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과 자녀가치관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Value of Children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50 no.5, 2012년, pp.79 - 89  

박수빈 (부산대학교 가정교육학과) ,  김희화 (부산대학교 아동가족학과.노인생활환경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value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is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value of children to mothers with young child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어머니의 자녀가치관이 출산여부를 결정한다는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어머니의 자녀가치관 향상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실질적으로 출산을 계획하고 현재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자녀가치관은 사회인구학적인 변인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가족주의 가치관, 양육효능감, 자녀의 기질, 준거집단의 자녀가치관 등 다양한 변인들이 관련될 수 있음을 밝혔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연구가 미흡한 자녀가치관에 관심을 가지고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자녀가치관의 차이를 밝히고 어머니의 심리적 요인인 가족주의 가치관과 양육효능감, 부부관계 친밀감, 어머니의 환경적 요인인 자녀의 기질, 준거집단의 자녀가치관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자녀가치관에 기초한 출산 증대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37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자녀가치관의 차이를 알아보고, 자녀가치관과 관련될 것으로 추정되는 어머니의 가족주의 가치관, 양육효능감, 부부관계 친밀감, 자녀의 기질, 준거집단의 자녀가치관 변인들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 따라서 다양한 자녀가치관 변화를 통한 출산 증대를 위해서는 주변인들의 긍정적 자녀가치관 형성을 위한 방안이 절실함을 알 수 있다. 양육인프라구축 및 정부의 경제적 지원도 좋지만 긍정적 자녀가치관 형성을 위해서는 기혼여성 나아가 미혼 여성의 자녀가치관 증대를 위한 홍보 캠페인 및 가치관 교육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본 연구는 제시해 준다. 반면에 부부관계 친밀감은 자녀가치관 어떤 하위 영역과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연구가 미흡한 자녀가치관에 관심을 가지고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자녀가치관의 차이를 밝히고 어머니의 심리적 요인인 가족주의 가치관과 양육효능감, 부부관계 친밀감, 어머니의 환경적 요인인 자녀의 기질, 준거집단의 자녀가치관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자녀가치관에 기초한 출산 증대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기 시작한 기점은 언제였는가? 우리나라는 1983년을 기점으로 저출산 현상이 30년 가까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거시적으로 정부에서는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2006년에 2010년 출산율을 1.
2006년에 수립한 마지플랜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1983년을 기점으로 저출산 현상이 30년 가까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거시적으로 정부에서는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2006년에 2010년 출산율을 1.6으로 회복하려는 새로마지플랜을 수립하였지만 2010년의 합계출산율이 여전히 1.22명에 그치고 있고(Statistics Korea, 2010) 이외에도 다양한 정책이 시도구군 차원에서 시행되고 있지만 지방 간 지원의 차이도 크고 한시적 사업이 많은 한계점이 있다.
출산율 증가를 위한 경험적 연구를 통해 어떤 것이 밝혀졌는가? 출산율 증가를 위한 경험적 연구로는 출산의 주체자인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출산결정에 관련되는 요인을 밝혀내는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Cheon, 2005; Kwang, 2007; Lee, 2007; Ma, 2007). 이들의 연구결과에서 자녀가치관이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짐에 따라 자녀가치관이 긍정적이고 정서적 자녀가치관이 높을수록 후속출산을 하고자 하는 경향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Chung & Chin, 2008; Kwon & Kim, 2004; Lee, 2007; Ma, 2007; Nauck, 2007). 이는 전통적으로 자녀출산은 결혼 후에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결과이었지만 점차 개인의 선택사항으로 변화해가고 있고 특히 둘째아 출산은 개인적 가치와 경험에 의한 선택적 행동이 되면서 저출산 문제가 해결되고 있지 않는 시점에서 저출산 문제 해결방안으로 자녀를 둔 어머니의 출산율 증가는 자녀가치관의 변화를 통해 모색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nold, F., Bulatao, R. A., Buripakdi, C., Chung, B. J., Fawcett, J. T., Iritani, T., et al. (1975). The value of children: A cross-national study, Vol. 1. Honolulu: East West Population Institute. 

  2. Bae, K-M. (2007). Parents' perception of the value of child in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3. Bulatao, R. A. (1981). Values and disvalues of children in successive childbearing decision. Demography, 18, 2-26. 

  4. Cheon, H-J. (2005). The characteristics of couples by their desires for a second child.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3), 25-33. 

  5. Choi, W-S. (2003). Conceptions of life and mechanism of value consciousness transforma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An educational aspect of 'theory of global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6. Chung, H-E., & Chin, M-Y. (2008). The intention of having a second child by the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women.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13(1), 147-164. 

  7. Dodd, C. H. (1982). Dynamic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New York: McGraw-Hill Humanities. 

  8. Han, S-Y. (1996).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 poorness-of-fit of tempera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9. Heo, E-J. (1988). The value of children and childrear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levels of parental educations and the sex of par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0. Jang, S-W., Chung, H-J., & Lee, J-Y. (2011). The influence of family-of -origin experiences and marital intimacy on parent-child relation.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15(4), 93-111. 

  11. Kim, G-H. (2011). The effects of employed an unemployed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on life-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5), 49-57. 

  12. Kim, J-R., & Kim, K-S. (2009). The influence of family functioning and familism on awareness of parent-supporting in college students.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13(4), 133-149. 

  13. Kim, U., Park, Y-S., & Kwon, Y-E. (2005). Intergenerational analysis of family among Korean mothers: With specific focus on values of children, socialization attitudes, and support of elderly paren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1(1), 109-142. 

  14. Kim, U., Park, Y-S., Kwon, Y-E., & Koo, J. (2005). Values of childr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ocial change in Korea: Indigenous, cultural, and psychological analysis.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54(3), 338-354. 

  15. Kwang, Y-J. (2007). Family-related factors affecting the second birth decision: Focus on the value of children and family relationships.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8(4), 639-653. 

  16. Kwon, Y-E., & Kim, U-C. (2004). Values of children and fertility.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al, 13(1), 211-226. 

  17. Lee, I-H., Park, J-E., & Choi, S-Y. (2010).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infants.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al, 19(4), 81-91. 

  18. Lee, J-W. (2007). The study on intention of second childbirth in working women with a chil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9. Lee, K-H. (1998). Marriage types classified by wive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nd intima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 Lee, M-R. (2010).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married women upon value on children and upon childbirth behavior.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15(1), 99-121. 

  21. Lee, S-M. (2004).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relations maternal social support, parenting efficacy, and the mothers' aspiration of their children's attain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2. Ma, M-J. (2007).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tention and the avoidance of second childbirth of working coup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3. Moon, H-J. (1999). The influence of working moth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on the child-rearing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7(6), 97-107. 

  24. Muslow, M., Caldera, Y. M., Pursley, M., Reifman, A., & Huston, A. C. (2002). Multilevel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stress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 944-956. 

  25. Nauck, B. (2007). Value of children and the framing of fertility: Results from a cross-cultural comparative survey in 10 societies.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3(5), 615-629. 

  26. Nauck, B., & Klaus, D. (2007). The varying value of children: Empirical results from eleven societies in Asia, Africa and Europe. Current Sociology, 55(4), 487-503. 

  27. Seo, M-J.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al roles and postpartum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relationships and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self-percep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2(6), 107-121. 

  28. Statistics Korea (2010). Total Fertility Rates. http://www. kostat.go.kr. 

  29. Tobin, P., Clifford, W. B., Mustian, R. D., & Davis, A. C. (1975). Value of children and fertility behavior in a triracial, rural county.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6, 46-55. 

  30. Yang, M-S. (1996). A study on the values of marriage, child and sex role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4(2), 167-1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