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1년 서울 북부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2,914건을 대상으로 GC, HPLC, GC-MSD 및 LC-MSD을 이용한 다종농약다성분분석법에 따라 284종 대한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하였다. 농산물 중 431건에서 농약이 검출되어 14.8%의 검출률을 나타냈으며, 농약 검출빈도가 높은 농산물은 들깻잎 40.0%(28/70), 참나물 35.5%(11/31), 비름나물 30.0%(3/10), 시금치 27.7%(38/137) 순이었다. 이 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농산물은 31건으로 부적합률은 1.0% 였으며 인삼 6건(19.4%), 들깻잎, 부추 각각 4건(12.9%), 파, 돌나물 각각 3건(9.7%), 시금치, 상추 각각 1건(3.2%)등이었다. 분석대상 농약 284종 중에서 검출된 농약 성분은 59종으로 이 중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농약은 21종이었다. 농약의 용도별 분포를 보면 살균제(56.4%)가 살충제(42.1%)에 비해 검출빈도가 높았다. Procymidone의 검출빈도가 가장 높았고 이 중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농약은 tolclofos-methyl, endosulfan, dimethomorph, diniconazole, fludioxonil이였다. 판매점별 분포를 살펴보면 유통되는 농산물의 잔류농약 검출률은 직거래 장터가, 잔류농약기준 초과률은 전통시장이 가장 높았다. 배추에서 검출된 각 농약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PADI 대비 식이섭취율은 diazinon에서 2.9901 %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른 모든 농약도 3.0% 미만으로 나타나 모두 PADI 대비 위해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284 pesticides residue level in 2,914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northern area of Seoul in 2011 by the multi class pesticide multiresidue analysis methods in Korea Food Code using GC, HPLC, GC-MSD and, LC-MSD. The detection rate of pesticide residu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2011년 서울 북부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의 농약잔류 실태를 조사하여 향후 농산물 안전성 관리 기준의 설정 및 잔류농약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약이 현대농업에 기여한 점은 무엇인가? 농약은 현대농업에 있어서 농산물의 증산 및 품질향상을 위한 필수농업자재로서 농산물의 생산성 제고 및 품질향상에 크게 기여하여 오늘날 풍요로운 먹거리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농산물의 생력화를 통해 노동력과 농업 생산비 절감에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농업인의 삶 향상에도 큰 공헌을 하였다(Jang et al., 2010).
미국의 모니터링 사업은 어느 곳이 주관하는가? 실제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은 지속적으로 농산물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검사 및 감시를 실시하여 잔류농약 오염실태 및 그 추이 변화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식품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농약이 최대잔류허용기준 이상으로 잔류하고 있는 농산물을 폐기시킴으로써 유통농산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있다. 미국의 모니터링 사업은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주관으로 1987년부터 현재까지 운용되고 있으며 자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과 가공식품뿐만 아니라 수입품에 대해서도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매년 보고서를 공개함으로써 유통 농산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있다(KREI, 2010). EU (European Union)에서는 회원국에서 자체적으로 농산물 중 잔류농약을 모니터링하여 최종 결과를 EU에서 취합하고, 또한 회원국이 공동으로 대상 농산물과 농약을 선정하여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Kim et al.
잔류농약의 안전성 평가에서 한국 성인 평균몸무게는 얼마로 적용하였는가? 검출된 잔류농약의 안전성은 농산물 중 검출농약의 평균잔류량을 기준으로 산출한 1인 일일섭취추정량(Estimated Daily Intake, EDI)을 1인 일일섭취허용량(Personal Acceptable Daily Intake, PADI)으로 나눈 PADI 대비 식이섭취율로 평가하였다. 한국 성인 평균몸무게는 55 kg (KRISS, 2010)을 적용하였고 검출된 농약 성분의 ADI (Acceptable Daily Intake)는 식품의약품안전청 잔류농약데이터 베이스에서 설정한 값을 적용하였으며, 농산물의 식이섭취량은 국민영양조사보고서(MOHW, 2009)을 참고하였다. 잔류농약이 포함된 농산물 섭취가 안전한지의 여부는 최종적으로 산출한 PADI 대비 식이섭취율 값이 100보다 크면 클수록 일일허용가능 농약섭취량을 초과하는 것이므로 위해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100보다 작으면 작을수록 안전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Do J. A., H. J. Lee, Y. W. Shin, W. J. Choe, K. R. Chae, K. C. Soon and W. S. Kim (2010)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9(6):902-908. 

  2. Hwang Y. S., T. R. Kim, S. J. Jeon, B. C. Choe, J. S. Ahn, Y. J. Lee, M. S. Hong, N. W. Park and S. G. Park (2008) Current status of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gangseo area of Seoul (2008). Report of Seoul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44:58-69. 

  3. Jang M. R., H. K. Moon, T. R. Kim, D. H. Yuk, J. H. Kim and S. G. Park (2010) Dietary risk assessment for pesticide residues of vegetable Seoul, Korea. The Korea Journal of Nutrition Society. 43(4):404-412. 

  4. JMHW Good Sanitation Division and Food Chemistry Division (1999) Pesticide Residues in Foo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okyo. Japan. 

  5. KFDA (2010) Korean Food Code. 58 Multi class pesticide multiresidue method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Korea. 

  6. KFDA (2011) Pesticide Residue Database. Available from: http:// fse.foodnara.go.kr/residue/pesticides/pesticides_info.jsp.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7. Kim M. R., M. A. Na, W. Y. Jung, C. S. Kim, N. K. Sun, E. C. Seo, E. M. Lee, Y. G. Park, J. A. Byun, J. H. Eom, R. S. Jung and J. H. Lee (2008a)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special product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2(4): 323-334. 

  8. Kim T. R., D. H. Yuk, C. K. Hong, K. H. Hwang, S. A. Jo, E. S. Lee, C. M Choi, E. H. Kim, S. H. Han, E. J. Choi, J. H. Kim, and S. G. Park (2009b) Characteristics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collected from the southern area of Seoul in 2009. Report of Seoul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45:21-33. 

  9. KREI (2010) Global agricultural. 119:3-13.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orea. 

  10. KRISS (2010) Report of 6th Size Korea.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 and Science. Korea. 

  11. Kwon H. D. and J. H. Lee (2003a) A study on the pesticide residues of circulating agricultural products in Busan Area (IV). Report of Busan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13:97-117. 

  12. Kwon H. Y., H. D. Lee, J. B. Kim, Y. D. Jin, B. C. Moon, B. J. Park, K. A. Son, O. K. Kwon and M. K. Hong (2009b) Reduc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field-sprayed leafy vegetables by washing and boiling.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4(2):182-187. 

  13. Kwon S. M., E. H. Park, J. M. Kang, H. C. Jo, S. H. Jin, P. J. Yu, B. S. Ryu and G. H. Jeong (2010c) Pesticide residues survey on agricultural products before auction at whole market in Busan Area during 2006-2008.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4(2):86-94. 

  14. Lee E. Y., H. H. Noh, Y. S. Park, K. W. Kang, J. K. Kim, T. D. Jin, S. S. Yun, C. W. Jin, S. K. Han and K. S. Kyung (2009b) Residual characteristics of Etofenprox and Methoxyfenozide in Chinese Cabbage.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3(1):13-20. 

  15. Lee E. Y., H. H. Noh, Y. S. Park, K. W. Kang, S. Y. Jo, S. R. Lee, I. Y. Park, T. H. Kim, Y. D. Jin and K. S. Kyung (2008a)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collected from market in Cheongju and Jeonju.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2(4):357-362. 

  16. MOHW (2009) The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17. Nam H. S., Y. H. Choi, S. H. Yoon, H. M. Hong, Y. C. Park, J. H. Lee, Y. S. Kang, J. O. Lee, Y. P. Hong and H. Y. Kim (2006)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The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0(3):317-324. 

  18. NAQS (2010) A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of Agricultural Products (2010).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Korea 

  19. Seung H. J. S. K. Park, K. T. Ha, O. H. Kim, Y. H. Choi, S. J. Kim, K. A. Lee, J. I. Jang, H. B. Jo and B. H. Choi (2010)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northern area of Seoul.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25(2):106-117. 

  20. Song N. S., M. Y. Lee, S. M. Park, J. D. Kim, H. K. Kang, I. S. Park, C. Y. Lee and G. B. Yoo (2000) A study on the residual pesticide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 Chungcheongnam- Do. Report of Chungnam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