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적인 밤 생산지역인 공주지역의 밤 품종(단택; Tanzawa, 대보; Daebo, 축파; Tsukuba, 옥광; Okkwang)을 활용하여 밤의 산업적 이용가치 및 최적 저장 조건 확립을 위한 체계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미숙기, 수확기 및 저장기에 따른 영양화학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이외의 고형분으로서는 가용성 무질소물과 조단백의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미숙기에서 수확기로 경과됨에 따라 수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고형분 함량이 증가되었다. 무기성분 분석결과 총 8가지 성분이 분석되었으며, 그 중 K P Ca Mg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미숙기에서 수확기로 경과됨에 따라 무기성분 함량이 대부분 증가되었다. 밤에는 총 17종의 아미노산이 존재 하였으며, 시기별로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rginine 및 alanine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대보(Daebo)와 축파(Tsukuba) 품종의 경우 미숙기에서 저장기로 경과됨에 따라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각 품종별 지방산으로는 미숙상태에서는 포화지방산이 다량으로 존재하였으며, 저장기로 지남에 따라 그 함량은 줄어들고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리당으로는 glucose, fructose, sucrose, 및 maltose 4종이 확인되었으며, 미숙기에서 저장기로 경과됨에 따라 총 유리당 함량이 증가되었다. 지용성 및 수용성 vitamin 분석 결과 retinol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beta}$-carotene vitamin $B_1$ niacin vitamin C의 경우 미숙기에서 수확기로 경과됨에 따라 함량이 비교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저장기에서의 각종 vitamin 함량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ositional changes of the Korean chestnut (Castanea crenata) including Daebo, Tsukuba, Tanzawa and Okkwang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characterize them from different periods (immature, mature and storage period). Proximate compositions of mature cultivar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immat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적인 밤 생산지역인 공주지역의 밤 품종(단택; Tanzawa, 대보; Daebo, 축파; Tsukuba, 옥광; Okkwang) 을 활용하여 밤의 산업적 이용가치 및 최적 저장 조건 확립을 위한 체계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미숙기, 수확기 및 저장기에 따른 영양화학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이외의 고형분으로서는 가용성 무질소물과 조단백의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미숙기에서 수확기로 경과됨에 따라 수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고형분 함량이 증가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밤이 전국에 대대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시기는 언제인가? 우리나라의 밤은 대표적인 단기소득임산물로서 산림투자의 장기성에서 오는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밤나무 재배가 실시되었다. 특히 1970년대부터 산림청에서 고소득 작목으로 적극 권장하여 전국에 대대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였다(2). 밤은 주로 명절에 제수용인 생과용, 겨울철의 군밤용, 그리고 통조림의 원료로 55% 정도가 국내에서 소비되며 깐밤, 밤통조림, 생밤용의 형태로 45% 정도가 수출되고 있다(2).
밤은 일반 과실류에 비해 어떤 특성을 갖는가? 밤나무(Castane crenata)는 참나무과에 속하며 우리나라의 기후 풍토에 적응력이 강하고, 그 열매인 밤은 일반 과실류에 비해 수분함량이 낮고, 전분함량이 높은 식품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저장성이 좋은 견과류로서 관혼상제 등의 대사에 필수적으로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적 가치도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기호식품 또는 대용 식량자원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4). 밤에 관한 연구로는 밤에 함유된 peroxidase의 정제 및 특성에 관한 연구(5), 밤 전분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6), Yim 등(7)과 Nha와 Yang(8)의 밤의 저장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밤나무 꽃과 잎의 화학성분 및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9) 등이 진행되었다.
우리나라에서 밤나무 재배가 실시된 이유는? 밤은 임업 재배 중 역사가 가장 오래된 것 중 하나로써 오늘날 다양한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전분과 비타민C 함량이 많고, 영양가가 높아 기호 식품 외에도 대용식량 자원 그리고 최근 각광받는 건강 기능성 소재로서의 식품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1). 우리나라의 밤은 대표적인 단기소득임산물로서 산림투자의 장기성에서 오는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밤나무 재배가 실시되었다. 특히 1970년대부터 산림청에서 고소득 작목으로 적극 권장하여 전국에 대대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였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im DJ, Chung MJ, Seo DJ, You JK, Shim TH, Choe M. Change of constituent components in selected korean chestnut (Castanea crenata) cultivars by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25-234 (2009) 

  2. Son CH, Seok HD, Min KT. Trend and Future of the Domestic Industry for Chestnut. Korea Rural Economics Institute, Seoul, Korea. pp. 77-79 (2003) 

  3. Kim JH, Park JB, Choi CH. Development of chestnut peeling system. J. Korean Soc. Agric. Machinery 22: 289-294 (1997) 

  4. Park CS, Kim WS, Ahn CY, Lee MH. Chestnut, Persimmon, and Walnut. Naewyoi Press, Seoul. Korea. pp. 75-94 (1999) 

  5. Oh SH, Kim YH, Lee SN.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the peroxidase in Castanea Semen.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506-514 (1987) 

  6. Kim SK, Jeon YJ, Lee BJ, Kim YT, Kang OJ.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es. J. Korean Soc. Food Nutr. 24: 594-600 (1995) 

  7. Yim H, Kim CO, Shin DW, Suh KB. Study on the storage of chestnut. Ann. Rep. Food Res. Inst., Korea pp. 215-230 (1979) 

  8. Nha YA, Yang CB. Changes of lipids in chestnu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37-445 (1997) 

  9. Cho GS, JO JS.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rom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leaves and flowers. I. Chemical Compositions. J. Korean Soc. Agric. Biotechnol. 46: 257-261 (2003) 

  10.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The Future of Agriculture. Report 2010. Seoul, Korea. pp. 24-26 (2010) 

  11.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13th ed. Method 920.39, 934.01, 942.05, 954.01, and 974.06.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883-889 (1990) 

  12. Jeong CH, Bae YI, Lee HJ, Shim KH. Chemical components of propolis and its ethanolic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01-505 (2003) 

  13. Jeong CH, Shim KH.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addition of Pleurotus eryngii mushroom pow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716-722 (2004) 

  14. Metcalfe LD, Schmitz AA, Pelka JR. Rapid preparation of fatty acid esters form lipids for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Anal. Chem. 38: 514-515 (1966) 

  15. Choi JH, Jang JG, Park KD, Park MH, Oh SK.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ree sugars in ginseng and its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107-113 (1981) 

  16. Kwak BM, Lee KW, Ahn JH, Kong UY.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vitamin A and E in infant formula by rapid extraction and HPLC with photodiode array dete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89-195 (2004) 

  17. Ha JH, Shim YS, Seo HY, Nam HJ, Masahito I, Hiroaki N. Rapi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beta$ -carotene in foods using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od Sci. Biotechnol. 19: 1199-1204 (2010) 

  18. Kim HS, Jang DK, Woo DK, Woo KL. Comparision of preparation methods for water soluble vitamin analysis in foods by reversed-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41-150 (2002) 

  19. Jeong CH, Lee WJ, Bae SH, Choi SG.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Korean gold kiwifrui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59-865 (2007) 

  20. Kwon JH, Lee J, Lee SB, Chung HS, Choi JU. Effects of water soaking and gamma irradiation on storage quality of chestnuts. Korean J. Postharv. Sci. Technol. 89: 9-15 (2001) 

  21.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Food Composition. 7 e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p. 87-98 (2006) 

  22. Jeong CH, Kwak JH, Kim JH, Choi GN, Jeong HR, Kim DO, Heo HJ. Changes in nutritional components of daebonggam (Diospyros kaki) during ripening. Korean J. Food Preserv. 17: 526-532 (2010) 

  23. Seo DJ, Chung MJ, Kim DJ, You JK, Choe M. Nutritional constituent analysis of korean chestnu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66-176 (2009) 

  24. Nha YA, Yang CB. Changes of constituent components in chestnu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164-1170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