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노인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독거노인 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Volunteer-Run Peer Support Program on Health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4, 2012년, pp.525 - 536  

김수현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a peer support program conducted by older community volunteers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Methods: Thirty volunteers trained as peer supporters were matched with low-income,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on gender. 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노인 자원봉사자를 활용하여 독거노인의 안전과 건강상태를 수시로 점검하고 이들의 건강 관리를 효율적으로 돕기 위하여 개발된 “독거노인 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노인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신체적 건강상태, 정신적 건강상태, 사회적 기능 및 사회적 지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연구 설계를 이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시작 직전, 프로그램 시작 후 6개월, 프로그램 시작 후 12개월 시점에 결과 변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안전과 건강을 증진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노인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독거노인 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신체적 건강상태, 정신적 건강상태, 사회적 기능 및 사회적 지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독거노인 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은 신체적 건강상태와 우울 및 사회적 기능과 사회적 지지 만족도의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 연구 결과 독거노인 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은 신체적 건강상태와 우울 및 사회적 기능과 사회적 지지 만족도의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독거노인 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은 국내 최초로 시도된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독거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서 독거노인에 대한 상시적인 건강상태 확인과 건강 관리 지지를 통하여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를 증진하는데 비용 효과적인 중재라 하겠다.
  •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독거노인 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신체적 건강상태, 정신적 건강상태, 사회적 기능 및 사회적 지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에 있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노인 자원봉사자를 활용하여 독거노인의 안전과 건강상태를 수시로 점검하고 이들의 건강 관리를 효율적으로 돕기 위하여 개발된 “독거노인 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기존에 독거노인의 안부나 안전을 단순히 확인하는 수준에서 벗어나서, 노인 자원봉사자들이 보건소 방문 간호사의 긴밀한 협력 하에서 결연을 맺은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망이자 건강 관리 지지자로서 활동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에 따라 독거노인과 같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 자원봉사자를 “독거노인 건강지킴이”로 위촉하였으며, 지역 공동체의 지리적 근접성을 바탕으로 한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망으로서 빈번한 면대 면 접촉을 통해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고 비용 효과적인 건강 관리 지지자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 , 2011). 중재의 충실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자원봉사자들의 활동내용을 상세히 교육하고 방문 시마다 일지에 기록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활동일지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주로 말벗, 안부 확인, 건강 확인, 투약 확인, 실내운동 등이 많았고, 자원봉사자들이 건강 관리 지지자로서 실제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를 확인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가설 설정

  • “독거노인 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의 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중재를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중재 시작 후 6개월, 12개월에 사회적 기능과 사회적 지지 만족도가 더 높을 것이다.
  • 제1가설: 독거노인 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의 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중재를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중재 시작 후 6개월, 12개월에 신체적 건강상태가 더 양호할 것이다.
  • 제2가설: 독거노인 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의 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중재를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중재 시작 후 6개월, 12개월에 정신적 건강상태가 더 양호할 것이다.
  • 제3가설: 독거노인 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의 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중재를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중재 시작 후 6개월, 12개월에 사회적 기능과 사회적 지지 만족도가 더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1년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중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중은 2011년 전체 인구의 약 11.3%로 추산되고 있다(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1).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주목할 변화는 독거노인, 즉 홀로 사는 노인 단독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 노인 단독가구의 수는 어떻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는가?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주목할 변화는 독거노인, 즉 홀로 사는 노인 단독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2010년 우리나라 노인 단독가구는 백만여 가구로 총 가구의 6%를 차지하였으며, 2030년에는 10가구 중 1가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지역사회 내 독거노인의 사회적 경제수준과 건강상태는 어떠한가? 지역사회 내 독거노인은 사회경제적 수준과 건강상태가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독거노인의 4명 중 3명은 경제적인 노후준비가 전혀 없고 62%는 절대 빈곤선 이하의 소득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었다(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또한 독거노인의 15%는 한 달에 한 번도 가족과 연락하지 않고, 8%는 형제자매나 자녀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나서 사회적 소외에 처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밖에 독거노인의 96%는 만성질환을 앓고 있으며 62%는 자신의 건강상태를 나쁘게 평가하는 등 가족과 동거하는 노인들보다 건강상태가 더 불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독거노인들도 자신이 겪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 경제적 어려움, 건강문제, 외로움, 응급상황의 유발 가능성을 꼽고 있어서, 이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의료와 복지서비스가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 Buman, M. P., Giacobbi, P. R. Jr, Dzierzewski, J. M., Aiken, M. A., McCrae, C. S., Roberts, B. L., et al. (2011). Peer volunteers improve long-term maintenance of physical activity with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 Health, 8, S257-S266. 

  3. Castro, C. M., Pruitt, L. A., Buman, M. P., & King, A. C. (2011). Physical activity program delivery by professionals versus volunteers: The TEAM randomized trial. Health Psychology, 30, 285-294. http://dx.doi.org/10.1037/a0021980 

  4. Cheung, C., & Ngan, M. (2000). Contributions of volunteer networking to isolated seniors in Hong Kong.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33, 79-100. 

  5. Coull, A. J., Taylor, V. H., Elton, R., Murdoch, P. S., & Hargreaves, A. D. (2004).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senior lay health mentoring in older people with ischaemic heart disease: The Braveheart Project. Age and Ageing, 33, 348-354. http://dx.doi.org/10.1093/ageing/afh098 

  6. Dennis, C. L. (2003). Peer support within a health care context: A concept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0, 321-332. http://dx.doi.org/10.1016/S0020-7489(02)00092-5 

  7. Dickens, A. P., Richards, S. H., Greaves, C. J., & Campbell, J. L. (2011a). Interventions targeting social isolation in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BMC Public Health, 11, 647-669. http://dx.doi.org/10.1186/1471-2458-11-647 

  8. Dickens, A. P., Richards, S. H., Hawton, A., Taylor, R. S., Greaves, C. J., Green, C., et al. (2011b).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 community mentoring service for socially isolated older people: A controlled trial. BMC Public Health, 11, 218-232. http://dx.doi.org/10.1186/1471-2458-11-218 

  9.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0). Information on the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Retrieved July 1, 2011 from http://www.mw.go.kr/front_policy/jc/sjc0110mn.jsp?PAR_MENU_ID06&MENU_ID061002 

  10. Etkin, C. D., Prohaska, T. R., Harris, B. A., Latham, N., & Jette, A. (2006). Feasibility of implementing the strong for life program in community settings. The Gerontologist, 46, 284-292. http://dx.doi.org/10.1093/geront/46.2.284 

  11. Greaves, C. J., & Farbus, L. (2006). Effects of creative and social activity on the health and well-being of socially isolated older people: Outcomes from a multi-method observational study. The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Health, 126, 134-142. http://dx.doi.org/10.1177/1466424006064303 

  12. Greenberg, S. A. (2007).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7, 60-69. 

  13. Hale, W. D., Bennett, R. G., Oslos, N. R., Cochran, C. D., & Burton, J. R. (1997). Project REACH: A program to train community-based lay health educators. The Gerontologist, 37, 683-687. 

  14. Han, H., & Lee, Y. (2009). A study on factors impacting on the mental health level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 805-822. 

  15. Heaney, C. A., & Israel, B. A. (2008).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In K. Glanz, B. K. Rimer, & K. Viswanath (Ed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p. 189-210). San Francisco, CA: John Wiley & Sons, Inc. 

  16. Kee,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 298-306. 

  17. Kim, O. S., & Jeon, H. O. (2008).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self-care in elderly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Adult Nursing, 20, 675-684. 

  18. Kim, S. H. (2009). Health literacy and functional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 2337-2343.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8.02739.x 

  19.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Statistics on the elderly in 2010. Retrieved July 10, 2011,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180000 

  20.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1). Estimated population by age. Retrieved July 25, 2011, from http://kosis.kr/gen_etl/start.jsp?orgId101&tblIdDT_1B01001&conn_pathI2&path > > 

  21. Lorig, K. R., Holman, H., Sobel, D., Laurent, D., Gonzalez, V., & Minor, M. (2006). Living a healthy life with chronic conditions. Boulder, CO: Bull Publishing company. 

  22. McIntyre, I., Corradetti, P., Roberts, J., Browne, G., Watt, S., & Lane, A. (1999). Pilot study of a visitor volunteer programme for community elderly people receiving home health care.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7, 225-232. 

  23. Medical Outcomes Trust. (2004). IQOLA SF-12v2 Standard, S. Korea (Korean). Lincoln, R.I: QualityMetric Incorporated. 

  24. Park, Y. H., Song, M., Cho, B. L., Lim, J. Y., Song, W., & Kim, S. H. (2011). The effects of an integrated health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in a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hypertens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2, 133-137. http://dx.doi.org/10.1016/j.pec.2010.04.002 

  25. Peel, N. M., & Warburton, J. (2009). Using senior volunteers as peer educators: What is the evidence of effectiveness in fall prevention? Australian Journal on Ageing, 28, 7-11. http://dx.doi.org/10.1111/j.1741-6612. 2008.00320.x 

  26. Sarason, I. G., Sarason, B. R., Shearin, E. N., & Pierce, G. R. (1987). A brief measure of social support: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4, 497-510. http://dx.doi.org/10.1177/0265407587044007 

  27. Schneider, E. C., Altpeter, M., & Whitelaw, N. (2007). An innovative approach for building health promotion capacity: A generic volunteer training curriculum. The Gerontologist, 47, 398-403. http://dx.doi.org/10.1093/geront/47.3.398 

  28. Ware, J. E., Kosinski, M., & Keller, S. D. (1996). A 12-Item Short-Form Health Survey: construction of scales and preliminary test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Medical Care, 34, 220-233. 

  29. Ware, J. E., Snow, K. K., Kosinski, M., & Gandek, B. (1993). SF-36 health survey manual and interpretation guide. Lincoln, R.I: QualityMetric Incorporated. 

  30. Wheeler, J. A., Gorey, K. M., & Greenblatt, B. (1998). The beneficial effects of volunteering for older volunteers and the people they serve: A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47, 69-79.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