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혈등, 반지련, 보골지, 봉출, 오미자, 현호색 헥산 분획층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n-Hexane Fractions from Spatholobus suberectus (SS), Scutellsria barbata (SB), Psoralea corylifolia (PC), Curcuma zedoaria (CZ), Schisandra chinensis (SC), and Corydalis turtschaninovii (CT)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4, 2012년, pp.493 - 497  

최은정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세훈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심상희 (영남대학교 생명공학부) ,  정현정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방우석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약용식물 6종을 메탄올로 추출한 다음, n-hexane층을 DMSO에 녹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 비교하여 기능성 소재인 천연 항산화제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DPPH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능 실험에서는 250 ${\mu}g/mL$ 농도에서 보골지가 대조군인 ascorbic acid에 비해 높은 유리기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농도 500 ${\mu}g/mL$에서는 ascorbic acid가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ABTS 유리기 소거능 실험에서는 농도 증가에 따른 항산화 활성이 DPPH assay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냈고, 특히 보골지의 항산화 활성이 대조군인 ascorbic acid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ABTS 유리기 소거능 실험 결과 공통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조사 된 약용 식물은 반지련, 보골지이며 500 ${\mu}g/mL$ 이상의 농도에서 ascorbic acid와 유사한 90% 활성을 보였으며 750 ${\mu}g/mL$ 농도에서는 ascorbic acid 보다 우수한 유리기 소거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반지련과 보골지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므로 천연 식물소재로 이용하기에 적합하며, 천연물의 추출 부위, 용매, 추출 조건에 따라 다양한 항산화 활성 능력을 기대 할 수 있으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응용 가능성 또한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n-hexane fractions from medicinal herbs. Certain parts from 6 species of edible and medicinal herb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n-hexane fractions against DPPH and A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단일 성분의 화합물로 된 일반 의약품과 달리 다류의 많은 종류의 성분이 공존혼재(共存混在)하고 있으므로, 성분학적인 품질을 평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메탄올 추출 후, 이를 세분화하여 헥산 분획층의 단일 기능성 성분의 항산화 활성을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헥산 분획층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동양에서 주로 사용되어 온 생약재들의 헥산 분획층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향후 천연 항산화제로써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 나아가 식품 보존제, 화장품 원료 등의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한 약용 식물의 생리활성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행하였다. 높은 수준의 약리 · 임상학적 작용에도 불구하고 약용식물은 그 유효 성분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유 유리기의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생체 조직을 보호하기 위한 합성 항산화제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자유 유리기(free radical)는 활성산소의 과산화 지질로 이것이 정상적으로 소거되지 않을 때, 생체 내에서는 자유 유리기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생기게 된다. 최근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노화 및 다양한 질병의 원인으로 알려지면서, 자유 유리기의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생체 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glutathione, vitamin C, vitamin E, polyphenol, flavonoid, carotenoid 등과 같은 식이 미량영양소와 butylatedhydroxyanisole(BHA)과 butylatedhydroxytoluene(BHT)와 같은 합성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1,2).
합성 항산화제의 사용이 제한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Vitamin E 같은 천연 항산화제는 고가이며, 합성 항산화제는 다량 섭취하게 되면 발암성과 같은 여러 가지 부작용으로 인해 안전성의 문제가 제기되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3). 따라서, 질병의 독성 제거 및 독성 저해를 위한 유리 자유기 scavenger를 천연물에서 추출하여 약용성,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식품 등에 접목시키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합성 항산화제를 다량 섭취 시 발암성과 같은 부작용으로 인해 안전성에 문제가 제기되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어떤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가? Vitamin E 같은 천연 항산화제는 고가이며, 합성 항산화제는 다량 섭취하게 되면 발암성과 같은 여러 가지 부작용으로 인해 안전성의 문제가 제기되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3). 따라서, 질병의 독성 제거 및 독성 저해를 위한 유리 자유기 scavenger를 천연물에서 추출하여 약용성,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식품 등에 접목시키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약용 식물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함과 동시에 천연물로 과산화 지질을 제거하고 산화 작용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천연 항산화제로써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Philip M, Philip D. The of the stable free radical diphenylpicrylhydrazyl (DPPH)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Songklanakarin J. Sci. Technol. 26: 211-219 (2004) 

  2. Kirkinezos IG, Moraes CT. Reactive oxygen species and mitochondrial disease. Semin. Cell Dev. Biol. 12: 449-457 (2001) 

  3. Cho EK, Choi HE, Choi YG. Antioxidant and scavenging activity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water extract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Soc. Food Sci. Nutr. 39: 481-486 (2010) 

  4. Kang MJ, Lee SJ, Lee HJ, Sung NJ, Shin JH.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black garlic. Korean J. Soc. Food Sci. Nutr. 39: 933-940 (2010) 

  5. Ling XM, Chen JP, Wang SX, Zhang Y, Zhang CZ. In vitro estrogenic activities of Chinese medicinal plants traditionally used for the management of menopausal symptoms. J. Ethnopharmacol. 98: 295-300 (2005) 

  6. Rhyu MR, Kim EY, Kim JG, Kim SG, Bae IH.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Sci. Food Technol. 36: 333-338 (2004) 

  7. Roberty R, Anna P, Anna P, Catherine RE, Min P, Nicoletta P.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 1231-1237 (1999) 

  8. Shin SH, Lee CH. Antioxidant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aerial part and rhizomes of ferns native to Korea. Korean J. Plant Res. 23: 38-46 (2010) 

  9. Ryoko I, Tomokazu Y, Kunio E. Preparation of Au/ $TiO_{2}$ nano composites and their catalytic activity for DPPH radical scavenging reaction. J. Colloid Interf. Sci. 288: 177-183 (2005) 

  10. Cho MH, Bae EK, Park JY, Ha SD. Application of natural antimicrobials to food industry. Food Sci. Indus. 38: 36-45 (2005) 

  11. Jeo YH.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cytoprotective effects of Scutellaria barbata D. Don. PhD thesis, University of Sangji, Wonju, Gangwon, Korea (2008) 

  12. Yoon JW, Lee TK, Kim DI. A study of anti-cancer activity of the Scutellaria barbata D. Don. water-extracts. J. Ori. Obstet. Gynecol. 18: 26-39 (2005) 

  13. Park DS, Kim JH, Bae JH, Jung HY, Lee MY.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Korean J. Soc. Food Sci. Nutr. 40: 29-36 (2011) 

  14. Guo J, Weng X, Wu H, Li Q, Bi K. Antioxidants from a Chinese medicinal herb - Psoralea corylifolia L. J. Food Chem. 91: 287- 292 (2005) 

  15. Yoon SY, Kim KBWR, Lee CH, Lee SJ, Lee SY, Ahn DH, Song EJ.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es of Orostachys japonicu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8: 14-18 (2009) 

  16. Park HR, Kim JY, Lee BB, Lee SC, Park EJ, Yoon MY. Antioxidant activity and neuroprotective effect of Psoralea corylifolia linne extracts. Korean J. Pharmacogn. 38: 84-89 (2007) 

  17. Shim S.B. The study of preservative system in cosmetics using botanical antimicrobial. Korean J. Academic-Ind. Soc. 9: 1344-1348 (2008) 

  18. Yu JS, Jung HS, Woo JH, Jang HD, Lee CH.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four Aster species native to Korea. Korean J. Plant Res. 21: 52-59 (2008) 

  19. Bang JE, Choi HY, Kim SI.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various Heracleum moellemdorffii hance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6: 765-771 (2009) 

  20. Jeong JA, Kwon SH, Lee CH.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ctivi ties of extracts from aerial and underground parts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ferns. Korean J. Plant Res. 20: 185-192 (2007) 

  21. Boo HO, Lee HH, Lee JW, Hwang SJ, Park SU. Different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radical scavening activities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L. according to cultuvars. Korean J. Crop Sci. 17: 15-20 (2009) 

  22. Shin JH, Kang MJ, Lee HG, Lee JS, Sung NJ.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black garlic. Korean J. Soc. Food Sci. Nutr. 39: 933-940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