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늘분말을 첨가한 떡볶이 떡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pokkidduk Prepared with Garlic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7, 2012년, pp.982 - 987  

김미선 (한국식품연구원) ,  박종대 (한국식품연구원) ,  이현유 (한국식품연구원) ,  박성수 (제주한라대학교) ,  금준석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마늘을 떡볶이 떡에 첨가하여 관능적 특성 향상과 떡볶이 떡의 다양화에 기여하고자 떡볶이 떡에 마늘분말을 0, 1, 3, 5, 7%의 비율로 첨가하여 제조한 떡볶이 떡을 수분함량, 색, 기계적 품질 특성,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마늘 떡볶이 떡의 수분함량은 45.72~46.74%로 나타났으며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마늘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a값과 b값은 마늘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마늘분말 첨가 떡볶이 떡의 기계적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조리 전의 경도는 무첨가구에 비해 마늘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마늘 분말 3% 첨가구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리 후의 경도는 조리 전과 같이 무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부착성과 탄력성은 조리 전과 후에 마늘분말의 첨가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씹힙성은 조리 전과 후에 마늘분말 첨가군이 무첨가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응집성은 조리 전에 1%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으며, 조리 후에는 마늘분말 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점착성은 조리전에 마늘분말 첨가군이 무첨가구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나 조리 후에는 마늘분말 첨가에 따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색, 향의 강도에서 7% 첨가구가 높게 평가받았으며 졸깃함의 강도에서는 1%, 3%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강하게 평가되었으나 7% 첨가구는 낮게 평가되었다. 마늘떡볶이 떡의 색, 향, 맛에 대한 기호도 평가는 7% 첨가구가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조직감의 기호도는 무첨가구와 첨가구들 사이에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무첨가구와 3%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따라서 본 마늘분말을 첨가하여 마늘 떡볶이 떡을 제조할 경우 마늘분말 3% 첨가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pokkidduk, a traditional Korean rice cake,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garlic powder (0, 1, 3, 5, 7 w/w %)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content of Topokkidduk containing garlic ranged from 45.72~46.74%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opokkid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마늘분말을 떡볶이 떡에 첨가하여 관능적 특성 향상과 떡의 기능성 부여 및 떡볶이 떡의 다양화를 위해 마늘 분말이 첨가된 떡볶이 떡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2)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a same column (a-c) differ significant (p<0.05).
  • 2)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a same column (a-d) differ significant (p<0.05).
  • 2)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a same column (a-e) differ significant (p<0.05).
  • 3)Values are mean±SD (n=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의 효능 중 황화합물에 의한 다양한 생리활성은? 3%이며, 그밖에 미량성분으로 마늘 특유의 냄새와 매운 맛 성분인 allicin, 체내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scordinine, 항암 및 혈전의 생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ajoene 등이 대표적인 특수성분으로 알려져 있다(3). 마늘의 효능은 유기 황화합물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으며(4), 황화합물에 의한 다양한 생리활성은 항균, 항암, 항혈전, 혈압강하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항산화 및 노화 방지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5,6). 또한 마늘은 피토케미칼이 풍부한 식품으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제거하고, 지질과산화물 형성 및 저밀도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산화억제, in vitro 계에서 항산화 효능 등이 밝혀져 있으며(7,8), 운동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뚜렷한 혈중지질 저하 효능과 더불어 항산화 효소계를 강화하는 천연기능성 물질로서 충분한 활용성이 인정되고 있다(4).
마늘의 일반성분은? )은 백합과(Liliaceae) 파속(Allium)에 속하는 인경 채소로(1), 원산지는 중앙아시아와 지중해연안으로 세계 각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2),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대표적 향신 채소의 하나로 단순한 양념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어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마늘의 일반성분은 수분 60.4%, 단백질 3%, 지질 0.5%, 당질 34%, 섬유소 0.8%, 무기질 1.3%이며, 그밖에 미량성분으로 마늘 특유의 냄새와 매운 맛 성분인 allicin, 체내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scordinine, 항암 및 혈전의 생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ajoene 등이 대표적인 특수성분으로 알려져 있다(3). 마늘의 효능은 유기 황화합물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으며(4), 황화합물에 의한 다양한 생리활성은 항균, 항암, 항혈전, 혈압강하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항산화 및 노화 방지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5,6).
마늘을 떡에 첨가하여 기능성을 높이는 연구를 하려는 이유는? 마늘의 효능은 유기 황화합물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으며(4), 황화합물에 의한 다양한 생리활성은 항균, 항암, 항혈전, 혈압강하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항산화 및 노화 방지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5,6). 또한 마늘은 피토케미칼이 풍부한 식품으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제거하고, 지질과산화물 형성 및 저밀도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산화억제, in vitro 계에서 항산화 효능 등이 밝혀져 있으며(7,8), 운동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뚜렷한 혈중지질 저하 효능과 더불어 항산화 효소계를 강화하는 천연기능성 물질로서 충분한 활용성이 인정되고 있다(4). 이러한 이유로 마늘을 떡에 첨가하여 기능성을 높이는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Lee CB. 1979.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Seoul, Korea. p 203. 

  2. Jo JS. 1990. Food materials. Gijeunyungusa, Seoul. Korea. p 154-155. 

  3. Kim GM, Shin JH, Kang MJ, Yang SM, Sung NJ. 2010.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garlic powder. J Agric Life Sci 44: 49-56. 

  4. Yoo GA. 2006. Effect of garlic supplement and exercise on plasma lipid and antioxidant enzyme system in rats. J Korean Nutr 39: 3-10. 

  5. Seo HJ. 1999. Effects of garlic on the blood lipids and other serum component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39-1348. 

  6. Beak KH, Kim SS, Tak SB, Kan BS, Kim DH, Lee YC. 2006. Quality characteristic of garlic suspension using protopection hydrolytic enzymes. Korean J Food Preserv 12: 351-356. 

  7. Imai J, Ide N, Nagae S, Moriguchi T, Matsuura H, Itakura Y. 1994.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aged garlic extract and its constiuents. Plant Med 60: 417-420. 

  8. Shin JH, Ju JC, Kwen OC, Yang SM, Lee SJ, Sung NJ. 2004.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Korean J Food & Nutr 17: 237-245. 

  9. Cho MS, Lee JS, Hong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paprika.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33-339. 

  10. Yoon SJ, Shon JW, Jeong JH, Shin AS, Hong JS, Lee JS, Myeong CO. 1993. Traditional Korean food. Yeollingroup, Seoul, Korea. p 6. 

  11. Kim MY, Jeong YK, Son CW, Jhon EW, Kim MR.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ive activities of Spirulina added Korean rice cake (Garaeduk)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6: 8-16. 

  12. Hwang SJ, Kim JW. 2007. Effects of roots powder of balloon flowers on general composi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Korean J Food Culture 22: 77-82. 

  13. Kim HS, Lyu ES. 2010. Optimization of Sulgidduk with green laver powder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54-61. 

  14. Ahn G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amount of purple sweet-pptato powder. Korean J Cul Res 16: 127-136. 

  15. Cho KR.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eok added with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Plen.) powder. Korean J Food & Nutr 22: 229-237. 

  16. Ahn JW. 2009. Properties of rice cakes for Topokki with curry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67- 473. 

  17. Kim SD, Lee SJ, Kang MS, Hong HJ, Ku YS. 1999. Preparation of Sulkiduk added with green tea powder with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Soc Food Sci 15: 216-223. 

  18. Han BR. 2002. Commercialization of Korean rice cake. Korean J Food Cookery Sci 18: 582-585. 

  19. Kim OS. 2003. The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raditional rice cake consumption with an emphasis on the regions of Seoul and its vicinities.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Yongin, Korea. p 40-46. 

  20. Kim SS, Chung HY. 2007. Effects of carbohydrate materials on retarding retrogradation of a Korean rice cake (Karedd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20-1325. 

  21. Shin WC, Park HJ, Song JC. 2006. Optimization of modified starches on retrogradation of Korean rice cake (Garaeduk). Korean J Food & Nutr 19: 279-287. 

  22. Kim SS, Chung HY. 2007. Texture properties of a Korean rice (Karedduk) with addition of carbohydrate materia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205-1210. 

  23. Son HS, Park SO, Hwang HJ, Lim ST. 1997. Effect of oligosaccharide syrup addition on the retrogradation of Korean rice cake (Karedduk).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213-1221. 

  24. Lee HJ. 2001. Effects of hydrocolloids on the retrogradation and the change of texture of Korean rice cake.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p 1-53. 

  25. Choi E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with raw rice bran. Korean J Cul Res 15: 94-104. 

  26. Lee HJ, Park JH, Yoo S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Karedduk containing cactus fruit (Opuntia humifusa)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610-617. 

  27. Yu JH. 2005. Studies on the optimization of Karedduk preparation and functional Karedduk added with mulberry leaves powder. PhD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uwon, Korea. p 95-98. 

  28. Lee JH. 2008.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een rice Garaedduk. Ph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p 49-78. 

  29. Yoo KM, Kim SH, Chang JH, Hwang IK, Kim KI, Kim SS, Kim YC.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leaves and root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10-116 

  30. Chae KY, Hong JS.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on with different amounts of Job's tears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770-776. 

  31. Choi HY.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Paeonia japonica extract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 effects in Sulgidduk.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35-444. 

  32. Kang JH, Yoon S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Julpyun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lotus roo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392-397. 

  33. Han KY, Yoon S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leaf J eolpyun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8. 

  34. Joung HS. 2004. Quality of characteristics of Paeksulgis added powder of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94-98. 

  35. Hong HJ, Choi JH, Yang JA, Kim GY.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eok added with green tea powder. Korean J Soc Food Sci 15: 224-230. 

  36. Kang YS, Cho TO, Hong J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 eolpyon with added mulberry frui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513-519. 

  37. Lee HS, Jang MS. 2005.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of Julpyun affected by Chungmirae (Smilax chnina L.)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482-489. 

  38. Yoon SJ, Lee MY.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oncentrations of Hericium erinace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32-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