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소수 개념의 발달과 교육적 함의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complex number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원문보기

한국수학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25 no.3, 2012년, pp.53 - 75  

이동환 (한국과학창의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복소수 개념이 정당화되는 과정에서 실수와 허수 사이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보았다. 허수가 처음 등장한 16세기에 수학자들은 현재와 동일하게 허수를 계산할 수 있었지만 허수를 수학적 대상으로 인정하기까지는 200여년의 시간이 필요했다. 수학이 발달하면서 나타나는 새로운 문제 상황이 실수와 허수의 조화를 요구하였고, 그 결과 복소수의 개념이 점차 명확해졌다. 복소수 개념 발달의 역사는 실수와 허수의 대립이 해소되어 실수와 허수를 복소수로 포괄할 수 있는 관점을 찾아가는 과정이었다. 실수와 허수가 어떤 점에서 대립을 하였고, 수학자들은 이러한 대립에 어떻게 대처하였는가에 분석의 초점을 두고, 실수와 허수의 관계를 정립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새로운 사고방식이나 관점을 확인하고 그 영향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가 보여주는 교육적 함의를 기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imaginary numbers were first encountered in the 16th century, mathematicians were able to calculate the imaginary numbers the same as they are today. However, it required 200 years to mathematically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imaginary numbers. The new mathematical situation that arose with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수학에서 복소수를 도입한 이유는? 학교수학에서는 x2+1 = 0과 같은 특수한 이차방정식을 풀기 위해 복소수가 필요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복소수를 도입한다. 그러나 모든 이차방정식이 근을 가질 필요는 없었다.
삼차방정식을 푸는 일반적인 공식을 최초로 발견한 수학자는 누구인가? 삼차방정식을 푸는 일반적인 공식을 최초로 발견한 수학자는 이탈리아의 Cardano(1501–76)였다. Cardano는 놀라운 치환을 통해 삼차방정식을 이차방정식 문제로 환원하여 일반적인 해법을 얻었다.
드모르간이 자신의 저서에서 직선을 대상으로 하는 이중대수을 처음부터 설명하지 않은 이유는? 그렇다면 그가 자신의 저서에서 왜 처음부터 직선을 대상으로 하는 이중대수를 설명하지 않았을까? 본래 수학교육에 관심이 많았던 드모르간은 이중대수라는 대수의 완성된 모습을 학생에게 설명하는 과정을 고민한 결과, 그 과정은 단계를 반드시 거쳐야 하고 이 때 기호 대수가 산술대수와 의미대수를 연결하는 데 꼭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드모르간은 대수가 단지 일반화된 산술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irkhoff & MacLane, A survey of modern algebra(4th ed.), NY: Macmillan, 1977. 

  2. J, Bos, Redefining Geometrical Exactness: Descartes' transformation of the early modern concept of construction, NY: Springer-Verlag, 2001. 

  3. Bourbaki, Elements of the history of mathematics, 1984. 

  4. G, Cardano, Ars magna, 1545. English translation: R. T. Witmer, Ars magna or the rules of algebra (M.I.T. Press, Cambridge MA, 1968), Reprinted by Dover (New York, 1993). 

  5. T, Dantzig, Number : The language of science(4th ed.), NY: The Free press, 1954. 

  6. R, Descartes, The geometry of Rene Descartes : with a facsimile of the first edition(translated by David E. Smith & Marcia L. Latham), NY: Dover Publications, 1954. 

  7. Dieudonne, Mathematics-The Music of Reason, Springer, 1926. 

  8. L, Euler, On the controversy between Leibniz and Bernoulli concerning logarithms of negative and imaginary numbers, 1749. (Translated by Stacy G. Langton) [http://home.sandiego. edu/-langton/elog.pdf] 

  9. E, Glas,"Fallibilism and the Use of History in Mathematics Education." Science & Education, Vol. 7, Issue 4(1998), pp. 361-379. 

  10. D, Hilbert, "Uber das Unendliche" [On the infinite], Mathematische Annalen 95, (1926) (Lecture given Munster, 4 June 1925. English translation in van Heijenoort 1967, pp. 367-92) 

  11. I, Kleiner, "Thinking the unthinkable: the story of complex numbers" (with a moral), Mathematics Teacher, Vol. 81, Issue 7(1988), pp. 583-592. 

  12. F, Klein, Elementary Mathematics from an Advanced Standpoint: Arithmetic.Algebra.Analysis, NY: Dover Publications, 1968. 

  13. D, Laugwitz, Bernhard Riemann, 1826-1866 : turning points in the conception of mathematics, 1996. (translated by Abe Shenitzer) 

  14. S, Mac Lane, Mathematics, form and function, NY: Springer-Verlag, 1986 

  15. A, Macfarlane, Ten British Mathematicians of the 19th Century, 1916. 

  16. De Morgan, Trigonometry and Double Algebra, London: Taylor, Walton and Maberly, 1849. 

  17. De Morgan, On the study and difficulties of mathematics(2nd ed), Chicago: Open Court Publishing, 1898. 

  18. E, Nagel, "Impossible Numbers: A Chapter in the History of Modern Logic." Studies in the History of Ideas, 3,(1935), pp. 429-479. 

  19. J, Stillwell, Numbers and geometry, NY: Springer, 1998. 

  20. H. J. S, Smith, The Collected mathematical papers of Henry John Stephen Smith(Edited by J.W.L. Glaisher), The Clarendon Press, Oxford, 1894. 

  21. Tignol, J. (2001). Galois' Theory of Algebraic Equations, NJ: World Scientific. 

  22. C, Wessel, On the Analytical Representation of Direction(translated by Flemming Damhus(1999)). Copenhagen: Kort & Matrikelstryrelsen, 179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