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 커뮤니티 관련 연구들의 시대적 경향분석과 사회적 배경 요인들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in Researches about Multi-Family-Housing Community and the Social Background Factors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3 no.4, 2012년, pp.19 - 31  

강순주 (건국대학교 건축학부 주거환경) ,  김진영 (건국대학교 건축학부 주거환경전공) ,  함선익 (건국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compile all the researches published in the registered academic journals to study the trends of researche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 contents and the social factors so that the accomplishments of community related researches and fut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 시기는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성이라는 중요한 패러다임을 실천하는 시기로서 주거환경 분야에서도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관점아래 거주자의 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며 Lee et al.(2008) 연구에서는 친환경아파트를 대상으로 커뮤니티 공간에 나타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특성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공동주택 커뮤니티 공간 설계 및 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즉 기능적인 공간의 하드웨어 중심의 설계에서 지속가능한 소프트웨어와 휴먼웨어 연계의 총체적 커뮤니티 체계의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한 시기라 하겠다.
  • 주거계획은 주거공간의 양상을 결정하는 것으로 이는 사회적 공통관념과 가치체계의 잣대로서 작용한다.7) 이상의 내용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주거문화로서 등장한 1962년 단지형 아파트(마포아 파트)인 공동주택이 처음으로 건축된 이래 50년의 세월이 지난 지금 공동주택 대상의 커뮤니티 관련 연구들이 어떻게 연구되어 왔는지 그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공동주택의 커뮤니티라는 주거문화의 축이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요소들과의 관계 속에서 시대에 따른 사회 문화적 현상(사회현상 및 주거계획특성), 경제(소득변화), 정책 및 제도(주택정책 및 법률) 측면과 어떻게 엮어지는지 파악해 보고자 한다.
  • Lee and Lee(2007)는 커뮤니티란 동일한 지역에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이 연대의식을 통하여 공동의 가치와 이익을 위해 참여하고, 상호관계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사회적 집단으로 정의하였고, Lee(2008)는 커뮤니티란 특정한 물리적 공간에 속하는 구성원들끼리 심리적으로 또는 사회적으로 소속감을 공유하거나 밀접한 교류가 이뤄지는 집단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의 정의를 특정 지역에 함께 거주하면서 구성원들이 사회적 상호 작용을 도모하여 공동 생활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서로에 대한 유대감과 소속감을 갖게 되는 사회 집단으로 내린다.
  • 본 연구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관련 연구들을 집대성하여 유형화하고, 유형별 연구 내용들의 특성을 사회적 배경 요인들과 함께 분석하면서 향후의 연구 과제들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학술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등재 학술지 논문 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검증된 연구 결과의 분석이라는 장점은 있으나 관련 연구 보고서 및 학위논문까지는 다루지 못한 한계가 있다.
  • 본 연구는 국내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97편의 공동주택 커뮤니티에 관련된 논문을 집대성하여 연구의 경향을 연도별로 연구방법과 연구 내용별로 분석하고 연구경향들의 사회적 배경요인들과의 관계를 소득, 주요사회현상, 주택정책 및 제도, 주거계획특성에서 고찰한 후 우리나라 커뮤니티 관련 연구들의 성과와 남겨진 과제를 모색해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공동주택 커뮤니티에 관련된 논문을 집대성하여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경제 상황과 사회 변화, 이에 대응하는 주택 정책 및 주거계획특성 등의 사회적 배경요인들과 그에 따라 건설되어 온 공동주택 단지를 대상으로 한 커뮤니티 관련 연구 내용들과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는 우리나라 공동주택에서의 커뮤니티 연구들의 시대적 흐름을 이해하는 데도 일조할 것으로 기대되며 우리나라 커뮤니티 관련 연구들의 성과와 향후 남겨진 과제가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한다.
  • 이상의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의 구성요소를 물리적(하드웨어) 요소, 사회적(소프트웨어) 요소, 심리적(휴먼웨어) 요소 등의 3가지 요소로 보고 관련 연구들의 경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즉 물리적인 하드웨어 요소를 연구한 논문은 커뮤니티 관련 시설 및 공간계획, 기능, 시설 이용 등의 내용을 연구한 논문으로, 사회적인 소프트웨어 요소를 연구한 논문은 이웃관계, 프로그램 종류 및 참여, 운영관리 등의 내용을 연구한 논문으로, 심리적인 휴먼웨어 요소를 연구한 논문은 개인의 커뮤니티 의식, 시설 및 프로그램 선호도, 만족도, 요구도, 중요도 등을 연구한 논문으로 분류하여 연구들의 경향을 분석하고자 한다[Table 2].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공동주택 커뮤니티에 관련된 논문을 집대성하여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경제 상황과 사회 변화, 이에 대응하는 주택 정책 및 주거계획특성 등의 사회적 배경요인들과 그에 따라 건설되어 온 공동주택 단지를 대상으로 한 커뮤니티 관련 연구 내용들과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는 우리나라 공동주택에서의 커뮤니티 연구들의 시대적 흐름을 이해하는 데도 일조할 것으로 기대되며 우리나라 커뮤니티 관련 연구들의 성과와 향후 남겨진 과제가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60년대 우리나라의 주택정책은 어떠했는가? 1960년대 우리나라의 주택정책은 도시화 현상으로 인구가 급증하면서 주택공급 확충에 대한 필요성이 야기됨으로써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불량주택 재정비사업 및 대규모 주택건설 공급이 주를 이루었다(Lee & Suh, 2008). 1960년대 초반에 일반 국민에게 아파트에 대한 거부감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여의도에 고층아파트가 성공적으로 공급된 이후 아파트는 중산층을 위한 새로운 주택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Park et al.
Hillery(1955)는 커뮤니티를 어떻게 정의했는가? 커뮤니티에 대한 개념은 매우 다양하게 논의되어 왔다. Hillery(1955)는 지리적 영역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그리고 문화를 서로 공유하고 소속감을 가지는 사람들의 집합체로 정의하였다2).
M.Ross(1958)가 제시한 기본적인 커뮤니티 구성 요소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기본적인 커뮤니티 구성 요소를 제시한 학자 중에 M.Ross(1958)는 공간적인 차원에서의 영역을 함께 공유하는 지역성 (locality), 사회문화적인 차원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함께하면서 집단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공동체성(communality), 구조적인 차원에서 독자적인 실제로서 존속하기를 꾀하는 유기체성(organism) 속성을 들고 있다.3) 또한 Davies and Herbert(1993)는 커뮤니티를 지역적 영역(영역, 환경, 시설등), 상호작용(활동과 참여 등), 인지적 정체성(평가, 감정과 애착 등)으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강부성 외 6인 (2007).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역사. 공동주택 연구회. 

  2. 계기석.천현숙 (2000). 커뮤니티 중심의 주거환경정비 연구. 국토연구원. 

  3. 대한주택공사 (1999). 커뮤니티 개념을 도입한 도시정비 활성화 방안 연구. 

  4. 박광재.서수정.백혜선 (2001). 아파트 공동체 실현을 위한 방안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5. 박신영.백혜선.임정민.정소이.석혜준 (2010). 소득3- 4만불 시대의 주택수요 특성과 주택공급방식.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6. 백혜선 (2010). 4장 주거와 사회환경. 건축 테스트북 주거론. 대한건축학회. 

  7. 손세관 (2000). 한국주거문화의 전개상황과 향후 대책 및 전망. 단국대 한중일 주거건축 디자인의 현황과 전망 국제 학술회의 자료집. 

  8. 은난순 (2011). [Thema & Issue] 아파트 커뮤니티 활성화 현황 -서울시 커뮤니티 지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지住居, 6(2), 5-10. 

  9. 조성희.이경희.이영석.박경옥 (2007). 공동주택 주거문화 제고 방안 연구(건설교통부 연구보고서). 건설교통부, (사)한국주거학회. 

  10. 주거학연구회 (2005). 넓게보는 주거학. 서울: 교문사. 

  11. 한국개발연구원 경제정보센터 (2009). 한국의 사회동향2009 (통계청 연구보고서). 서울: 통계청. 

  12. Bag, I., & Yang, S. (1998). A study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facilities of urban housing complexes.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33(2), 135-147. 

  13. Cho, S., & Kang, H. (1998). A study on the residents' attitudes for the shared community space of a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9(3), 47-57. 

  14. Cho, S., & Kang, H. (2002). A study on the residents' behavior for the planning of the shared community spac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3(3), 103- 113. 

  15. Cho, S., & Choi, I. (2011). Design elements related to territoriality for apartment community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1), 57-64. 

  16. Choi, J., & Lee, J. (200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ty facilities for the community activation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 Journal of the Residention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2(1), 111-126. 

  17. Choi, J., & Kwak, In. (2005). The perceptions and satisfactions of high-rise mixed-use apartments' common space and family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6(6), 29-38. 

  18. Choi, S., & Seok, H. (2002). A study on the facility utilization and the residents' congnition of public open space in apartment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3(3), 93-101. 

  19. Choi, Y., & Kim, M. (2009). The residents' satisfaction on the facilities and programs of community center in apartment - focused on the apartment in gwang-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5), 51-59. 

  20. Davis, W. D. & Herbert, D. (1993). Community within Cities. p. 36. London: Belhaven Press. 

  21. Hwang, Y., Byun, H., Lee, S., & Eo, S. (2010). A case study of layout plan and use of indoor community spaces in rental apartment complexe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4), 99-109. 

  22. Jo, Y., Lee, K., & Ha, M. (2006). A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the community facilities in the apartment housing. Proceeding of Conference i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6(1), 33-36. 

  23. Joe, K. (2002). A study on the identity of place in a new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3(6), 67-77. 

  24. Kang, S. (2001).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programs in multi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2(2), 55-63. 

  25. Kang, S. (2010).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partment community facilities and post occupancy evaluation - focused on the apartments complex in daegu-.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4), 111-120. 

  26. Kim, H., & Lee, H. (1989). A study on the formation of a neighbor group in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5(6), 111-118. 

  27. Kim, H., & Lee, Y. (2008). Study on the consciousness about community facility according to age group of residents in apartment building. Journal of the Korea Insi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8(4), 55-62. 

  28. Kim, J., Yoon, A., & Ha, M. (2007).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considering the aging society. Proceeding of Conference i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1), 631-634. 

  29. Kim, K., & Nam, J. (2005). An empirical evaluation on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public rental housing in the redevelopment complex according to the site layout characteristic.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40(7), 73-86. 

  30. Kim, N., Kim, J., Lee, H., Hong, D., & Ha, M.(2007). A study on the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og community facilities in housing complexes.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6(6), 96-105. 

  31. Kim, S., & Shim, W. (2004). A study on regulation of outdoor service facilities and outdoor space considering of household dens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8), 107-116. 

  32. Kim, Z. (1973). On the planning of living space based on the housewives' neighboring on the housing commun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7(1), 3-6. 

  33. Kwak, D., Eun, N., & Ha, S. (2004). A study on the apartment community revitalization : with the case of new town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Housing Studies Review, 12(2), 139-160 

  34. Kwon, O., Kwak, I., Rhee, K., & Choi, J. (2001). A study on the activity programs at community center for citizens' welfare toward new millennium.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8), 19-35. 

  35. Lee, K.(2009). Effecta of neighborhood's walking environment on resident's sense og community-a case study of 12 areas in seoul-.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7), 203-210. 

  36. Lee, N., & Suh, K. (2008). A study on the cahnging trends of community space in apartment complexes in the national capital from 1960s to 2007.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3), 95-104. 

  37. Lee, W., & Kang, S. (2008).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residential conditions and the community consciousness of the national rental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2), 19-30. 

  38. Lee, Y., Shin, H., & Hong, M.(1997). Comparative analysis of shared space needs according to social class through small group workshop panel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8(1), 1-12. 

  39. Lee, W., & Lee, C. (2007).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future-oriented community serve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42(4), 95-113. 

  40. Noh, Y., & Hwang, Y. (2005). A Study on Interior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Facility in High rise Mixeduse Apart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ty of Basic Design & Art Association, 6(4), 209-219. 

  41. Park, J., Yoon, J., & Park, J. (2008). The study on consciousness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focused on residents and management-.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284-289. 

  42. Park, K. (2010). Establishment of the social environment to active communities in apartment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1), 141-150. 

  43. Rhee, Ji. (2008). The method of resident participation for community revitalization in civil renaiss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7(3), 533-540. 

  44. Rhee, K., & Chae, H. (2004). Sense of community and community interaction of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residents: comparisons between groups of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residents and their expected resid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3), 1-9. 

  45. Seo, J., & Ha, S. (2009). The Effect on Social Capital and Apartment Communit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44(2), 183-193. 

  46. Shin, H., Kim, Y., Lee, S., & Jo, I. (2011). A case study on the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and the needs and satisfaaction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9(1), 83-93. 

  47. Shin, Y., & Kim, Z. (1989). Neighboring of house wives i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5(1), 15-20. 

  48. Sohn, S., & Kim, W. (2009).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using community facilities and its proper size in a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6), 145-155. 

  49. Son, S., & Lee, T. (1999). A study on the shared space in the residential part of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5(9), 37-45. 

  50. Shon, S., & Park, Y. (1989). Astudy on the intimany of exterior space in apartment hous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 59-61. 

  51. Yim, S., Lee, C., & Jeon, H. (2003). Restoration of local community based on apartment residential space.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9(3), 314-328. 

  52. Yon, T., & Shin, Y. (2005). A field study on the management and uses of resident's common service facilities in multi-family housing through housing managers' interview.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1(10), 121-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