam massif, arc-related tonalites, trondhjemites, granodi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강암질암의 가장 중요한 생성 장소는 어디인가? 화강암질암은 대륙지각의 주 구성 암석으로 다양한 지구조적 환경에서 만들어지지만(예: Barbarin, 1999), 활동성 대륙 연변부가 가장 중요한 생성 장소이다. 남한 지역의 1/3 이상은 현생 화강암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현생이언 동안 남한 지역이 섭입 환경에 크게 지배받았음을 시사한다.
화강암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연대측정이 더이상 중요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다른 지질학적 연구도 마찬가지겠지만 화강암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연대측정의 중요성은 더 이상 강조할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 화강암질 마그마의 생성은 지구조적 사건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되며 따라서 화강암류의 성인과 관련된 어떠한 지구조적 해석도 연대측정 결과 없이는 유효하지 않다.
남한 지역의 1/3 이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화강암질암은 대륙지각의 주 구성 암석으로 다양한 지구조적 환경에서 만들어지지만(예: Barbarin, 1999), 활동성 대륙 연변부가 가장 중요한 생성 장소이다. 남한 지역의 1/3 이상은 현생 화강암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현생이언 동안 남한 지역이 섭입 환경에 크게 지배받았음을 시사한다. 한반도, 특히 그 남동부는 중국 남동부에서 러시아 극동 지역까지 거의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서부 환태평양 화강암대(Takahashi, 1983; Kinoshita, 1995; Li, 2000; Sag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4)

  1. 고희재, 송교영, 2005, 한국지질도(1:50,000), 의정부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7p. 

  2. 기원서, 김현철, 김복철, 최성자, 박승익, 황상구, 2010a, 한국지질도(1:50,000), 설악산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94p. 

  3. 기원서, 임순복, 김현철, 황상구, 김복철, 송교영, 김유홍, 2008, 한국지질도(1:50,000), 연천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83p. 

  4. 기원서, 조등룡, 김복철, 진광민, 2005, 한국지질도(1:50,000), 포천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6p. 

  5. 김근수, 김종열, 정규귀, 황진연, 이준동, 1995, 경상북도 경주-감포 일원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Rb-Sr 연대. 지구과학회지, 16, 272-279. 

  6. 김옥준, 1971, 남한의 신기화강암류의 관입시기와 지각변동. 광산지질, 4, 1-9. 

  7. 김용준, 1979, 제천 화강암체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광산지질, 12, 115-126. 

  8. 김유봉, 최위찬, 황상구, 2010, 한국지질도(1:50,000), 창암점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80p. 

  9. 김정환, 박범환, 이병주, 1981, 한국지질도(1:50,000), 청평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29p. 

  10. 김진섭, 박맹언, 김근수, 1998, 충주지역 계명산층 내에 산출하는 알카리 화강암의 지구화학적 연구. 자원환경지질, 31, 349-360. 

  11. 김태성, 오창환, 김정민, 2011, 오대산 지역에 나타나는 맨거라이트와 반려암의 특징과 트라이아스기 한반도 지체구조 해석에 대한 의미. 암석학회지, 20, 77-98. 

  12. 박계헌, 김명정, 양윤석, 조경오, 2010, 한반도 쥬라기 심성암의 연령분포. 암석학회지, 19, 269-281. 

  13. 박계헌, 이호선, 송용선, 정창식, 2006, 영남육괴 함양, 거창 및 영주 화강암-화강섬록암의 스핀 U-Pb 연대. 암석학회지, 15, 39-48. 

  14. 박계헌, 이호선, 정창식, 2005, 영남육괴 중부 김천, 성주 및 안의지역 화강섬록암의 스핀 U-Pb 연대. 암석학회지, 14, 1-11. 

  15. 박맹언, 김근수, 1995, 충주지역 희토류 광상의 성인: 산출상태와 지화학적 특성. 자원환경지질, 28, 599-612. 

  16. 사공희, 권성택, 전은영, S.A. Mertzman, 1997, 화천 화강암의 암석학 및 지구화학. 지질학회지, 33, 99-110. 

  17. 송교영, 조등룡, 2007, 한국지질도(1:50,000), 김화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6p. 

  18. 송교영, 조등룡, 2009, 한국지질도(1:50,000), 만대리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72p. 

  19. 윤성효, 고정선, 박광순, 안효찬, 김용일, 유성현, 이동한, 윤기영, 2005, 부산 금정산화강암체의 암석학 및 Rb-Sr 전암 등시선 연대. 암석학회지, 14, 61-72. 

  20. 이병주, 김유봉, 기원서, 2006, 한국지질도(1:50,000), 기산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9p. 

  21. 이승구, 조등룡, 이창범, 이태종, 김통권, 송윤호, 이진수, 2007, 포항시 흥해읍 지하 2300m 화강섬록암 시추코아내 저어콘의 U-Th 연대: 포항분지 기저암의 생성시기에 대한 고찰 (요약문),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 요약집, 110. 

  22. 이승렬, 이병주, 조등룡, 기원서, 고희재, 김복철, 송교영, 황재하, 최범영, 2003, 전주전단대 화강암류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측정: 호남전단대의 운동시기에 대한 고찰 (요약문), 한국암석학회 한국광물학회 공동학술발표회 요약집, 55. 

  23. 이호선, 송용선, 정창식, 박계헌, 2006, 상주화강암과 김천 화강암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보고 (요약문). 대한지질학회 학술발표회 요약집, 108. 

  24. 이호선, 송용선, 박계헌, 정창식, 2007a, 중부 영남육괴에 분포하는 페름기 후기 삼첩기 초기(240-250Ma) 화강편마암의 U-Pb 저콘 연대와 의미 (요약문). 한국암석학회 한국광물학회 공동학술발표회 요약집, 51-54. 

  25. 이호선, 송용선, 박계헌, 정창식, 2007b, 중부 영남육괴 상주-김천지역에 분포하는 페름기 후기-삼첩기 초기 화강편마암의 SHRIMP 저콘 연대보고 (요약문).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 요약집, 162. 

  26. 정연중, 이기욱, Kamo, S.L., 정창식, 2008a, 경기육괴 동부 맨거라이트에 대한 저어콘 단일 입자 열이온화질량분석법 연대측정. 지질학회지, 44, 425-433. 

  27. 정연중, 정창식, 박천영, 신인현, 2008b, 정읍엽리상화강암의 지구화학 및 동위원소 특성과 U-Pb 스핀 연대. 지구과학회지, 29, 539-550. 

  28. 정창식, 권성택, 김정민, 장병욱, 1998, 경상분지 북부에 분포하는 온정리 화강암에 대한 암석화학적, 동위원소 지구화학적 연구: 경상분지 다른 지역과 서남 일본 내대에 분포하는 백악기-제3기 화강암류와의 비교 고찰. 암석학회지, 7, 77-97. 

  29. 정창식, 김남훈, 김정민, 이기욱, 정연중, 조문섭, 2011, 한반도 동남부 안동-청송-영덕 지역의 페름기-트라이아스기 화성활동과 변성작용 (요약문).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 요약집, 10. 

  30. 정창식, 장호완, 1996, 중부 옥천 변성대의 화성, 변성 및 광화작용과 조구조적 연관성 연구 (I): 보은지역 화강암류의 암석화학과 동위원소 지구화학. 지질학회지, 32, 91-116. 

  31. 조문섭, 김현철, I. Williams, 2008, 설악산의 나이 (요약문),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 요약집, 42. 

  32. 조문섭, 김현철, I. Williams, 2008, 설악산의 나이 (요약문), 대한지질학회 학술발표회 요약집, 17. 

  33. 진명식, 신성천, 김성재, 주승환, 1993, 경기육괴내 춘천화강암체의 생성연대와 열사. 암석학회지, 2, 122-129. 

  34. 최범영, 김현철, 이승렬, 권세현, 2009, 한국지질도(1:50,000), 인제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52p. 

  35. 한미, 김진섭, 이기욱, 김선웅, 2010, 거창 일대에 분포하는 섬록암류와 화강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요약문), 한국암석학회 한국광물학회 공동학술발표회 요약집, 123-126. 

  36. 홍세선, 김용준, 김정빈, 1988, 남원지역에 분포하는 남원화강암체에 대한 암석지화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24, 132-146. 

  37. 황재하, 김유홍, 2005, 한국지질도(1:50,000), 강화온수리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6p. 

  38. 황재하, 김유홍, 2007, 한국지질도(1:50,000), 지포리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54p. 

  39. Barbarin, B., 1999, A review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granitoid types, their origins and their geodynamic environments. Lithos, 46, 605-626. 

  40. Cheong, C.-S., and Chang, H.W., 1997, Sr, Nd, and Pb isotope systematics of granitic rocks in the central Ogcheon Belt, Korea. Geochemical Journal, 31, 17-36. 

  41. Cheong, C.-S., Kee, W.-S., Jeong, Y.-J., and Jeong, G.Y., 2006, Multiple deformations along the Honam shear zone in southwestern Korea constrained by Rb-Sr dating of synkinematic fabrics: Implications for the Mesozoic tectonic evolution of northeastern Asia. Lithos, 87, 289-299. 

  42. Cheong, C.-S., Kwon, S.T., and Sagong, H., 2002, Geochemical and Sr-Nd-Pb isotopic investigation of Triassic granitoids and basement rocks in the northen Gyeongsang Basin, Korea: Implications for the young basement in the East Asian continental margin. The Island Arc, 11, 25-44. 

  43. Cho, D.-L., Lee, S.R., and Armstrong, R., 2008, Termination of the Permo-Triassic Songrim (Indosinian) orogeny in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Occurrence of ca. 220 Ma post-orogenic alkali granites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Lithos, 105, 191-200. 

  44. Cho, D.L., Suzuki, K., Adachi, M., and Chwae, U., 1996, A preliminary CHIME age determination of monazite from metamorphic and granitic rocks in the Gyeonggi Massif, Korea. Journa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Nagoya University, 43, 49-65. 

  45. Cho, K.-H., Takagi, H., and Suzuki, K., 1999, CHIME monazite age of granitic rocks in the Sunchang shear zone, Korea: timing of dextral ductile shear. Geosciences Journal, 3, 1-15. 

  46. Fullagar, P.D., and Park, B.K., 1975, Rb-Sr study of granite and gneiss from Seoul, South Korea.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86, 1579-1580. 

  47. Hildreth, W., and Moorbath, S., 1988, Crustal contributions to arc magmatism in the Andes of central Chile.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98, 455-489. 

  48. Hurley, P.M., Fairbairn, H.W., Pinson, Jr. W.H., and Lee, J.H., 1973, Middle Precambrian and older apparent age values in basement gneisses of South Korea, and relations with southwest Japan.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84, 2299-2304. 

  49. Jo, H.J., 2012, U-Pb zircon geochronology and Sr-Nd-Pb isotopic studies on Namwon, Sunchang and Daegang granites distribu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M.S.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58p. 

  50. Jwa, Y.-J., Nakajima, T., Uchiumi, S., and Shibata, K., 1990, Geochronology and cooling history of Mesozoic granitic rocks in the Inje-Hongcheon district, South Korea. Geochemical Journal, 24, 93-103. 

  51. Kee, W.-S., Kim, S.W., Jeong, Y.-J., and Kwon, S., 2010b, Characteristics of Jurassic continental arc magmatism in South Korea: Tectonic implications. Journal of Geology, 118, 305-323. 

  52. Kim, C.-B., Chang, H.-W., and Turek, A., 2003, U-Pb zircon ages and Sr-Nd-Pb isotopic compositions for Permian--Jurassic plutons in the Ogcheon belt and Ryeongnam massif, Korea: Tectonic implications and correlation with the China Qinling-Dabie belt and the Japan Hida belt. The Island Arc, 12, 366-382. 

  53. Kim, C.-B., and Turek, A., 1996, Advances in U-Pb zircon geochronology of Mesozoic plutonism in the southwestern part of Ryeongnam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30, 323-338. 

  54. Kim, C.-B., Turek, A., Chang, H.-W., Park, Y.-S., and Ahn, K.-S., 1999, U-Pb zircon ages for Precambrian and Mesozoic plutonic rocks in the Seoul-Cheongju-Chooncheon area, Gyeonggi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33, 379-397. 

  55. Kim, C.-S., and Kim, G.-S., 1997, Petrogenesis of the early Tertiary A-type Namsan alkali granite in the Kyongsang Basin, Korea. Geoscience Journal, 1, 99-107. 

  56. Kim, H., Horie, K., Kee, W.-S., Hidaka, H., and Cho, D.-L., 2009, Middle Devonian SHRIMP U-Pb age of the hornblende granite and its implication on the depositional age of the Yeoncheon Group (abstract),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Annual Meeting Abstract with Programs, 78. 

  57. Kim, J., Yi, K., Jeong, Y.-J., and Cheong, C.-S., 2011, Geochronological and geochemical constraints on the petrogenesis of Mesozoic high-K granitoids in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Gondwana Research, 20, 608-620. 

  58. Kim, S.W., Kwon, S., Koh, H.J., Yi, K., Jeong, Y.-J., and Santosh, M., 2011, Geotectonic framework of Permo-.Triassic magmatism within the Korean Peninsula. Gondwana Research, 20, 865-889. 

  59. Kim, S.W., Kwon, S., and Ryu, I.-C., 2009, Geochronological constraints on multiple deformations of the Honam Shear Zone, South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Gondwana Research, 16, 82-89. 

  60. Kim, S.W., Oh, C.W., Choi, S.G., Ryu, I.-C., and Itaya, T., 2005, Ridge subduction-related Jurassic plutonism in and around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South Korea, and implications for northeast Asian tectonics. International Geology Review, 47, 248-269. 

  61. Kinoshita, O., 1995, Migration of igneous activities related to ridge subduction in southwest Japan and the east Asian continental margin from the Mesozoic to the Paleogene. Tectonophysics, 245, 25-35. 

  62. Kwon, S.-T., and Cheong, C.-S., 1998, Rb-Sr isotope study of the Kwanaksan stock in the Gyeonggi massif, Korea (abstract), Geological Society of Korea Annual Meeting Abstract with Programs. 

  63. Kwon, S.-T., Cheong, C.-S., and Sagong, H., 2006, Rb-Sr isotopic study of the Hwacheon granite in northern Gyeonggi massif, Korea: A case of spurious Rb-Sr whole rock age. Geosciences Journal, 10, 137-143. 

  64. Kwon, S.-T., Lan, C.-Y., and Lee, T., 1999, Rb-Sr and Sm-Nd isotopic study of the Seoul granitic batholith in middle Korea. Geosciences Journal, 3, 107-114. 

  65. Kwon, S.-T., Shin, K.B., Park, H.K., and Mertzman, S.A., 1995, Geochemistry of the Kwanaksan alkali feldspar granite: A-type granite?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4, 31-48. 

  66. Lee, B.-J., Lee, S.R., Cho, D.L., and Armstrong, R., 2001, Multiple ductitle shearing during the Jurassic times in Jeonju ductile shear zone, Korea (abstract), Geological Society of Korea Annual Meeting Abstract with Programs. 

  67. Lee, J.I., Jwa, Y.-J., Park, C.-H., Lee, M.J., Moutte, J., and Kagami, H., 1999, Sr and Nd isotopic compositions of late Paleozoic Youngju and Andong granites in the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33, 153-165. 

  68. Lee, J.I., Kagami, H., and Nagao, K., 1995, Rb-SR and K-Ar age determinations of the granitic rock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yeongsang basin, Korea: Implication for cooling history and evolution of granitic magmatism during late Cretaceous. Geochemical Journal, 29, 363-376. 

  69. Lee, S.G., Shin, S.C., Kim, K,H., Lee, T., Koh, H., and Song, Y.S., 2010, Petrogenesis of three Cretaceous granites in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South Korea: Geochemical and Nd-Sr-Pb isotopic constraints. Gondwana Research, 17, 87-101. 

  70. Li, X.-h., 2000, Cretaceous magmatism and lithospheric extension in Southeast China.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18, 293-305. 

  71. Min, K.-W., and Kim, S.-B., 1996, Geochemistry and petrogenesis of the granitic rocks in the vincinity of the Mt. Sorak.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5, 35-51. 

  72. Na, C. K., 1994, Genesis of granitoid batholiths of Okchon zone, Korea and its implications for crustal evolution.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Tsukuba, Japan. 

  73. Oh, C.W., Krishnan, S., Kim, S.W., and Kwon, Y.W., 2006, Mangerite magmatism associated with a probable Late-Permian to Triassic Hongseong-Odaesan collision belt in South Korea. Gondwana Research, 9, 95-105. 

  74. Park, Y.S., Kim, S.W., Kee, W.-S., Jeong, Y.-J., Yi, K., and Kim, J., 2009, Middle tectono-magmatic evolution in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Geosciences Journal, 13, 217-231. 

  75. Peng, P., Zhai, M., Guo, J., Zhang, H., and Zhang, Y., 2008, Petrogenesis of Triassic postcollisional syenite plutons in the Sino-Korean craton: an example from North Korea. Geological Magazine, 145, 637-647. 

  76. Ree, J.-H., Kwon, S.-H., Park, Y., Kwon, S.-T., and Park, S.-H., 2001, Pretectonic and posttectonic emplacements of the granitoids in the south central Okcheon belt,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timing of strike-slip shearing and thrusting. Tectonics, 20, 850-867. 

  77. Sagong, H., Kwon, S.-T., and Ree, J.-H., 2005, Mesozoic episodic magmatism in South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Tectonics, 24, TC5002, doi:10.1029/2004TC001720. 

  78. Takahashi, M., 1983, Space-time distribution of late Mesozoic to early Cenozoic magmatism in east Asi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In: Accretion tectonics in the Circum-Pacific regions (ed. M. Hashimoto and S. Uyeda), Terra Science, Tokyo, 69-88. 

  79. Turek, A., and Kim, C.-B., 1995, U-Pb zircon ages of Mesozoic plutons in the Damyang-Geochang area, Ryongnam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29, 243-258. 

  80. Walker, J.D., and Geissman, J.W., 2009, Geologic Time Scal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doi: 10.1130/2009.CTS004R2C. 

  81. Williams, I.S., Cho, D.-L., and Kim, S.W., 2009, Geochronology, and geochemical and Nd-.Sr isotopic characteristics, of Triassic plutonic rocks in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Constraints on Triassic post-collisional magmatism. Lithos, 107, 239-256. 

  82. Yi, K., Cheong, C.-S., Kim, J., Kim, N., Jeong, Y.-J., and Cho, M., 2012a, Late Paleozoic to Early Mesozoic arc-related magmatism in southeastern Korea: SHRIMP zircon geochronology and geochemistry. Lithos 10.1016/j.lithos.2012.02.007 (in print). 

  83. Yi, K., Cheong, C.-S., Kim, N., Lee, S., Choi, M.-S., 2012b, Mixing effects in zircon U-Pb ion microprobe dating: An example from a quartzofeldspathic dyke in the Yeongdeok pluton, southeastern Korea. Geochemical Journal (accepted). 

  84. Zhang, Y.-B., Zhai, M., Hou, Q.-L., Li, T.-S., Liu, F., and Hu, B., 2012, Late Cretaceous volcanic rocks and associated granites in Gyeongsang Basin, SE Korea: Their chronological ages and tectonic implications for cratonic destruction of the North China Craton.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47, 252-2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