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대 근무 간호사와 비교대 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및 정신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Mental Health Status of Shift and Non-Shift Nurses on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6 no.2, 2012년, pp.268 - 279  

윤지영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함옥경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조인숙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임지영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contrast health promoting behavior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between shift nurses and non-shift nurses and to evaluate factors influencing their quality of life.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113 non-shift nurs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대 근무 간호사와 비교대 근무 간호사 간에 건강증진행위, 정신건강 및 삶의 질의 차이를 알아보고, 간호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서 간호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교대 근무 간호사와 비교대 근무 건강증진, 정신건강, 삶의 질을 위한 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일개도시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PRECEDE 모형을 적용하여, 1단계 사회적 사정 영역에서 교대 및 비교대 간호사의 삶의 질 수준을 확인하고, 2단계 역학적 사정에서 간호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건강 수준을 파악하며, 3단계 행위 및 환경적 사정에서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증진 행위를 파악하여 이들 변수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교대 근무 간호사와 비교대 근무 간호사간에 건강증진행위, 정신건강수준 및 삶의 질의 차이를 알아보고, 간호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의 증진을 통하여 건강수준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RECEDE 모형은 최종결론으로부터 시작하여 원인을 찾게 하는 연역적 사고를 가지고 있고 건강문제에 대하여 포괄적인 접근보다는 문제 중심적 접근을 하여 지역사회나 개인요구의 본질을 분석하는 이론으로, 1단계 사회적 사정, 2단계 역학적 사정, 3단계 행위 및 환경적 사정, 4단계 교육 및 생태적 사정, 5단계 행정 및 정책적 사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PRECEDE 모형을 적용하여, 1단계 사회적 사정 영역에서 교대 및 비교대 간호사의 삶의 질 수준을 확인하고, 2단계 역학적 사정에서 간호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건강 수준을 파악하며, 3단계 행위 및 환경적 사정에서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증진 행위를 파악하여 이들 변수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교대 근무 간호사와 비교대 근무 간호사간에 건강증진행위, 정신건강수준 및 삶의 질의 차이를 알아보고, 간호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의 증진을 통하여 건강수준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설계는 종합병원에 근무 중인 교대 및 비교대 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 및 정신건강, 삶의 질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임상에서 근무하는 교대 근무 간호사와 비교대 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정신 건강 수준과 삶의 질을 비교하고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간호사의 정신건강 수준과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기관에 있는 많은 직업들 중 특히 교대근무가 불가피한 직업은? 의료기관은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기관으로 24시간 내내 가동하여야 하는 곳이다. 의료기관에 많은 직업들이 있지만 특히 간호직은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양질의 간호를 제공해야 하는 업무로 교대 근무가 불가피하다(Lee et al., 2006).
PRECEDE 모형을 적용한 연구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PRECEDE 모형을 적용하여, 1단계 사회적 사정 영역에서 교대 및 비교대 간호사의 삶의질 수준을 확인하고, 2단계 역학적 사정에서 간호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건강 수준을 파악하며, 3단계 행위 및 환경적 사정에서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증진 행위를 파악하여 이들 변수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교대 근무 간호사와 비교대 근무 간호사간에 건강증진행위, 정신건강수준 및 삶의 질의 차이를 알아보고, 간호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의 증진을 통하여 건강수준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PRECEDE 모형이란? 그 동안 교대 근무 간호사와 비교대 근무 간호사들의 건강수준(Kim, 1997; Kim, 2004)이나 삶의 질(Kim, 2010: Yoon, Gook, Lee, Shin & Kim, 1999)등 단일 변수를 비교하는 논문은 수행되어 왔으나, 교대 근무 간호사와 비교대 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정신건강 및 삶의 질 등 다양한 측면의 지표를 비교하면서 삶의 질 관련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지 않았는데, 이들 변수의 관계는 Green의 PRECEDE 모형(Predisposing, Reinforcing, Enabling Causes in Educational Diagnosis and Evaluation)의 일부 단계를 차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Green, Kreuter, 1999). PRECEDE 모형은 최종결론으로부터 시작하여 원인을 찾게 하는 연역적 사고를 가지고 있고 건강문제에 대하여 포괄적인 접근보다는 문제 중심적 접근을 하여 지역사회나 개인요구의 본질을 분석하는 이론으로, 1단계 사회적 사정, 2단계 역학적 사정, 3단계 행위 및 환경적 사정, 4단계 교육 및 생태적 사정, 5단계 행정 및 정책적 사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PRECEDE 모형을 적용하여, 1단계 사회적 사정 영역에서 교대 및 비교대 간호사의 삶의질 수준을 확인하고, 2단계 역학적 사정에서 간호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건강 수준을 파악하며, 3단계 행위 및 환경적 사정에서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증진 행위를 파악하여 이들 변수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k, Y. J, & Kim, I. S. (2000). A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2(3), 477-489. 

  2. Cho, Y. S., Park, J., Ryu, S. Y., Kang, M.G., Min, S., Kim, H. S., Ha, Y. J., & Kim, E. A. (2012).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health promotion life style on job satisfaction in general hospitals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5-15. 

  3. Choi, H. J. (2008). Comparison of health conditions, sleeping condition,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job between nurses working only during day and those working in shift.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Kyunghee, Seoul. 

  4. Derogatis, L. R, Limpan, R. S., & Covi, L., (1973). The SCL-90: An outpatient psychiatric rating scale: preliminary report. Psychopharmacology Bulletin, 9,13-27. 

  5. Green, L. W. & Kreuter, M. W. (1999). Health Promotion Planning: An Educational and Ecological Approach, 3rd Edition. California: Mayfield Publishing Company. 

  6. Han, K. S., Kim, J, H. Lee, K. M. & Park, J, S. (2004).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hospital staff nurses. Journal Korean Academic Psycho Mental Health Nursing, 13(4), 430-437. 

  7. Han, K. S., Yum, S. K., Cho, J. Y., & Jung, Y. K. (1997). A study of professional attitudes and mental health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2), 364-376. 

  8. Jeon, M. S. (2005). A study on middle-aged nurses'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Hanyang, Seoul. 

  9. Jung, A. S.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a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general hospit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Hanyang, Seoul 

  10. Kim, H. Y.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resourcefuln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Konkuk, Seoul. 

  11. Kim, J. E. (2004). Health evaluation of general hospital nurses by their working patt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Yonsei, Seoul. 

  12. Kim, M. K. (2001).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dices and quality of life indi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Yonsei, Seoul 

  13. Kim, M. O. (1993). A study on nurses' quality of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Hanyang, Seoul. 

  14. Kim. S. O. (1997). A study health condition and shift service of the nurse in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3(1), 119-133. 

  15. Kim, Y. S. (2010). Comparison of the quality of life between shift workers and non-shift workers in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Keimyung, Daegu. 

  16. Kim, Y. K. (2001).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shift-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Donga, Pusan. 

  17.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2).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health behaviors. Seoul: Author. 

  18. Lee, B. Y., Jo, H. S. & Kwon, M. S. (2010). Survey on quality of life,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4(1), 49-60. 

  19. Lee, K. J., Kim, M, R., Lee, A. S., Lee, J. H., Jang, Y. H. & Jung, M. S. (2006) Research about development of working type for improving work conditions on nursing. Seoul: Report of service for working nurses of hospitals. 

  20. Oh, E. J. (2004).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emergency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Kyungsang, Kyungsang namdo 

  21. Park, H. J & Kim, H. J. (2000). A study on health-promoting lifestyle and its affecting factors of hospital nurses.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9(2), 94-109. 

  22. Park, H. J. (2008). Assertiveness and mental health of clinic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Ajou, Gyeonggido. 

  23. Park, I. S. (1995). A study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usan national, Pusan. 

  24. Park, S. Y. (1997). A study on health-promoting lifestyles and their affecting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10(1), 51-63. 

  25. Park, S. Y. (2009). A study on depress, ADL, IADL, and QOL among community-dwelling, low income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3(1), 78-90. 

  26. Park, Y. M. (2005). Interrelation of living habits and living quality of shif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Gyeonggi, Gyeonggido. 

  27. Son, K. H. (2006). Daytime sleepiness and fatigue in adult men according to shift wor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nam, Jeollabukd 

  28. Yang, S. A. (2012).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elderly women in a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158-173. 

  29. Yoo, H. J. (2004).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Korean adult quality of life and comparative study of various scio-demo graphic group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nha, Incheon. 

  30. Yoon, J. S., Gook, S. H., Lee, H. S., Shin, I. S., & Kim, A. J. (1999). Sleep patter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nurses on rotating shift and daytime fixed work schedule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4), 713-7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