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차원의 빗물순환체계 요소별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 개발예정지역의 환경생태계획 적용방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ocation Selection for Rainwater Circulation System Elements at a City Level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 of a Development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3, 2012년, pp.1 - 11  

김효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김귀곤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도시 개발 등 규모가 비교적 큰 도시개발에 있어 빗물을 이용하여 자연적인 빗물순환체계를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통합빗물관리를 위한 자연적인 빗물순환체계 요소별 입지 선정 방법을 개발하여 수문환경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자연적인 물순환을 회복하여 저영향개발(LID)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출량 저감뿐만 아니라 도시 내의 수공간 및 녹지공간의 증가로 인한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증진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통합빗물관리를 위한 빗물순환체계 요소별 입지 선정을 위한 최종적인 빗물순환체계 요소로는 집수, 침투, 여과, 저류, 이동 공간의 5가지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각 요소별 입지선정 항목 및 기준을 설정하였다. 도출된 평가항목과 기준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은 적합성지수 이론을 바탕으로 Gridcellanalysis를 실시하여 각 요소별로 적합성평가를 통해 주제도를 중첩하고 종합하여, 적합성지수에 따라 등급화 함으로써 요소별 조성가능 우선지역을 구분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방법은 경북 김천 혁신도시 개발예정지에 적용함으로써 그 실행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였으며, 각 요소별 주제도의 중첩 결과는 Verylow, Low, Moderate, High, Veryhigh의 5단계로 구분하여, 공간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용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 토지이용계획도면 위에 빗물순환체계 구상도를 작성해 봄으로써 환경생태계획 후 세부공간계획 단계에서 물순환체계를 구축하는데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친환경적 도시계획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establishing a natural rainwater circulation system using rainwater meant for relatively large urban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a new town development. In particular, when the location selection techniques for individual elements of a natural rainwater circulation system 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셋째, 빗물순환체계의 구축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대상지의 상태에 따라 빗물의 자연유하 및 침전물의 제거 등을 위해 인공시설의 요소가 불가피하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기존 대상지 현황을 고려한 자연적인 빗물순환체계의 구축을 위해 최대한 인공시설을 배제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도록 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계획방법은 택지 개발사업 및 신도시 조성 등 신규로 토지가 확보될 경우 적용 가능한 것이다.
  • 첫째, 빗물관리 지역 선정에 있어 각 유역별 유출량에 따른 용량산정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빗물관리를 위한 요소별 입지 선정에 대한 방법 개발이 연구의 주된 목적이므로, 유출량을 통한 용량산정은 입지선정이 된 후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한다. 둘째,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저영향개발(LID)기법을 중심으로 자연적인 빗물순환체계 요소를 도출하는 것으로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도시차원의 자연적인 빗물순환체계를 구축하고, 도시차원의 공간계획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통합적인 빗물관리 요소별 입지선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신도시 개발 등 규모가 비교적 큰 도시개발에 있어 중요한 자원인 빗물을 이용하여 자연적인 빗물순환체계를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신도시 개발 등 개발예정지에 빗물을 이용하여 자연적인 빗물순환체계를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빗물관리에 있어 개별적인 기술 및 기법 위주로 진행되었던 선행연구와는 달리 자연적인 빗물순환체계 요소별 입지선정 방법을제시하고 있다. 특히 도시차원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빗물순환체계 요소별 항목 및 기준을 도출하여 공간계획과의 연계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국내 도시차원으로 적용하여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도시계획 수단으로 쉽게 이용될 수 있게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빗물순환체계 요소의 도출을 위해, 국내ㆍ외 기존 문헌 및 사례의 고찰을 통해 빗물관리를 위한 1차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렇게 도출된 요소 중 자연적인 빗물순환체계의 입지선정을 위한 최종적인 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항목은 1차 도출된 유형이 자연적인 빗물순환체계 구축을 위해 얼마나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을 통해 그 관련 정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으면 기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둘째, 통합빗물관리를 위한 자연적인 빗물순환체계 기능별 요소와 각 요소별 항목 및 기준을 도출하여 적지선정 방법을 개발한다. 셋째, 빗물관리를 위한 요소별 적지선정 방법을 국내 도시차원으로 적용하여 저영향개발(LID) 접근을 통한 공간계획의 실현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설문항목은 1차 도출된 유형이 자연적인 빗물순환체계 구축을 위해 얼마나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을 통해 그 관련 정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으면 기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같은 설문종합을 통해 본 연구의 빗물순환체계 입지선정을 위한 최종요소를 도출하였다.
  • 환경친화적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로는 환경생태계획에 관한 이론 및 연구와 저영향개발(LID)에 관한 연구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현재 국내의 환경생태계획(김귀곤, 2008; 이창우, 2004, 권전오, 2003)은 미국의 저영향개발(LID)기법(PGC, 1999; PGDCER, 1997; 박은진, 2007; Marjorie van Roon, 2007, 최지용, 2004)과는 달리 실행계획이기보다는 정책계획수준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환경계획에 대한 선언적 의미로만 다루어질 뿐 공간계획단계와 직접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실행계획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가설 설정

  • Mohamed Ali, 2007), 정화식물이 없는 경우는 나지보다는 잔디 등의 야생초화류가 자라거나 덤불 등의 관목림을 적합성지수를 높게 평가하도록 한다. 유출 및 침식특성 항목은 계획 후의 토지이용을 토대로 평가를 실시하며, 도로, 고속도로, 주차장 등 불투수성 포장이 많아질수록 유출 및 침식이 많아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빗물여과공간의 필요성을 높기 때문에, 적합성지수를 높게 평가한다(Minnesota Metropolitan Council, 2001). 지하수위는 침투공간과 마찬가지로 오염물질이 여과되어 침투되는 것이기 때문에 최소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 물순환체계를 변형시킨 요인들은 무엇인가? 그 결과, 지속적인 개발로 인해 자연녹지지역이 불투수면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빗물의 지하 침투량은 감소되면서 지표면에서의 빗물 유출량은 증가하게 되었다(이우준,2006). 이에 따라 도시홍수의 야기, 지하수 함양저해, 토양환경 및 도시의 사막화 초래, 생물서식 기반의 파괴, 도시하천의 건천화, 하천수질의 악화, 도시열섬화 등을 초래하여 결국 도시 물순환체계를 변형시키게 되었다.
한국이 매년 홍수피해를 반복적으로 겪게 되는 원인은? 우리나라가 매년 홍수피해를 반복적으로 겪게 되는 주요원인은 우기에 강수량이 지나치게 편중된다는 강우 특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급속한 산업화로 인한 도시화에도 그 원인이 있다(최지용과 장수환,2004).그 결과, 지속적인 개발로 인해 자연녹지지역이 불투수면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빗물의 지하 침투량은 감소되면서 지표면에서의 빗물 유출량은 증가하게 되었다(이우준,2006).
한국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나타나는 홍수피해는? 우리나라가 매년 홍수피해를 반복적으로 겪게 되는 주요원인은 우기에 강수량이 지나치게 편중된다는 강우 특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급속한 산업화로 인한 도시화에도 그 원인이 있다(최지용과 장수환,2004).그 결과, 지속적인 개발로 인해 자연녹지지역이 불투수면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빗물의 지하 침투량은 감소되면서 지표면에서의 빗물 유출량은 증가하게 되었다(이우준,2006). 이에 따라 도시홍수의 야기, 지하수 함양저해, 토양환경 및 도시의 사막화 초래, 생물서식 기반의 파괴, 도시하천의 건천화, 하천수질의 악화, 도시열섬화 등을 초래하여 결국 도시 물순환체계를 변형시키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국토연구원(2005) 생태적 도시개발을 위한 물순환 체계 확보방안 연구. 

  2. 권경호(1999) 유출수 저류 침투를 위한 자연배수체계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전오(2003) 환경친화적 택지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생태평가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귀곤(2008) 지속가능 환경생태계획론 : 이론과 실제. 드림미디어. 

  5. 김영란(2007) 빗물관리시설 설치 및 관리 매뉴얼 작성. 서울시정개발연구원. 

  6. 김지선(2008) 생태도시 조성을 위한 서귀포시 물순환체계 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은진(2007) 물순환을 고려한 도시녹지 기능 제고방안. 경기개발연구원. 

  8. 서울특별시(2004) 서울시 물순환기본계획 연구. pp. 619. 

  9. 손삼기(2000) 도시화된 지역에서 빗물의 지하침투 증대를 통한 토양환경 변화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신수용(2006) 친환경 건축을 위한 빗물이용시설 보급확대 방안. 세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상규(2005) 경기도 주거지개발시 빗물관리 및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2. 이우준(2006) 생태캠퍼스 구현을 위한 빗물이용 방향설정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은석(2007) 저밀도 기성개발지의 물순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임유라(2007) ,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유휴농경지 습지복원 적지선정에 관한 연구 : 군포시 반월천 유역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진은진(2001) 도시화에 따른 수문환경의 변화 분석에 관한 연구 : SCS유 출모형을 활용한 저류용량산정에 관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최지용, 장수환(2004) 유역관리 효율화를 위한 불투수면 지표개발과 적용II. 환경정책평가연구원. 

  17. 최희선(2009) 신도시 물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습지조성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6): 43-54. 

  18. 한무영(2003) 지속가능한 도시의 물관리를 위한 빗물모으기와 빗물이용. 대한토목학회지 51(2): 62-77. 

  19. 한영해(2005) 도시 주거지역에서의 분산식 빗물관리 계획모형 개발 : 공 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현경학, 장선영, 안성식(2006) 국내 공동주택단지 자연 순응형 빗물관리 시설 사례 분석. 환경영향평가 15(2): 111-119. 

  21. 환경부(1999) 생태도시 조성 기반기술 개발사업(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p. 81-144. 

  22. Ahamed Medhat Mohamed Ali(2007) Water quality enhancement in Sloterbinnenpolder by adopting ecological engineering approaches. UNESCO-IHE. pp. 19-39. 

  23. ATV Arbeitshilfen-abwasser(1999) Arbeitsbericht der ATV- Arbeitsgruppe 2.6. Regenwasserbewirtschaftung in Siedlungsgebieten zur Angleichung an natuerliche Abflussverhaeltnisse. Korrespondenz Abwasser Heft4. 46. Jahrgang. 

  24. Boothand Renelt(1993) Consequences of urbanization aquatic systems measuredeffect. Degradation thresholds and corrective strategies. In Proceeding of Watershed' 93. 

  25. City of Franklin(2002) Stormwater Best Management Practices- Permanent Stormwater Treatment Controls PT P01. pp. 1-12. 

  26. Dreiseitl, H. and W. Geiger(1995) Neue Wege furdas Regenwasser, Handbuchzum Ruckhalt und zur Versickerung von Regenwasser in Baugebieten. Munchen. 

  27. Dunnett, N. and A. Clayden(2007) Raingardens : Managingwater sustainably in the garden and designed landscap. pp. 45-49. 

  28. Leccese, M. (1998) "Rocky Mountain Retrofit- A Colorado center will demonstrate how landscapescan be rethought to cleanse polluted storm water. ". Landscape Architecture May. 1998pp. 58-63. 

  29. Mbilini, B. P., S. S. Tumbo, H. F. Mahooand F. O. Mkiramwinyi (2007) GIS-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identifying potential sites for rain waterharvesting. Physicsand Chemistry of the Earth 32 : 1074-1081. 

  30. Mc Cuew, Allen P. and H. Richard(2005) Stromwater Management for Smart Growth, pp. 225-259. 

  31. Metropolitan Council(2001) Urban Small Sites Best Management Practice Manual. 

  32. Minnesota Metropolitan Council(2001) Minnesota Urban Smallsites BMP Manual : Stormwater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Cold Climates. pp. 213-219. 

  33. MwengeKahinda, J., E. S. B. Lillie, A. E. Taigbenu, M.Tauteand R. J. Boroto(2008) Developing suitability maps for rainwater harvesting in South Africa. Physicsand Chemistry of the Earth 33 : 788-799. 

  34. Palmeri, L. and M. Trepel(2002) A GIS-based score system for sitting and sizing of created or restored wetlands : two case studies. Water Resources Management 16 : 307-328. 

  35. Prince George's County, Maryland(1999) Low-Impact Development Design Strategies : AnIntegrated Design Approach. 

  36. Ragul, K. andV. Sathish Kumar(2006) Rainwater Management Using Remote Sensingand GIS. GIS Development 

  37. SAWSW(Swedish Associtationfor Waterand Sewer Works) (1983) Iowa Statewide Urban Design Standards Manual. 

  38. Simonds, J. O. (1983). Landscape Architecture. pp. 47-54. 

  39. Statewide Urban Design And Specifications(2007) Iowa Statewide Urban Design Standards Manual. 

  40. U. 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USEPA) (1993) Guidance Specifying Management Measuresfor Sources of Nonpoint Pollutionin Coastal Waters. U. 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41. Urbonas, B. and P. Stahre(1993) Stormwater-Best management practices and detention for waterquality, drainageand CSO management. pp. 7-30, 39-92. 

  42. Van Lonkhuyzen R. A., K. E. Lagory and J. A. Kuiper(2004) Modeling the suitability of potential wetland mitigation sites with geographic informationsystem, Environmental Management 33(3): pp.368-375. 

  43. White, D. and S. Fennessy(2005) Modeling the suitability of wetland restoration potential at the watershed scale. Ecological Engineering 24 : 359-377. 

  44. Yokota, S., T. Fukuda, A. Iwamatsu, T. Wadaand H. masaki(1998) The effect fo rainwater infiltration within aslope of pyroclastic deposits, recorded using automated electric prospecting, Bull Engineering Geology Environment 57 : 5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