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 한성부 상류주택의 반빗간 연구
A Study on BanBitgan in High-Class Housing in Hanseong-bu (漢城府),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3 no.4, 2012년, pp.1 - 10  

강인선 (원광대학교대학원 건축공학과) ,  홍승재 (원광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about Banbitgan of Anchae in High-Class Housing in Hanseong-bu (漢城府),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by the drawings of Jangseogak Library. which were drawn the figure of house in Hanseong-bu (漢城府), during from the middle part of 17th Century to the end of 19th Century. These d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상황 속에 가옥도면을 통한 반빗간 영역에 관한 연구는 안채의 주요 부속 공간인 반빗간의 모습을 어느 정도 규명할 수 있는 기회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서각 소장 가옥도면과 반빗간의 모습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들을 통해 반빗간의 공간 구성 및 그 연결 수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장서각 소장 가옥도면 중 반빗간의 모습이 나타나는 6가옥과 반빗간 추정 자료를 통해 조선후기 한성부 상류주택 반빗간 공간 구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가설 설정

  • 6) 반빗간의 구분은 공간적 성격에 따라 구분된다. 연구대상 가옥들은 모두 정침과 반빗간이 평면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공간적으로 볼 때 별도의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성부 상류주택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가옥으로는 무엇들이 있는가? 이밖에 한성부 상류주택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가옥으로는 운현궁(1863~1873년), 낙선재(1847년), 연경당(1827년 추정)4), 건청궁(1873년), 윤보선가옥(1870년), 박영효가옥 등이 있으나 부속채까지 온전하게 남은 곳은 찾아 볼 수 없다. 낙선재, 연경당, 건청궁은 궁궐 내 건축된 것으로 당시 상류주택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나 궁궐 내에 취사와 관련된 수라간 등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어 직접적인 살림이 운영되는 일반 상류주택 의안채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옥도면이 중요한 자료인 이유는 무엇인가? 가옥도면은 각 칸 마다 실명이 표기되어 있어 각 집의 배치와 공간구성, 평면구조 및 실의 기능 등을 살펴 볼 수 있다. 특히 가옥의 규모와 함께 안채, 사랑채, 사당 외의 부속공간까지 모두 표현되어 있어 기초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 속에서 한양 상류주택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최근 가옥도형을 통해 가옥의 위치 및 도시적 변화 등이 연구되면서 그 사료적 가치가 입증되고 있다.
반빗간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옛 자료는 무엇이 있는가? 반빗간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옛 자료는 안악3호분 벽화가 있으며 현존하는 가옥은 조선후기 창덕궁 후원에 건축된 연경당이 유일하다. 그러나 최근 공개된 장서각 소장 가옥도면 일부에서 반빗간의 모습을 찾아 볼 수 있어 상류주택의 반빗간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동욱 (2004). 연경당 재건시기에 대한 재론. 건축역사연구, 13(4), 213-217. 

  2. 서울특별시 (1993). 雲峴宮 실측조사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 

  3. 장기인 (1996). 목조(木造). 서울 : 보성각. 

  4. 장기인 (1985). 한국건축사전. 서울: 보성각. 

  5. 주남철 (2003). 궁집(宮家). 서울 : 일지사. 

  6. 주남철 (2010). 한국건축사.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7. 한국학중앙연구원 藏書閣 (2009). 近代建築圖面集-도면편. 서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8. 홍경모 저, 이종묵 역 (2009). 사의당지, 우리 집을 말한다. 서울: 휴머니스트. 

  9. 홍승재 (2009). 장서각소장 가옥도면. 近代建築圖面集 -해설편. 서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10. Han, H. (2008). The life of Yang'ban women and feminine leadership in the late Chosun era - focusing on 17th century Heng'jang -. Korean Association of Woman's History, 9, 1-48. 

  11. Jeong, J. (2003). The spatial composition and its activeutilization of Sadaebu house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University of kyonggi a Doctor's degree Thesis, Suwon. 

  12. Kim, G. (1994). The influence of family ritual on spatial use and plan type of Yangban houses after the Mid-Chosun dynasty. University of Yonsei a Doctor's degree Thesis, Seoul. 

  13. Kim, Y. (200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story space in ㅁ-shaped upper class housings of Chosun dynasty. University of Seoul a Master's degree Thesis, Seoul. 

  14. Park, S. (1991). A sudy on the housing life style and space use of Yang-ban during the Chosun dynasty. University of Yonsei a Doctor's degree Thesis, Seoul. 

  15. Moon, S. (200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kitchen space in Korean modern wealthy farmhouse. Master's degree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16. Son, K. (2010). Kitchen of the government office and food prepared for local governors in 19th century. Youngnam Culture Institute. 17, 207-237. 

  17. Hong, S. (1992).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on the upper-class houses during the Chosun dynasty. University of Hongik a Doctor's degree Thesis, Seoul. 

  18. Hong, S., & Kang, I. (2011). A study on scale and space composition by domains of upper-class housing in Seoul,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1), 95-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